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비자 동조성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점포 혼잡성이 점포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동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Store Crowding on Stor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 Based on adjustment effects of consumer susceptibility)

  • 추미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965-972
    • /
    • 2014
  • 점포 내 혼잡성이 점포태도와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점포태도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소비자동조성의 조절적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점포혼잡도 요인으로 사회적 혼잡성과 공간적 혼잡성으로, 행동요인은 구전의도와 재방문의도를, 소비자동조성은 높은집단과 낮은집단으로 제시하였다. 사회적 혼잡성은 점포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간적 혼잡성은 유의하지 못하였다. 행동의도 중 재방문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전의도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동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 본 결과 소비자동조성이 높은 집단은 사회적 혼잡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혼잡성에서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상황에서 소비자는 다수의 선택을 따를까? - 구매상황과 사용상황이 미치는 상이한 영향을 중심으로 - (When Do Consumers Follow Majority Choice? - Different Effect of Purchase versus Usage Situation -)

  • 김문섭;오현민;김재일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31-50
    • /
    • 2010
  • 동조욕구와 차별화욕구라는 상반된 욕구에 의해, 소비자는 타인의 구매선택을 추종하기도 하고 회피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동조이론과 차별화이론을 사용하여 이러한 현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제품유형이나 소비자특성뿐만 아니라, 선택상황(구매상황 혹은 사용상황)도 함께 고려함으로써, 소비자의 제품 선택에 있어서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기존 이론을 확장시켰다. 실험 결과, 정체성 표현과 무관한 제품(예, USB memory stick)의 경우, 사람들은 사용상황에서보다 구매상황에서 동조 행동을 보였다. 하지만, 정체성 표현과 관련된 제품(예, 청바지)의 경우, 소비자가 해당 제품을 정체성 표현과 관련되었다고 지각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상황의 영향이 달라졌다. 즉, 청바지가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제품이라고 지각하는 소비자는 사용상황에서는 차별화 행동을 구매상황에서는 동조 행동을 보인 반면, 청바지가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제품이라고 지각하지 않는 소비자는 선택상황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패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치 결정요인: 물질주의와 소비자 동조성을 중심으로 (Personal Value Determinants of Fashion Orientation: Materialism and Consumer Conformity)

  • 박혜정;전경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9_10호
    • /
    • pp.1243-125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personal values on fashion orientation. As personal values, this study adopted materialism and consumer conformity.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convenient sampling, and 325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In analyzing dat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fashion orientation has three factors such as fashion leadership, fashion interest, and importance of being well dressed. Path analysis showed that centrality factor of materialism spurred all three factors of fashion orientation and that happiness factor of materialism gave rise to importance of being well dressed of fashion orientation. Informational conformity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ll three factors of fashion orientation.

의복 의사 결정 자신감의 결정변수 - 소비자 동조성, Vanity, 의복 지식 - (Determinants of Decision-Making Confidence of Clothing -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Vanity, and Clothing Product Knowledge -)

  • 전경숙;박혜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3호
    • /
    • pp.476-48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decision-making confidence of clothing. As determinants, this study examined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vanity, and clothing knowledg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ut of 324 distributed, 300 useful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he results showed that identical conformity among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decision making confidence through vanity. Although normative conformity does not influence decision-making confidence directly, it does significantly influence decision-making confidence indirectly through influencing vanity and clothing knowledge. The results suggest clothing is a manifestation tool for managing public self, which finally leads to increased clothing knowledge and decision-making confidence of clothing. These findings may be used by marketers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oduct development and promotion.

명품과 매스티지 브랜드, 복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따른 소비자집단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onsumer Groups based on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Luxury and Masstige Brands, and Counterfeits)

  • 방정혜;김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03-309
    • /
    • 2021
  • 본 논문은 20-30대 소비자들이 사회적 가치가 높은 명품, 매스티지 브랜드와 복제품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고 구분하는지, 과시소비성향과 동조성으로 설명할 수 있을지를 탐색하였다. 브랜드들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20-30대 소비자를 구분하고, 집단별로 동조성과 과시소비 성향의 하위차원에서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20-30대 소비자는 네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각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개성추구성향(F=4.282, p=.006)과 브랜드지향성향(F=23.178, p=.000)은 명품과 매스티지 브랜드와 연관이 있었고, 유행추구성향(F=8.376, p=.000)은 명품과 매스티지 브랜드를 매우 좋아하는 집단과 복제품에도 관심이 있는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고가격추구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동조성(F=3.537, p=.015)은 명품과 매스티지에 대해 약간 좋아하지만 복제품은 싫어하는 집단만 제외하면 모두 높았다. 본 연구는 상징적 의미가 큰 브랜드들에 대한 20-30대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를 통합적으로 고찰한 연구로서 향후 소비자의 브랜드 범주화에 대한 연구로 발전시키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의미가 있다.

