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비자조사

Search Result 2,36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urvey on Consumer Perception on Removability of PET Bottle Labels (PET병 라벨의 분리용이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실태 조사)

  • Kang, Wook Geon;Kim, Jongkyoung
    •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 /
    • v.27 no.2
    • /
    • pp.63-70
    • /
    • 2021
  • As the government strengthens its policy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packaging materials, consumers are increasingly dissatisfied.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participation in separate discharge policy of packaging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by reducing potential consumer problems such as removal of packaging label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00 consumers aged 14 and over who recycle and discharge directly from their homes. Ninety-nine percent of consumers said PET bottles are released separately. However, only 65% of consumers removed labels (attachment labels, shrink labels) and other materials (caps, vinyl coatings, tapes, handles, bases, etc.) during separate discharge process. Nearly 52% of consumers cited 'difficulty of separation' as the main reason for not removing labels and other materials. One-way ANOVA analysis showed that 'strong adhesion', 'removal initiation problem' and 'material strength' had high mean regardless of age, which are major factors impedes label removal. Using shrink labels with perforated lines rather than adhesive labels would be more beneficial to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separate discharge. However, if the shrink labels do not have perforated lines or are difficult to remove, adhesive labels are often easier to remove than shrink labels because of the strong cohesiveness of shrink labels. As a result, how easy it is for consumers to remove the label is more important than technological differences.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participation in packaging material and label separations, improvements in structural design are needed along with the selection of materials that are easy to separat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consumer perceptions, deriving problem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policy improvement.

환경변화에 따른 새로운 소매전략의 전개방향에 관한 연구 -일본 소비자의 업태선택행동을 중심으로-

  • Sin, Mun-Sik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4
    • /
    • pp.133-151
    • /
    • 1999
  • 소매업이 영속기업 으로서 생존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경쟁상대와의 사이에서 차별화가 가능한 경쟁 업태전략의 전개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소매업의 역사는 소매업의 혁신에 의한 경쟁과 구조의 변화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 과정 속에는 소매업 그 자신이 제공하는 제품 서비스의 특징과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의식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는 주로 소매업에 있어서의 소비자와 경쟁이라는 2가지 요인을 줌심으로 이론 검토를 행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소매업태 선택행동에 관한 질문표 조사연구를 실시함으로서 소매전략의 전개 방향성을 제시하려 하였으며 그 예로서 업태개발 전환을 포함하는 소비자 지향의 새로운 소매전략의 전개와 점포로열티 강화전략을 들고있다.

  • PDF

CATV 홈쇼핑에서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Park, Jong-Hui;Kim, Do-Il;Choe, U-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3-215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의 CATV 홈쇼핑에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소비자들의 비윤리적인 행위에 관한 연구로서 소비자들의 비윤리적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심리학 분야에서 소비자들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와 오프라인 상의소비자 비윤리적인 행위에 관한 연구에서의 요인들을 홈쇼핑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홈쇼핑에 적용시켜보았다. 비윤리적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신뢰와 전환비용, 그리고 충성도로 보았다. 설문조사를 통해서 분석한 결과 홈쇼핑에 대한 신뢰와 전환비용은 소비자들이홈쇼핑에 대한 충성도를 만드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단계의 충성도는 소비자들의 비윤리적인 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홈쇼핑 사들은 소비자들과의 관계를 보다 탄탄하게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환비용을 지각하도록 하는 것보다 소비자 스스로가 홈쇼핑 사를 신뢰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면 소비자들의 비윤리적 행위는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search on design of Survey System for preference information of users who use the mobile electronics (휴대용 전자제품 사용자의 취향조사를 위한 설문 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

  • Kim, Choong-Gon;Baik, S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75-80
    • /
    • 2007
  • 현대 사회에서 급속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휴대용 전자제품의 기능이 점차 발달하고 있고, 그에 따른 새로운 제품 출시 주기도 점점 짧아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소비자의 성향을 빠르게 분석하는 것이 무엇 보다도 중요시 되었고, 이를 위해 빠르고 쉽게 소비자성향을 분석할 수 있는 설문조사시스템이 보편적으로 사용 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온라인 설문조사시스템은 설문을 쉽게 생성하고 더 정확한 결과를 얻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빠르게 변화하는 휴대용제품에 기존 설문조사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번 설문을 생성하면, 신제품의 추가가 있거나 제품의 정보에 변화가 있을 때 마다 설문이 자동으로 변형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모든 소비자에게 개인화된 설문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보여 지도록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onsumer Preference of the Soup·Stew HMR New Products (탕·찌개류 HMR 신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 기호도 연구)

