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비 행위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생활행위 분류에 의한 가정부문 용도별 에너지소비 분석모형 개발 (Development of Bottom-up model for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by Use)

  • 임기추
    • 에너지공학
    • /
    • 제22권1호
    • /
    • pp.38-43
    • /
    • 2013
  • 생활양식의 변화나 생활행위의 변화에 관련한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패턴의 분석을 위해서 용도별 에너지소비자료 작성이 절실히 요청되어 왔다. 이에 따라, 생활행위의 분류에 의한 가정부문 용도별 에너지소비 분석모형을 개발하여 에너지소비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고에서는 부위(방)별 에너지 사용기기의 에너지 소비효율에 생활행위별 기기마다 가동시간을 곱해서 가구당 에너지소비량이 산출될 수 있도록 상향식의 가정 내 모형을 구축하였다. 생활행위 분류를 감안한 용도는 조명용, 난방용, 냉방용, 오락용, 정보용, 위생용, 취사용 등으로 구분하였다.

문화자본과 확장된 '문화소비' -무엇을 소비하는가에서 어떻게 소비하는가로 (Cultural Capital and Expanded Musical Consumption -From What to How)

  • 김은미;권경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9권
    • /
    • pp.111-138
    • /
    • 2015
  • 이 연구는 문화자본과 문화소비 행위의 연관성을 보았던 기존 연구에서의 '문화소비' 개념이 오늘날에도 타당한가 하는 문제의식으로 시작되었다. 디지털미디어가 등장한 후 문화소비자들은 단순히 '소비' 라고 지칭하기 어려운 다양한 행위들에 참여한다. 이렇게 다변화된 문화소비의 양상들을 다루기 위해서, 기존의 분석틀, 즉 무엇을 선호하거나 관람하였는가(노출되었는가)라는 문제 중심으로 구성된 '문화소비' 개념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우리는 문화소비에 있어 '무엇'보다는 '어떻게' 라는 측면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보기 위해, 공연관람뿐 아니라 공연 정보를 읽는 행위인 정보소비, 공연 후기를 쓰는 정보생산, 실기학습 및 참여행위인 아마추어 생산, 그리고 동호회 활동인 교류 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문화자본인 학력과 청소년기 문화경험과 문예교육이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음악장르 소비에대한 설문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력은 공연관람에서만 효과가 나타난 반면, 청소년기 문화경험과 문예 교육은 공연관람 뿐 아니라 문화소비 전반에 있어 영향력이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청소년기 문화경험은 정보소비와 정보생산에서, 문예교육은 아마추어 생산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한편 소득은 공연 관람에서만 효과를 보인다. 연구의 결과, 청소년기 문화경험은 공연관람에서보다는 관련 읽기와 쓰기에서, 문예교육은 아마추어 생산에서 영향력이 보다 크게 나타나므로 문화자본에 따라 문화소비 취향이 구별되는 차원을 관련 커뮤니케이션 행위 및 아마추어 생산 활동까지도 포함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다는 함의를 갖는다.

  • PDF

그린제품 품질과 그린소비 행위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reen Product Qualit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 이성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37-46
    • /
    • 2015
  • 본 연구는 환경적 관점에서 제품 품질, 소비 행위, 고객만족, 그리고 고객충성도 간의 관련성과 영향을 탐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10명의 응답자 중에서 친환경제품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167개의 자료를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SPSS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그린제품 품질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린소비 행위의 가격요인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 간의 영향을 조절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그린제품 품질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기여함을 의미한다. 또한 그린소비 행위의 가격요인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 간의 영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김성언;나선영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9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21세기지식경영과 정보기술
    • /
    • pp.613-62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하여분석을 하였다. 전자상거래는 거래활동의 주체에 따라 기업내 거래, 기업간거래, 기업과 소비자간거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기업과 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과 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 관점에서 소비자들이 전자상거래에서 제품이나 서비스 구매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하여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 PDF

Decision-Tree를 이용한 합리적 소비 의사결정능력 신장을 위한 모델 구안 (Modelling for Improvement of Rational Consumption Decision Ability by Decision-Tree)

  • 김영록;마대성;김정랑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하)
    • /
    • pp.710-714
    • /
    • 2002
  • 학생은 미래뿐만 아니라 현재의 소비자로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통한 소비문화가 요구된다. 하지만 학생의 소비문화와 학교의 소비교육, 가정교육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학생들은 물건의 필요성이나 용도, 금전상황, 가정상황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구매하기보다는 비계획적이고, 즉흥적이다. 학교에서는 교사들이 학생의 소비행위를 한 눈에 파악하여 교육적으로 피드백하기가 쉽지 않다. 가정에서는 학생들의 소비행위에 대한 의사소통의 길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의사결정 5단계와 Decision-Tree의 교육적인 면을 고려하여 합리적 소비 의사결정을 위한 6단계(문제정의, 정보탐색, 대안평가, 가치확립, 구매경험, 구매평가)를 새롭게 제안하고, 소비교실, 용돈 의사결정, 설문모듈을 통해 6단계를 체험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안한 모델은 교사와 학생, 학부모 모두가 참여하여 학생의 계획적이고 합리적인 소비 의사결정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중국 장춘시 농촌주민의 정보소비 행동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Consumption Behavior Structure of Rural Residents in Changchun, China)