정보형태에 따른 정보수용에 대한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의 효과 (The Effect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Disposition on Adopt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Information)

  • 최낙환;박소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4권1호
    • /
    • pp.25-54
    • /
    • 2002
  • 본 연구는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 개념을 도입하여, 타인의 의견이나 집단규범이 내포된 합의정보와 제품의 속성이 나타난 속성정보가 불일치한 상황에 접했을 때 개인의 문화지향성에 따라 정보의 수용과정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접근성-진단성 프레임웍에 근거하여 정보의 수용과정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중국 및 한국의 개별소비자차원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라 불일치 정보의 수용과정이 다르게 나타났다. 집단주의 성향의 소비자들은 합의정보의 합의성 지각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합의정보의 집단자아 접근성과 집단동조 진단성 수준이 증가하여 집단의견수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속성정보의 속성성 지각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속성정보의 개인자아 접근성과 개인화가치 진단성이 증가하여 개인의견반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주의성향의 소비자들은 속성정보의 속성성 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개인화가치 진단성 수준이 높아져 개인의견반영의도가 높아지며, 합의정보의 합의성 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집단자아 접근성 수준이 높아져 집단의견수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행선도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최윤영;이선재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41
    • /
    • 2003
  • 하루가 다르게 점차 빨라지고 있는 유행주기와 동조성의 거부 즉 개성화추구현상이 두드러짐에 따라서 패션상품 및 화장품 구매행동도 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시각각 변화고 있는 소비자들의 소비태도와 유행추세에 따라 화장품 회사들의 다양한 판매촉진 전략 중에서 화장품 기획세트를 중심으로 심미적 가치관이 높고, 외모에 관심이 많은 20대 유행선도자들의 화장품 기획세트 구매동기와 구매태도, 구매반응, 구매실태를 알아본 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화장품 기획세트 판매촉진의 효율적인 개발과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수입명품의 복제품 구매자와 비구매자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purchaser and non-purchaser of Imported counterfeit luxury goods)

  • 정헌배
    • 통상정보연구
    • /
    • 제15권3호
    • /
    • pp.65-8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자존감과 동조성이 수입명품 복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수입명품 복제품 구매방지 대책마련에 도움을 주는데 있었다. 수입명품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소비자의 과시적 또는 신분 상징적 구매행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변수, 즉 자존감과 준거집단에 의한 영향 변수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입명품 복제품 구매자들은 자연스럽게 타인의 인식에 상당히 의존적이며 복제품 역시 과시적 구매의도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특히 자존감이 높은 구매자일수록 복제품 구매의존도가 낮으며 구매의도 역시 이에 비례해서 낮아진다. 본 논문은 수입복제품 구매자와 비구매자간의 개인 심리적 차이가 구매행동상의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보다 구체적인 보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유행동조성과 혁신성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 및 준거대상 연구 (Consumer Segmentation of Clothing Products by Fashion Conformity/Innovativeness and Their Reference Groups)

  • 김한나;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1341-1352
    • /
    • 2001
  • When segmenting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fashion adoption behavior, it has been assumed that consumers' fashion conformity and innovativeness characteritics are negatively correl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and innovativeness and that these two attributes exist independently.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consumers according to the degrees of conformity and innovativenes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reference group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mong the segmen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showed that the fashion conformity and innovativeness were in and innovativeness; High conformity/High innovativeness group(HC/HI), High conformity/Low innovativeness group (HC/LI), Low conformity/High innovativeness group(LC/HI?, and Low conformity/Low innovativeness group (LC/LI). When the groups were compared in their reference groups and purchasing behavior, it was found out that HC groups were more influenced by reference groups than LC groups. When HC/LI and HC/HI groups were compared, HC/LI group was mor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and siblings, while HC/HI group was more influenced by upper class and celebrities. Both groups were mostly influenced by friends and desirable passengers on the street. Friends and passengers were most influential to LC groups also, even though they were less influenced than HC groups. In conclusion, the fashion conformity and innovativeness were found to exist in different dimensions consisting dual structure. Thus, retailers and marketers can make their strategies more successfully if they use these two characteristics separately when segmenting consum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