• 제목/요약/키워드: 소생재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소생재 도포 후 소생온도 및 양생방법 변화가 Fly Ash 다량치환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nges in Resuscitation Temperature and Curing Method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Large Volume Mortar of Fly Ash after Application of the Resuscitation Material)

  • 최윤호;한준희;이영준;현승용;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9-140
    • /
    • 2019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resuscitation after the re-application of mortar with much FA replacement on the degree of resuscitation. Results When NaOH was applied to the top of the mortar where 90% of FA was replaced, and maintained for 24 hours, the degree of resuscitation at $40^{\circ}C$ was completely improved. However, when medium curing was carried out, it showed a higher degree of compression than water or lapping curing at 10 MPa in 28 days. The degree of resuscitation on the 28th day was revived from around 10% of the normal level to about 20~30%, and it was analyzed that it was difficult to achieve the OPC reduction by any method.

  • PDF

소생재 도포 후 고온 유지시간 및 양생방법 변화가 Fly Ash 다량치환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Temperature Maintenance Time and Curing Method on Compressive Strength of FA Large Volume Replacement Mortar after Application of Resuscitation Material)

  • 최윤호;이혁주;이영준;현승용;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1-142
    • /
    • 2019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retention time and resuscitation method on the degree of resuscitation after reapplying mortar with much FA replacement. Results After applying NaOH to the top surface of 60 % FA-substituted mortar, the degree of resuscitation at $40^{\circ}C$ was high enough to increase the overall curing tim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with regard to the curing method, middle curing showed the greatest manifestation, followed by wrapping and underwater curin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scitation level on the 28th of the lumber was found to be revived to about 70~80 % at around 30 % without resuscitation.

  • PDF

한국형 이동식 심폐소생기 개발 보고 I. 실험견을 이용한 개흉식과 폐쇄식 심폐소생술 비교 (Report for Development of Korean Portable Cardiopulmonary Bypass Machine)

  • 김형묵;이인성;백만종;선경;김광택;김연수;김맹호;이혜원;이규백;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827-836
    • /
    • 1998
  • 배경: 고려대학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심폐소생술에서 인공심 사용이 기존의 표준 심폐소생술에 비해 나은 결과를 보인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형 이동식 심폐소생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1997년 1월부터 8월까지 한국형 이동식 심폐소생기 개발의 전단계로 심폐정지 모델 결정 및 표준 폐쇄식/ 개흉식 심폐소생술의 비교와 관찰지표 설정을 위한 준비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은 한국산 잡견 9마리(28-35kg)를 대상으로 폐쇄식 심폐소생술군 4마리와 개흉식 심폐소생술군 5마리로 나누어, 4분 간의 심정지 및 15분간의 일차 심폐소생술(basic life support; BLS)과 30분간의 이차 심폐소생술(advanced life support; ALS)을 실시하였다. 심장압박은 폐쇄식군의 경우 흉부에 압박을 가하였고 개흉식군에서는 직접 심장을 맛사지하였다. 소생술기간에 양군 모두 동일한 조건의 폐환기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자발성 순환회복은 이차심폐소생술 기간 초기부터 재세동과 에피네프린 및 탄산수소 나트륨을 투여하여 유도하였다. 결과: 심폐소생술 기간안에 평균 체동맥압은 BLS 동안 폐쇄식군이 33$\pm$11 mmHg인데 비해 개흉식군은 45$\pm$15 mmHg로 높게 유지되었으며, ALS 동안에도 폐쇄식군 44$\pm$15 mmHg에 비해 개흉식군이 83$\pm$36 mmHg로 높게 유지 되었으나 통계상의 유의성은 없었다. 한편 평균 폐동맥압은 BLS 동안 폐쇄식군에서 32$\pm$10 mmHg로 평균 체동 맥압과 비슷한 정도로 증가하였으나 개흉식군은 22$\pm$4 mmHg로 평균 체동맥압의 약 50%정도까지만 증가하였고, ALS 동안에도 폐쇄식군은 32$\pm$15 mmHg로 개흉식군의 24$\pm$10 mmHg보다 높게 유지되었으나 통계처리상 유의성 은 없었다. 자발성 순환회복(restoratio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및 심폐소생 성공 여부에서 폐 쇄식군은 4마리 모두 사망하였으나 개흉식군은 5마리중 4마리가 생존하였고 생존기간은 384$\pm$705시간이였다 (p<.05). 결론: 본 연구 결과 개흉식 심폐소생술은 폐쇄식 소생술에 비해 비록 통계학상의 차이는 없었으나 소생술 기간 동안 비교해서 안정된 혈역학 상태를 유지하여서 자발성 순환회복 및 장단기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 PDF