  • 유혜주;정기영;김형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1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장춘시 농촌 주민의 정보 소비행위 구조를 심층 분석하고, 농촌 주민의 정보 소비 수준을 높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 주민의 정보 소비행위에 관한 설문 조사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였고 통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정보 소비행위 구조를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는 장춘시 주변 15개 농촌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과 개방형 설문지를 배포하고 면접내용과 설문지를 취합하여, 조사 데이터를 SPSS23.0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7.4를 사용하여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춘시 농촌 주민의 정보소비 행위구조는 정보수요, 정보이용능력, 결제능력 등의 3가지 차원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정보소비 행동구조의 수요력, 구매력, 정보품질 등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일치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정보 소비자의 정보 소비 행동구조에 관한 연구에서 실증분석의 효과를 입증한 연구로써 그 의의가 있다.

전력소비행위 변화를 위한 전력소비패턴 분석 및 적용 (Analysis and Application of Power Consumption Patterns for Changing the Power Consumption Behaviors)

  • 장민석;남광우;이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03-61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전력소비패턴을 추출하고 사용자의 환경 및 감성을 적용한 최적 소비패턴을 모델링한 후, 이 두 가지의 패턴을 비교 적용하여 사용자의 전력소비행위 변화를 통한 전력의 효율적 사용 방법을 제시한다. 유의미한 소비패턴을 추출하기 위하여 벡터 표준화 및 이진 데이터 변환방법을 사용하고, k-평균 군집화를 적용한 앙상블의 합집합에 대한 학습과 k값에 따른 지지도를 적용하였으며, 최적 전력소비패턴 모델은 상대적 평균 소비량이 적은 앙상블 합집합에 대한 학습 결과를 기준으로 강제 및 감성 제어를 적용하여 생성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전력소비행위 변화 유도대상 추출 시 클러스터의 수와 일치율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강제 및 감성 기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클러스터의 수나 크기 조절을 통한 다양한 윈도우에 적용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디지털시대의 소비자행위

  • 설봉식
    • 디지털콘텐츠
    • /
    • 6호통권109호
    • /
    • pp.90-99
    • /
    • 2002
  • 디지털시대의 소비자행위는 디지털과 온라인에 의한 새로운 유통구조의 생성으로 인해 소비자의 행위도 그 패턴이 변화되고 있다. 즉, 소비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시점에 즈음하여 소비자의 새로운 행위패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디지털 게임의 '생산적 소비' 행위에 관한 연구 : 레이버테인먼트 게임의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duction-Consumption Behavior of Digital Game: Based on Semiotic Analysis of the Labortainment Game)

  • 김은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79-87
    • /
    • 2010
  •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게임의 형식으로 일과 놀이의 융합을 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게임을 즐기는 놀이로서의 소비 행위가 곧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드는 경제적 생산 행위인 일로 연결되는 게임을 레이버테인먼트 게임으로 규정하고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레이버테인먼트 게임의 특이성을 규명한다. 게임은 이제 단순한 엔터테인먼트성 가치뿐만 아니라 인간의 협업을 촉진하고 그 가운데 축적된 데이터가 그 자체로 다른 가치를 만드는데 쓰일 수 있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레이버테인먼트 게임의 '생산적 소비' 행위는 '사용자 생성 컨텐츠'를 생산하여 온라인 게임 내적으로 회귀시키는 '재미노동'과 구별된다. 또한 게임행위의 결과(효과)가 플레이어에게 회귀되는 교육, 훈련, 치료, 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게임의 생산 활동과도 다르다. 레이버테인먼트 게임은 플레이어의 유희 욕망을 바탕으로 게임의 형식을 통해 집단적으로 생산된 게임 결과를 게임 외적으로 활용해 게임 개발자의 숨겨진 욕망을 채워준다.

은퇴 결정과 은퇴 전·후 소비의 상호작용 (Empirical Evidence of the Interdependence of Retirement and Pre- and Post-retirement Consumption)

  • 안종범;전승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3호
    • /
    • pp.1-23
    • /
    • 2004
  •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하여 조기은퇴 행위와 지연은퇴 행위가 은퇴 전 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2단계 전환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추정 과정에서 본 논문에서는 조기은퇴 결정이 은퇴 전 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는 조기은퇴 결정이 존재하는 경우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하는 것으로서 추정결과 선택편의(selection bias)가 존재하는지를 통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조기은퇴 결정 후 조기은퇴자의 소비를 지연은퇴자의 소비와 비교하는 것으로서, 소비의 소득탄력성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추정 결과 조기은퇴를 결정했을 경우 조기은퇴 결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은퇴 전 소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기은퇴자와 지연은퇴자의 소비의 소득탄력성을 비교해 본 결과 소득이 증가하였을 때 조기은퇴자의 소비 증가폭이 지연은퇴자보다 작았다. 이상의 결과는 조기은퇴 결정 이후 상대적으로 길어진 은퇴 기간이 은퇴 전 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