  • Lee, Seung-Min;Choi, Eun-Kyoung;Cho, Mi-Sook;Oh, Ji-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8
    • /
    • pp.123-136
    • /
    • 2019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onsumer preference of the soup stew HMR new products, and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A total of nine products were studied, including three developed products and six market products. For this stud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HMR produc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onsumer panel evaluated overall liking, appearance, color, flavor, and taste using the nine-point recertification scale, while the strength assessed viscosity, sweetness, saltiness, sourness, and Umami. Familiarity, health degree,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reasons for preference and non preference were analyzed by multi-response method. The consumer preferenc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product is competitive among existing products an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improve after identifying the causes of non-preferred factors.

An American/Korean Older Consumers' Perceptions of Universally Designed Bathing Fixtures (유니버셜 디자인 된 욕실설비에 대한 미국/한국 노인소비자 견해)

  • Shin, Kyoung-Joo;White, Betty-Jo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1 no.2
    • /
    • pp.149-163
    • /
    • 2000
  • 노인소비자들은 나이와 함께 기능적인 능력이 감퇴하면서 주택내의 환경이 그들의 한계와 장애를 보완해 줄 수 있게 좀 더 지원적이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노인그룹을 포함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며, 편리한 생활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유니버셜 디자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으로 개발 된 혁신적인 욕실용품들, 즉 높이가 조절되어 앉거나 서서 사용하는 장점 등을 갖춘 세면대와 높이조절이 되는 이동식 샤워기가 장착된 걸어서 들어가며, 접이식 의자가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 욕조에 대한 소비자 의견의 검토이다. 피험자는 미국에 사는 미국노인과 한국노인(50세이상-79세까지)으로 합계 58명이었다. 실험장소는 미국서부소도시 대학의 유니버셜 디자인 연구실로, 이 대학의 협력으로 이곳에 장착된 신개발 설비를 이용하였다. 실험시기는 1997년 5월부터 11월 사이(봄, 가을)로 소비자 의견조사는 3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 설문조사에서는 피험자 거주주택의 욕실환경, 피험자의 목욕방법, 건강과 안전, 새로운 욕실설비에 대한 소비자 의견 등이 조사되었다. 2단계는 실제로 선정 된 욕실설비의 사용실험으로 피험자가 옷입은 상태에서 목욕을 가정하여 선택된 설비의 사용동작을 하면서(비디오 촬영) 조사자의 조사표에 의한 질문에 답하였다. 3단게는 2단계의 사용실험 후 유니버셜 디자인 된 욕실설비의 가정 내 도입의사 등의 조사를 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3단계의 소비자 의견조사 및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미국거주 미국노인과 한국노인의 비교에서 한국노인의 평균 신장이 3cm정도 작았고, 2개이상의 욕실을 가진 비율과 학벌, 독신거주비율은 미국노인이 다소 높았고, 욕조 소유율은 한국노인이 높았다. 2) 새로운 욕실 설비에 대한 소비자 의견은 미국과 한국노인 모두 유니버셜 디자인된 새 설비의 장점을 인정하였다. 욕조와 세면조가 매력적이라 평하였고 샤워조작기가 색상구분으로 도운물과 찬물인지가 편하며, 접이식 의자가 유용하며, 문 달린 욕조의 안전 손잡이와 욕조가장자리를 잡고 안전하게 출입한다고 했다. 그러나 욕조길이와 높이에서 두 나라간에 차가 있어 앞으로 치수에 대한 것이 연구과제로 지적되었다. 3) 욕실 설비 개발 시 유니버셜 디자인 용품에 요구되는 목표는 안전하게 쓸 수 있고, 가령에 따른 신체장애요소가 커버되어 스스로 사용가능하고, 사용상 번거로움이 없어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지않는 것이어야 하겠다. 4)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표준치수의 현 욕조위치에 장착이 가능하여 앞으로 현 주택에의 교체가 가능하였다. 5)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인체치수와 문화가 다른 두 나라 노인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앞으로의 국제적 보급이 기대되었다.

