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비자태도

Search Result 92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according to Self-Image and Clothing Attitudes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의류제품평가)

  • Lee, Sun-Jae;Kim, Eu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424-1433
    • /
    • 2003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에 있어 개인적ㆍ심리적 요인인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는 다차원적인 구조를 가지며, 외관적, 성능적, 외재적, 표현적 요소로 세분화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라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의복선호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이들이 소비자의 의류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는 감성이나 이미지와 같은 요소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최근의 의류시장의 경향에 부합하여 시장세분화의 효과적인 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를 통해 세분화된 표적시장 소비자들이 보다 중요시하는 의류제품평가의 차원들을 파악하고 이를 강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홈쇼핑 소비자의 쇼핑형태에 따른 태도 분석

  • Park, Yeong-Bong;Kim, Song-Bye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159-182
    • /
    • 1998
  • 국내의 경우 업체별 홈쇼핑의 연평균 판매액 성장률은 1990년대에 들어 매년 50%이상의 성장을 보이고 있고 '98${\sim}$2003년까지는 20%정도 될 것으로 예측한다. 이러한 급성장을 보이는 홈쇼핑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홈쇼핑 속성들이 홈쇼핑 소비자들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고찰 및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홈쇼핑으로 분류되는 통신판매(카탈로그, DM, 전화, CATV, Internet, TV 등)를 통한 소비자의 태도를 조사히기 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홈쇼핑의 쇼핑행태 속성별 가설을 검정한 결과, 위험지각(성능, 사회적 위험)이 낮을수록, 편리성 지향이 높을수록, 제품구색지향 소비자일수록 홈쇼핑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쇼핑의 즐거움을 지향하는 소비자일수록 홈쇼핑보다 점포쇼핑을 선호하여 홈쇼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무적 위험, 심리적 위험, 가격의식 지향은 홈쇼핑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성능의 위험, 편리성 지향, 사회적 위험, 제품구색 지향 순으로 홈쇼핑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Causal Model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Consumer Attitude, and Intention to Repatronize (지각된 서비스 품질, 소비자 태도, 재이용 의도 사이의 인과관계 모형)

  • 이인구;김종배;이문규
    • Asia Marketing Journal
    • /
    • v.2 no.3
    • /
    • pp.44-63
    • /
    • 2000
  • 경영관리의 초점이 생산중심에서 마케팅중심 그리고 서비스중심으로 급격히 변화하면서 서비스 경쟁이 중요한 생존무기가 되고 있다. 차별화의 수단으로 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여러 가지 서비스 속성 중에서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차원을 밝히려는 연구는 많았던데 비해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의 태도와 재이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여러 차원들이 소비자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태도는 소비자의 재이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았다. 자료는 소매점 이용자를 대상으로 수집되었으며 소매점 서비스에 관한 인과관계 모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기능적 품질에 속하는 신뢰성 차원과 기술적 품질에 속하는 유형설비 차원이 소비자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품질로 볼 수 있는 가격(비용) 차원은 예상대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능적 품질에 속하는 감정배려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비스 품질을 통해 형성된 소비자 태도는 소매점 재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소매점을 특성에 따라 몇 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인과관계 모형의 영향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형 할인소매점, 백화점, 주거지역 인근의 소매점들에서 상당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즉, 태도와 재이용 의도 사이의 긍정적인 영향관계는 소매점 유형에 관계없이 나타났으나 태도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 차원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차별화 지표로 서비스 품질을 사용할 경우에 서비스 관리자들이 어떠한 전략을 선택해야 하는가에 관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아울러 동일범주의 서비스 산업이더라도,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중요한 차원을 규명하기 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

The Effect of Purchasing Factor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친환경농산물의 구매요인이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Jong-Ho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2 no.4
    • /
    • pp.204-221
    • /
    • 2016
  • The study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215 women living in Busan to analyze the purchase intention (awareness, health interests, environmental interest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it'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ing inten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all purchase factor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ad significant causality on consumer attitudes. Significant causality of consumer attitudes on purchase intention was also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umber of purchases was analyzed to only significantly affect consumer attitudes on purchase intention and consumer attitudes according to number of purchases were analyzed to vary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purchase. Inform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means that consumers who are awar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terested in health, and interested in protecting the environment exhibit positive attitude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s well as higher purchase intentions. Therefore, if government and local organizations strengthen the promo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re may be an acceleration of the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ollowed by an increase in the income of farmers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armers who cultivat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is may ultimately aid in the con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Korea and enhance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e public.