단조(鍛造) 기술(技術)의 현상(現狀)과 전망(展望)

  • 김동원
    • 소성∙가공
    • /
    • 제1권2호
    • /
    • pp.1-6
    • /
    • 1992
  • 단조 기술은 주조 기술과 함께 금속에 대한 가공 기술로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것으로, 특히 철강재의 인류 문명에 대한 공헌을 가능케 하는데 결정적인 역학을 수행하였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단조 기술은 현대에 있어서도 소생가공기술 중에서 그 원류의 위치를 견지하고 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단조 기술은 오늘날 여러가지의 새로운 가공 방식과 경합하여야 하는 위치에 있으며, 이 때문에 작업 합리화와 경비 절감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무엇보다 요망되고 있다. 사실상 단조 기술의 과거 30~40년간에 걸친 제반 개선 방향과 발달 방향의 근원은 여기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단조기술의 현황과 단조 연구의 현상에도 약간 언급코져 한다.

  • PDF

동위원소 뇌혈관 촬영술을 이용한 뇌사의 판정 (Radionuclide Cerebral Angiography: A Confirmatory Test for the Diagnosis of Brain Death)

  • 최재걸;이민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30-234
    • /
    • 1992
  • 뇌와 뇌간의 모든 기능이 정지되어 인공적으로 심폐 기능은 유지되고 있더라도 뇌의 혈액순환은 중지되고 전체 뇌에 경색이 있어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를 뇌사라 한다. 이렇게 뇌와 뇌간의 모든 기능이 정지된 이후에는 곧 심장 정지가 뒤따른다. 심장과 폐의 기능 정지에 의해 죽음을 정의하는 것은 심폐소생 장치 및 생명유지 장치의 효과적인 발달로 이제는 뇌자체의 기능을 평가하는 것으로 대치되게 되었다. 최근 장기 이식술의 발달로 혈액순환을 비롯한 식물적인 기능은 인공적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가능한한 빠른시간내에 적용할 수 있는 뇌사판정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래서 이러한 판정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뇌사를 확신할 수 있는 여러가지 진단 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동위원소 뇌혈관촬영술도 이런 진단방법중 하나로 뇌혈액순환의 정지를 보여줌으로써 임상적으로 뇌사를 진단하는 데 보조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외상성 견갑 흉곽간 절단 - 증례 보고 - (Traumatic Forequarter Amputation - A Case Report -)

  • 조철현;이경재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1호
    • /
    • pp.66-69
    • /
    • 2008
  • 외상성 견갑 흉곽간 절단은 극히 드물게 발생하는 매우 심각한 손상이다. 견갑부의 심한 둔상이나 상지에 발생한 심한 견인력에 의해 발생하며, 광범위한 동반 손상을 초래하므로 그 예후가 지극히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외상성 견갑 흉곽간 절단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컨베이어 벨트에 수상하여 견갑골을 포함한 상지 전체가 체간에서 완전 분리된 채로 내원한 52세 남자 환자에 대해 즉각적인 응급 소생술 및 수술을 시행한 외상성 견갑 흉곽간 절단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피드백 장치와 디브리핑을 통한 군 심폐소생술의 질과 교육훈련 향상 연구 (Study for Improving militar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quality and resuscitation training by combining feedback device and debriefing)

  • 문수재;조병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5-236
    • /
    • 2014
  • 군의 교육훈련간 디브리핑과 피드백 장치 활용을 통한 심폐소생술 교육방법을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확인하고 심폐소생술 수행 전 후 피로도를 검사하여 심폐소생술 술기가 숙달된 인원과 숙달되지 않은 인원의 피로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 야전에서 응급처치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비 의무병인자로 전투병 생존법 교육 소집 대상자 중 참여 희망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3가지 교육방법(디브리핑, 피드백장치, 디브리핑과 피드백장치 조합) 을 적용한 3개의 그룹에서 1,2,3차의 평가와 전체 디브리핑을 통해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의 질적 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동일 대상 중 희망자 20명에 한하여 심폐소생술 수행(5분) 전 후 혈중 젖산 농도 측정 및 주관적인 문답(1~10점)을 통해 심폐소생술 수행에 따른 피로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3가지 교육방법에 따른 심폐소생술수행능력 향상은 모든 그룹에서 유의하였으며(p<.001), 그룹별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향상효과의 차이는 디브리핑과 피드백장치를 조합하여 적용한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1).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이 숙달되기 전 후의 피로도에 대해서는 본인이 느끼는 피로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혈중 젖산농도에 따른 피로도는 유의한 차이로 전보다 후가 낮아졌다(p<.01).

