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비자전망지수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소비자전망지수의 유용성 검토

  • 박원란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3-119
    • /
    • 2005
  • 경제적성과는 생산자, 소비자, 정부 등과 같은 경제주체들이 생산, 투자, 소비 등의 활동을 얼마나 유기적이며 효율적으로 잘 하느냐에 달려있고, 소비자전망조사는 경제주체 중 소비자의 향후 경기 및 소비에 대한 심리를 조사하고 이를 지수화하여 소비 및 경기 예측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렇게 작성된 소비자기대지수와 소비자평가지수는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움직이며, 이들의 차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보다 3개월 정도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기대지수는 계절성 검토결과 계절성이 있으며, 원계열보다 계절조정계열이 움직임이 뚜렷하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비교결과 선행성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소비자기대지수는 소비관련 지표인 GDP 민간소비와 가계소비지출과도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변수로서의 유용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통계청의 소비자전망조사

  • 문권순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대회 발표논문집
    • /
    • pp.71-82
    • /
    • 2001
  • 통계청의 소비자전망조사는 국민경제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가계소비지출의 변동을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소비자들의 경기에 대한 인식, 소비지출 계획 등을 조사ㆍ분석하는 월별 조사로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청의 소비자전망조사의 조사방법과 소비자기대지수, 소비자평가지수 등의 작성방법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지수의 분석은 소비자전망조사의 시계열이 짧은 점을 감안하여 제한된 시계열내에서 소비자기대지수와 경기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와의 시차성을 살펴보았다.

  • PDF

경제체감(Economic Sentiment)의 측정

  • 민경삼;장선희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1-128
    • /
    • 2005
  • 경기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실물경기지표뿐만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의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판단 즉 경제체감을 파악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업경기 및 소비자 전망조사의 통계자료들을 활용하여 경제체감(Economic Sentiment) 측정을 시도하였으며, EU 접근방식을 적용하여 2003년 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우리나라의 경제체감지수(ESI)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지수의 상관분석 결과는 경제체감지수(ESI)가 양호한 선행지표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소비지출 영역별 소비자전망지수와 실제소비 (Consumer Expectation Index and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 김경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6호
    • /
    • pp.181-192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fulness of Consumer Expectation Index to predict real household spending. Specifically, the forecasting impact of the index on clothing, eating-out, entertainment, education, and health consumption area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EI was a good indicator for the future household spending of clothing, eating-out, entertainment and total consumption but it was not true for the spending of education and health. Most of C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ousehold spending even when household income and CPI were controlled. The impact of CEls on household spending tended to be lagged by one or two quarters.

일본타이어산업의 수급전망

  • 대한타이어공업협회
    • 타이어
    • /
    • 통권102호
    • /
    • pp.36-40
    • /
    • 1982
  • 본고는 1981년 일본 EXXON CHEMICAL 에서 일본 타이어 산업의 장기 전망(1982~1990)을 조사ㆍ추정한 것이다. 특히 본조사에서는 타이어 산업에 직접 연관되는 각종 요인(자동차생산ㆍ보유대수, 인구, GNP, 소비자물가지수 등)들을 세밀히 조사분석하여 자동차용 및 자전차용 타이어 튜브의 수급실적과 장기수급전망을 예측ㆍ추정하였다.

  • PDF

소비자물가와 금리, 매출실적이 종합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Consumer Price, Interest Rate and Sales Performance on the KOSPI)

  • 양승권;최정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169-176
    • /
    • 2019
  • 최근 한국경제는 일본의 경제보복조치와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 한국은행의 0.25% 기준금리 인하,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 수정으로 혼잡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종합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국고채(3년) 금리, 전산업의 매출실적을 분석하여 각 지수별로 종합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분석기간은 2003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이고, 각 지수별로 종합주가지수에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수치분석에서 상관계수와 회귀분석을, 모형분석에서 분포도, 사분위도, Scatter, Box-Plot, Impulse Response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 지수별 변동성과 동행성을 찾아보았다. 분석결과 종합주가지수는 매출실적과 국고채금리 순으로 높은 동행성과 변동률을 보인 반면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매우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앞으로 종합주가지수는 매출실적과 금리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 꾸준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뉴스기사를 이용한 소비자의 경기심리지수 생성 (Construction of Consumer Confidence index based on Sentiment analysis using News articles)