The Study of Consumer Attitude by Cause Related Marketing, Information Presentation Type and Brand Level: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Cosmetics Industry (공익연계마케팅 정보제시형태와 브랜드 수준에 따른 소비자 태도 연구 : 화장품을 대상으로 한 한국과 중국 소비자 비교)

  • Jung, Sung-gwang;Jang, Jae-h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5
    • /
    • pp.881-889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consumer attitudes according to the Cause Related marketing information presentation type and Brand Level and China,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cause related marketing information presentation type conducted by the company shows that concrete has more consumer attitude than abstract. Second, consumer attitude toward cause related marketing information presentation type is different according to brand level(Corporate Brand and Individual Brand). Third, consumer attitudes cause related marketing information presentation type is different according to Korea and China.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will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not only academically but also as a basis for marketing strategies.

Effects of Ethnocentrism, Perceived Localization, and Perceived Contribution on Consumer Evaluation of Retail Stores (소비자들의 소매점 평가에 자민족중심주의, 지각된 토착화 및 지각된 기여도가 미치는 영향)

  • 신창훈;이동대
    • Asia Marketing Journal
    • /
    • v.2 no.1
    • /
    • pp.42-64
    • /
    • 2000
  • 유통시장 개방과 더불어 점포의 국적과 관련된 변수가 소비자들의 점포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자민족중심주의, 지각된 토착화, 지각된 기여도 등이 국내 및 외국 점포에 대한 태도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이들의 상호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민족중심주의와 지각된 기여도는 높을수록 외국 점포에 대한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국내 점포에 대한 태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토착화의 정도는 커질수록 외국 점포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Influence on the Korean Uzzul(Boas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n the Consumer Attitude of Luxury Good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Youm, Dong-Sup;Yu, Seung-Yeob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8
    • /
    • pp.111-118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s Uzzul(Boasting) about the impact on consumer attitudes about the brand. Elated abou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on the basis of an analysis of these Koreans Uzzul(Boas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for luxury consumer attitudes and whether any relationship was confirmed. Firstl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Uzzul(Boasting) were six sub-factors. Second, consumer attitudes about the luxury factor analysis was the result of two factors. Thir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Uzzul(Boasting) impact on consumer attitudes about the brand. Arrogant sense and self-esteem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hedonic attitudes. In addition, the relative recognition factors had an impact on the quality trust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did not cover the face of conspicuous luxury-related studies have mainly dealt with the psychological variables. Whereas Koreans Uzzul(Boas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research in progress by virtue of the fact that it is worth. Offered practitioner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 of Uzzul(Boasting) psycholog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signer to create ads.

The Moderating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Message and S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WOM and Consumer Attitude (구전정보방향성과 소비자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메시지특성과 SNS특성의 조절효과)

  • Kim, Sung-Soo;Ahn, Tony Donghu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177-186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eWOM(Word-of-mouth) on consumer attitude in SNS(Social Network Service). The characteristics of WOM were classified into characteristics of message (polarity, verifiability, consensus) and characteristics of SNS (social presence, interaction). Data of 554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university students of SNS users. The key results showed that the polarity of the WOM has a strong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and the degree of verifiability and consensu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polarity-attitude relationship. On the contrary, characteristics of SNS such as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have a direct effect on consumer attitude and have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polarity-attitude relationship. This study provides an academic enhancement in the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WOM and consumer's attitude in the SNS environment.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drawn from these findings.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Purchasing Imported Casual Clothing (수입 캐주얼의류 구매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의도에 관한 연구)

  • Park, Hye-Jung;Kitty G. Dickers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2
    • /
    • pp.1791-1803
    • /
    • 2002
  • 국내 수입 캐주얼의류시장은 계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하는데 그들의 태도(Attitude)와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을 고려하는 theory of reasoned action (Ajzen & Fishbein & Ajzen, 1975)에 의거하여 구매의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위하여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총 89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는 수입 캐주얼의류에 대한 구매 의도가 낮았으며, 이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유의적인 결정 변수였다. 또한 주관적 규범이 태도보다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더 중요한 결정 변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류에 대한 소비자 행동의 문헌에 기여함과 동시에 국내 마케터(local marketer)와 국제 마케터(international marketer)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여 준다.

The Influence of Self-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Attitude Toward Brand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주영;최인혁;장경숙
    • Asia Marketing Journal
    • /
    • v.3 no.2
    • /
    • pp.92-114
    • /
    • 2001
  • 최근 들어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지각된 브랜드를 차별화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개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의 자아표현적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자아이미지와의 일치성과 관련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소비자들은 브랜드의 개성이 자신의 이미지와 일치할 때 해당 브랜드에 더욱 호감을 갖고 있었다. 특히, 제품에 대해 상징적 가치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헤도닉 태도가 높은 소비자의 경우에는 브랜드 개성과의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나, 헤도닉 태도가 낮은 소비자의 경우는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 형성에 중요하게 고려되지 못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