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비자선택

Search Result 1,15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관광라이프스타일과 관광지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 Sin, Hyeon-Ho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4
    • /
    • pp.1-24
    • /
    • 1999
  • 소비시장은 소비자들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천한다. 다가오는 21세기에는 소득수준의 향상과 다원화사회가 이룩되면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행태도 새롭게 형성될 전망이다. 이는 21세기 소비자행태와 소비시장변화를 소득수준의 향상과 이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 자유시간의 증대, 신소비계층의 출현 등의 변수를 통해 예측된다. 최근, 사회 경제적으로 이루어지는 급격한 변화 등으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화되면서 소비자들의 관광지 선택행동에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과거 저가격위주의 관광을 하던 관광자들이 점차 그들의 생활의 질을 추구하기 위해서 좀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서도 보다 매력적인 관광지를 방문하는 것이 이러한 변화의 한 예라 할 수 있겠다. 관광자가 관광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기본적으로 소비자의 점포선택이나 제품에 대한 선택과정과도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점포선택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제기되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이나 관광지선택에 따른 관광자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선택속성은 그 구성면에서 유사하기 때문이다. 관광자 행동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유형연구는, 다양화되어 가는 생활양식에 기인하여 관광지 선택행동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Influence of Japanese Restaurant Menu Select Attribute on Consumer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Customer Preferences - (일식 레스토랑 이용 소비자들의 메뉴선택속성이 소비자 선호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u, Sung-Min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2 no.4
    • /
    • pp.353-364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influence of menu select attribute on consumer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Japanese restaurant consumers. Survey method was employed and distributed during January 1 to January 31, 2016 from who have an experience in Japanese restaurant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First, the quality of the menu (${\beta}=.444$, p<.001), menu design(${\beta}=.425$, p<.001), select menu motivation (${\beta}=.147$, p<.001) positively impact on consumer preferences. Second, consumer preferenc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Third, the quality of the menu (${\beta}=.650$, p<.001), menu design(${\beta}=.120$, p<.001), select menu motivation (${\beta}=.263$, p<.001) positively impact on consumer satisfaction. Finally,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onsumer preference was identified between select attributes and consumer satisfaction.

전자상거래에서 지각된 위험과 위험감소행동에 관한 연구

  • 황준하;정문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215-229
    • /
    • 2000
  • 소비자 의사결정 행동은 여러 가지의 대안 중에서 선택의 문제이다. 그러한 선택에는 각각의 선택에 따른 위험이 따르기 마련이다. 일반 상거래에서의 이러한 위험에 관한 연구는 소비자 행동 연구에서 이미 오래 전에 다루어진 문제이다. 위험이란 현실적 내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위험이 아니라 소비자가 선택상황에서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위험 즉 '지각위험(perceived risk)'을 의미하는 것이다. 소비자가 어느 만큼의 위험을 지각하느냐와 그 자신의 위험수용성이 곧 그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주게 된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Factors of Consumer's Store Choice for Small Businesses: Focused on Gyeonggi Area (소비자의 소상공인 점포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 중심으로)

  • Park, Mina;Lee, Mi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321-322
    • /
    • 2021
  • 정부의 지속적인 소상공인 지원정책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발생 및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소상공인 점포의 매출액 급감 등 소상공인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소매업 초유의 위기 상황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 소상공인이 보다 경쟁력 있는 점포를 선정하기 위한 선택요인을 도출하고 이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AHP를 이용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소상공인 관련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AHP를 실시한 결과 소상공인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낮은 가격으로 질 좋은 서비스 받기를 원하고 점포입지와 배달서비스가 소비자 점포선택에 있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점포선택에 있어 상품과 편의성 보다는 서비스를 가장 크게 고려한다는 유의적 의미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발생 상황 및 디지털 기기의 급속한 발전이 소비자의 점포선택에 있어 크게 영향을 준 것이다.

  • PDF

Modeling Consumers' WOM (Word-Of-Mouth) Behavior with Subjective Evaluation and Objective Information on High-tech Products (하이테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정보 구전 활동에 대한 연구)

  • Chung, Jaihak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1 no.1
    • /
    • pp.73-92
    • /
    • 2009
  • Consumers influence other consumers' brand choice behavior by delivering a variety of objective or subjective information on a particular product, which is called WOM (Word-Of-Mouth) activities. For WOM activities, WOM senders should choose messages to deliver to other consumers. We classify the contents of the messages a consumer chooses for WOM delivery into two categories: Subjective (positive or negative) evaluation and objective information on products. In our study, we regard WOM senders' activities as a choice behavior and introduce a choice model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oice of different WOM information (WOM with positive or negative subjective evaluation and WOM with objective informa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formation source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by developing two bivariate Probit models. In order to consider the mediating effects of WOM senders' product involvement, product attitude, and their characteristics (gender and age), we develop three second-level models for the propagation of positive evaluations, of negative evaluations, and of objective information on products in an hierarchical Bayesian modeling framework.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WOM senders' information choice behavior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ources on WOM activities differ according to the types of WOM messages (subjective evaluation (positive or negative) and objective information). Therefore, our study concludes that WOM activities can be partially managed with effective communication plans influencing on consumers' WOM message choice behavior. The empirical results provide some guidelines for consumers' propagation of information on products companies want.