  • 송민채;신경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3호
    • /
    • pp.1-27
    • /
    • 2017
  • 경제주체들의 경기상황에 대한 판단 및 전망은 경기변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경기심리지수와 거시경제지표들 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기선행지표로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경기심리지수에는 소비자동향조사, 기업경기조사, 경제심리지수가 있다. 그러나 설문조사를 통해 생성된 지수는 자료의 성격상 속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형데이터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도록 비정형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해 경기심리지수를 생성하고, 경제분석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민간소비와 관련된 실물지표에는 소매판매업지수와 서비스업생산지수를 사용하였고, 고용지표에는 고용률과 실업률을, 가격지표에는 소비자물가상승률과 가계의 대출금리를 사용하여 지표들 간의 추이 분석 및 시차구조 파악을 위한 교차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지표들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분석결과, 다른 지표들의 선행지수로 많이 사용되는 소비자심리지수와 비교해 선택 지표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1~2개월 선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력 또한 향상되어 텍스트데이터에서 생성한 소비자 경기심리지수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온라인에서 생성되는 뉴스기사나 소셜 SNS 등의 텍스트 데이터는 속보성이 뛰어나고, 커버리지가 넓어 특정 경제적 이슈가 발생할 경우 이것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기판단지표로써의 잠재적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경제분석에서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한 국내연구는 초기 단계지만 데이터의 유용성이 확인되면 그 활용도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오리산업 상반기 결산 및 하반기 전망

  • 조문규
    • 오리마을
    • /
    • 통권50호
    • /
    • pp.34-37
    • /
    • 2007
  • 국내 오리 산업은 올 상반기 오리고기 생산물량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지수는 비교적 안정적 호황국면이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업계 및 관련분야의 소비촉진행사 및 언론방송의 관심으로 오리고기에 대한 좋은 점이 그 어느 때 보다 크게 부각된 결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타 축산물과 비교하여 오리고기의 좋은 점이 방송에 나간 이후 소비자들의 오리고기에 대한 가정소비 및 외식소비가 크게 호전된 것 역시 상반기 오리 산업의 경기를 안정적인 성장을 가져온 주 요인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오리고기 요리를 다양하게 특성화한 크고 작은 오리고기 전문점이 크게 증가한 것도 오리 산업 안정화에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비교적 안정적 경기를 이어가고 있는 국내 오리 산업의 올 상반기 오리생산 물량과 가격동향, 소비동향을 분석하고 하반기 오리생산물량을 분석하여 호경기를 이어갈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한다.

  • PDF

거시경제지표가 터미널운영사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글로벌터미널운영사 중심으로 (Impact of Macroeconomic Factors on Terminal Operators' Profit: Focusing on Global Terminal Operators)

  • 이주호;윤원영;박주동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9-140
    • /
    • 2020
  • 향후 세계 컨테이너 하역시장은 선박의 초대형화와 거대 얼라이언스로 재편될 예정으로 항만에 대한 협상력이 더욱 강화되어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네트워크와 운영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GTO의 경쟁력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중반 GTO 육성을 추진하였으나 이해당사자간 이견으로 인해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지역에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지표를 활용하여 GTO의 경영성과를 분석하여 단기적으로는 거시경제지표의 변화에 따라 국내 항만운영사의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하고 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의 GTO 육성방안을 수립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영성과를 비교한 결과 ROA는 2010년에서 2018년까지 정부하역형은 4.61%, 민간하역형은 5.05%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ROS는 28.37%, 13.82%로 매우 큰 격차를 보였다. 정부하역형의 경우 자국의 홈포트에서 독과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어 매출액 규모에 크게 영향을 주는 항만 하역요금을 결정할 수 있으며, 항만 운영 및 개발을 담당하는 공기업으로서 정부의 항만 정책에 관여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거시경제지표가 정부하역형과 민간하역형 GTO의 이익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한 결과, 정부하역형과 민간하역형을 포함한 하역형 GTO의 이익은 거시경제지표인 GTO 하역능력,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상해종합주가지수, 국제유가, 리보금리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거시경제지표에 대한 정부하역형 GTO와 민간하역형 GTO의 이익에 대한 영향도의 크기는 다소 차이가 있을지 모르나 통계적로로 유의할 정도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