  • PDF

팬데믹 감염병 시대에 안전이송을 위한 정보시스템 연구 (Information System Research for Safe Transportation in the era of Pandemic Infectious Disease)

  • 김승용;황인철;김동식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5-336
    • /
    • 2022
  • 연구목적: 감염병 유행시 감염병 의심 환자의 구급활동을 위해 출동한 소방대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현장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별 감염병 의심환자 발생 현황을 파악하여 현장 통제 및 지원이 가능한 소방 감염병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감염병 의심 환자를 분류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여 감염병 의심 여부를 확인하고, 감염병 의심 환자로부터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 식별용 NFC태그를 1회용 형태로 개발한다. 현장에서 입력되는 감염병 의심 응급환자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해당 업무 관련자에게 제공하여 감염병 의심 응급환자의 이송을 개선하는지 평가한다. 연구결과: 실험결과 스마트폰 앱에 구현된 알고리듬을 통해 감염병 의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으며, 적정 이송병원으로 이송함으로써 재이송 비율히 현저히 감소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응급의료 서비스에 ICT 기술을 적용하여 응급의료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감염병 의심환자에 대한 적정병원 이송으로 이송시간 단축 및 응급환자의 소생률 향상과 함께 구급대원의 안전을 적극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재팽창성 폐부종 3례 보고- (Reexpansion Pulmonary Edema)

  • 오덕진;이영;임승평;유재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81-584
    • /
    • 1996
  • 재팽창성 폐부종은 기층이나 흥수 또는 무기폐로 인해 오랜 시간동안 폐허탈이 있는 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공기나 많은 양의 흥수를 일시 에 제거함으로써 폐가 갑자기 재팽 창될때 올 수 있는 매우 드문 합 병증으로 때로는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재팽 창성 폐부종의 가장 중요한 요 소는 폐하탈기간(대부분 3일이상)과 음압을 사용한 급속한 재팽창이라고 생각되어진다. 본원에서는 재 팽창 폐부종 3례를 경험하였는데 2례에서는 수일동안 경과된 기층환자에서 폐쇄식 흥관삽관술 직후에 일측성으로 폐부종이 발생하였으며 산소흡입만으로 증상이 호전되 었다. 다른 1례 에서는 다량의 흥수로 폐쇄식 흥관삽술을 통해 약 2000mL의 층수를 배액한후 일측성으로 폐부종이 발생하였으며 이어 심정 지가 발생하여 심폐소생술에도 불구하고 홍관삽관술 시 행 12시간만에 사망하였다.

  • PDF

한국응급의료서비스 민관파트너십 도입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in Korea)

  • 김국래;김태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1-43
    • /
    • 2006
  • 현재 우리나라 응급의료서비스(Emergency Medical Service)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119구급대는 구조적인 문제에 봉착해 있다. 119 EMS가 무료로 공급되면서 그에 대한 수요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119구급대원들의 과부하가 문제시되는 한편 정작 중요한 성과지표인 소생률(resuscitation rate)은 외국에 비해 저조한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산 및 인력 증원이 필요한데 현 시스템 하에서는 막대한 예산 소요, 소방공무원 표준정원제와 소방력기준과의 불일치 등에 의한 제약 때문에 이마저도 쉽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현행 EMS 시스템이 의료기관이나 민간이송업체를 포괄하는 민관파트너십 시스템으로 이행하는 방식을 간략하게 설계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우선 미국 주요도시의 EMS 성과와 관련된 기초 통계를 바탕으로 분석해 본 결과, 소방이던 의료기관이던간에 단일기관이 EMS를 전담하는 경우보다는 복수의 기관이 협력하는 경우가 소생률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국의 EMS 체계와 관련된 사례를 수집한 결과 한국과는 달리 대부분의 국가나 지자체들이 민관파트너십을 통해 보다 질 높은 EMS를 제공하고 있었다. 결국 한국의 EMS도 소방 중심에서 탈피하여 의료기관, 민간업체 등과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EMS 체계를 재설계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