  • PDF

The Influence of the Number of Alternatives and Product Familarity on Consumer Purchase Decisions (선택대안의 수와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친숙도가 점포 내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 Ha, Hwan-Ho;Hyun, Jung-Suk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11 no.2
    • /
    • pp.97-122
    • /
    • 2006
  • A common assumption in marketing channel is that assortment benefits consumers. Recent research, however, has suggested that increasing the size of the choice set may have adverse consequences on the consumer choice.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several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consumer choice in the context of product assortment.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 on the influence of the number of alternatives on the likelihood of purchase from the choice set. The preference for the no-choice option decreases as the number of alternatives increases. And it becomes higher when a dominating alternatives is present. And familiarity are considered as a factor affecting consumer's preference for a no-choice option. When a dominating alternatives is present, there i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familarity and choice set size. It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PDF

When Do Consumers Follow Majority Choice? - Different Effect of Purchase versus Usage Situation - (어떤 상황에서 소비자는 다수의 선택을 따를까? - 구매상황과 사용상황이 미치는 상이한 영향을 중심으로 -)

  • Kim, Moon Seop;Oh, Hyunmin;Kim, Jae Il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2 no.1
    • /
    • pp.31-50
    • /
    • 2010
  • People have competing desires. Hence, people not only chase others' choices due to the need for assimilation but also avoid others' choices due to the need for differentiation. This study attempts to uncover under which conditions consumers assimilate with or differentiate from others' choices. Specifically, the study extends previous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others' choices by focusing on the effect of a choice situation (purchase vs. usage) based on the conformity theory and the uniqueness theory. It was found that purchase (vs. usage) situation makes people more conform to others in case of identity-irrelevant product (e.g., USB memory stick). Also, the effect of the choice situation was moderated by the perceived identity-relevance level in case of identity-relevant product (e.g., jeans).

  • PDF

Analysis of food choice motivation according to health consciousness of overseas consumers: focus on American and Japanese consumers (해외 소비자의 건강관심도에 따른 식품선택 동기 분석: 미국 및 일본 소비자를 중심으로)

  • Lee, Seo-Hyun;Ryoo, Jae-Yoon;Lee, Min A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3 no.4
    • /
    • pp.431-44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health interest of consumer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us understand the motivation of food choic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ountry's strategy based on healthy and correct food choices in the future. Methods: A customer survey was conducted in 2019 from October 18 to 31, and it targeted 115 American and 120 Japanese local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20- to 64-years-old. Eight questions were formed using General Health Interest. Based on food choice motivation, 27 questions were reconstructed and asked about demographic information. All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ver. 25). Results: Health consciousness was categorized into 2 types: nutrition-seeking type and preference-seeking type. Based on these 2 factors, customers were grouped into 3 clusters: healthy dietary life-seeking group, nutrition balance-seeking group and health indifference group. Food choice motivation was categorized into 4 types: health, efficiency, value, and mood. All 3 groups showed a high tendency for efficiency in common.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want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time and money invested in food consumption. It is believed that the focus and investment of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should be focused on product development, especially for American and Japanese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heal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flect consumer needs that can assist in the selection of healthy and correct foods in the future.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Clothing Interest, and Attitudes toward Brand and Purchase - Cross-cultural Study between Korean and United States Consumers -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 의복관심 및 브랜드와 구매에 대한 태도 연구 -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 Kim, Ji-Young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1 no.1
    • /
    • pp.181-192
    • /
    • 2009
  • 본 연구는 소비자가 다른 사람과 차별되며 특별하게 지각되고자 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소비자의독특성 욕구와 의복에 대한 관심이 브랜드 인식, 브랜드 충성, 및 구매의도와의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관계에 있어 문화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특성이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과정의 모형을 검증한 후, 두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한국과 미국대학생을 중심으로 수집되었으며, 응답이 부정확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85부-한국 271부와 미국 214부-만이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방법으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SPSS 11.0을 이용하여 신뢰도 계수를 구하였으며, Prelis 2와 Lisrel 8.53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한국과 미국소비자의 선택친 모형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모형의 구조에도 차이를 보였을 뿐 아니라 각 변수간의 영향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의 하위차원인 '독창적 선택'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는 두 그룹간의 반대의 성향을 보였으며, '비대증적 선택'과 '브랜드 인식'도 또한 한국 소비자는 정의 관계를 보인 반면, 미국소비자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더불어 유사성을 회피하려는 한국소비자들은 브랜드에 충성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미국소비자들은 브랜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 문화간의 차이가 있음을 뒷받침하였다. '브랜드 충성도'는 두 집단 모두 '구매의도'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환경변화에 따른 새로운 소매전략의 전개방향에 관한 연구 -일본 소비자의 업태선택행동을 중심으로-

  • Sin, Mun-Sik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4
    • /
    • pp.133-151
    • /
    • 1999
  • 소매업이 영속기업 으로서 생존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경쟁상대와의 사이에서 차별화가 가능한 경쟁 업태전략의 전개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소매업의 역사는 소매업의 혁신에 의한 경쟁과 구조의 변화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 과정 속에는 소매업 그 자신이 제공하는 제품 서비스의 특징과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의식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는 주로 소매업에 있어서의 소비자와 경쟁이라는 2가지 요인을 줌심으로 이론 검토를 행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소매업태 선택행동에 관한 질문표 조사연구를 실시함으로서 소매전략의 전개 방향성을 제시하려 하였으며 그 예로서 업태개발 전환을 포함하는 소비자 지향의 새로운 소매전략의 전개와 점포로열티 강화전략을 들고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