  • PDF

Policy Implications for Vitalizing U-health Services Based on the Consumer Survey and the Expert Interview (u-health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 소비자 설문 조사 및 전문가 조사에 기초하여 -)

  • Cho, Hyun-Seung;Koh, Dae-Yo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4 no.3
    • /
    • pp.488-51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vitalizing u-health services. We carried out survey of 500 consumers and indepth interview with various experts. Both experts and consumers believe that u-health services will become prevalent in the longrun, although there exist obstacles against vitalization of u-health services. To vitalize u-health service,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aise reliability and recognition of u-health service for consumers. Furthermore, law and institution regarding u-health services should be improved to give enough incentives for u-health suppliers and consumers.

  • PDF

A Surve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in Seoul Area (서울지역 소비자들의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도 조사)

  • Choi, Mi-Hee;Youn, Su-Jin;Ahn, Yeong-Sun;Seo, Kab-Jong;Park, Ki-Hwan;Kim, Gu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9 no.10
    • /
    • pp.1555-1564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s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ood labels which are more informative to consumers. The questionnaires had been collected from 120 male and female customers living in Seoul with the age between 10's and 60's from November 2nd to November 7th 2009. For checking the food label at the time of purchase, 58.3% of the consumers checked the food label and the main reason for checking the food label was to confirm sell-by date (60.1%). Sixty percent of the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food labeling. Among those who are not satisfied, 30.6% complained about difficult terms to understand and 25.8% were dissatisfied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 In every age group, most people were not satisfied with labeling on food ingredient and additives, followed by date of manufacture and sell-by date. 53.1% of consumers demanded to label date of manufacture and sell-by date together. For more clear information, consumers wanted use-by date (47.5%) rather than sell-by date (23.3%). 56.7% of consumers was dissatisfied with warning information such as allergic warning and the reasons for dissatisfaction were poor visibility (37.5%)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33.4%). Moreover most consumers (90.0%) showed little knowledge on irradiation. To improve of the food labeling standards into consumer-oriented standards, both amendment of the food labeling standards and consumer education will be necessary.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Awareness Types and Eco-Friendly Consumption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환경의식유형과 친환경소비에 관한 연구 - 한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

  • Jang, Seung-Ock;Shin, Sang-Heu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7 no.2
    • /
    • pp.33-48
    • /
    • 200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types of environmental awareness as an eco-friendly/non-eco consumer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of research were collected by a survey questionnaire with face-to-face interviews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fifty-six variables with five questions of demographic factors. The variables employed in the survey were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suggested by the focus group to make the questionnaire influential in studying the trends of eco-friendly consumers. Descriptive statistic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were used by two groups of the student consumer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each factors; practice, habit, recognition, concern, and insistence. Environment-friendly consumer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n eco-friendly consumers including practice, habit, and concern toward environmental issues.

  • PDF

A Study on the New Peach Graching System in Stages for Efficint Marketing (복숭아 유통개선을 위한 단계별 등급화 체계 연구)

  • 이기우;박재홍;이호철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7 no.4
    • /
    • pp.349-356
    • /
    • 2000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to suggest the most efficient roach standardization that is performed and is preferred by consumers to provide benefits for all of them. The data was collect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peach standardization consumption and consumer preference, and marketing situation by using interviews from peach producers, wholesaler and retailer, and consumers for three years (1997-1999). The most important standardization criterion at present was found to be a weight among peach producers, a color among wholesaler and retailer and consumers. In addition, sweetness was ranked first among the producers, wholesalers and retailers, and consumer if sweetness were detected without running peaches. Especially, consumers preferred to purchase small amount with small package and presented sweetness as the most preferred criterion. Thus, it is necessary for peach producers, wholesaler and retailers, and consumers to establish the small package standard and to subdivide the present system into several grades for performing the two-way system which labels grade with sweetness and weigh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