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방 훈련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Contents of the Installation Criteria of the Fire Suppression Education & Training Facilities (화재진압 교육훈련시설 설치기준의 필요성 및 내용에 관한 연구)

  • Song, Woo Seung;Ham, Seung Hee;Yoon, Myung 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3
    • /
    • pp.62-71
    • /
    • 2014
  • The importance of the firefighting education & Training is being magnified in order to enhance and strengthen a firefighters' ability and to reduce the firefighters' fatality and casualty. Therefore, It is needed to expand the facilities. In this study, wit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lobal firefighting education & training facilities for fire suppression, we try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the basic contents of the establishing the installation criteria for the domestic firefighting education & training facilities. It has to contain specific purpose of the training and minimum standards for the structures with a guarantee of an international level. Naturally, the top priority is a safety of trainees and trainers. And, it should pay attention to a higher effectivity of the training course with a active reflection of the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scenarios. Simultaneously, by securing a similarity and a compatibility to the other standards, it must maintain the balance of a whole standard.

Development of the Fire Simulator Based on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반 소방안전대응 시뮬레이터 개발)

  • Choi, Byung-Il;Han, Yong-Shik;Kim, Myung-Bae;Cha, Mu-Hyun;Lee, Ja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195-198
    • /
    • 2010
  • 가상환경에서 화재를 재현, 체험 및 소방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실감영상기반 소방안전 대응 훈련 시뮬레이터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방훈련 시뮬레이터를 설계하고, 대상 화재 공간을 가상현실에 구현하였으며 화재 대응 시나리오 지침을 마련한 후 화재시나리오에 따른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전산해석 결과를 토대로 한 화재상황을 가상공간 구현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팀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팀 훈련 모듈과 열기를 체험할 수 있는 물리 체험모듈을 장착하여 모듈을 추가하여 6팀이 고층 빌딩 및 지하역사에서 소방안전 팀 대응 훈련을 할 수 있는 소방안전 대응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AHP를 이용한 서울특별시소방학교 교육훈련프로그램 분석

  • Kim, Jin-Geun;Park, C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9-120
    • /
    • 2013
  • 소방조직의 효과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를 AHP를 통해 재난관리 중요도를 산정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직무중심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방법에 의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분석은 소방학교를 포함한 모든 공공교육기관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어 과거 답습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재활용에서 벗어나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Fire Training Strategy (소방훈련 방안에 관한 전략적 연구)

  • Ki, Jaeseu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83-184
    • /
    • 2017
  • 최근 사회 환경의 변화를 보면 혁신 기업도시 건설 등으로 인한 전국토의 도시화 및 도시구조물의 초고층화 및 밀집화 등으로 대형 재난발생의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인해 재해규모가 대형화 되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고령화 사화 도래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복지정책 강화와 재난에 대한 서비스 강화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재난환경의 변환은 기존 소방훈련 패러다임의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보다 실질적이며, 다양한 재난상태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훈련을 요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환경의 변화와 교육 및 훈련 패러다임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소방훈련을 국내외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하여 향 후 소방훈련 시설 설계에 기준이 되도록 훈련 방안을 제시한다.

  • PDF

Fire safety education and virtual training system (소방안전교육 가상훈련 시스템)

  • Yoon, Tae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335-33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가상훈련 기반 소방안전교육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기존의 소방교육은 오프라인 형태로 여러 명이 모여 훈련을 받아야 하는 만큼 공간적, 시간적 제약이 많다. 이러한 시공간적 제약을 없는 체감형 훈련 방안을 시스템으로 구축하고, 소방 훈련 콘텐츠를 탑재한다. 건물 내 화재 발생시 5분내 초기 대처가 중요한 만큼. 가상훈련의 실제 5분을 기준으로 훈련 방법을 제시한다. 본 소방안전교육 시스템은 HMD(Head Mounted Display)을 적용하여, 3차원의 입체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며, 훈련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공간 내 실시간 반영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한다.

  • PDF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for Unexpected Scenarios Fire-Fighting Drill (무각본소방훈련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Seung-Il;Lim, Jeong-Won;Kim, Jae-Kyeong;Kim, Jun-Wo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2 no.2
    • /
    • pp.110-117
    • /
    • 2018
  •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xisting fire fighting drills and build a practical and effective fire fighting drill system to enhance emergency response capabilities. The unexpected scenarios fire fighting drill is to conduct drills with no scenarios and draw conclusions with quantified outcomes in real time, which provides the object evaluation system. The unexpected scenarios fire fighting drill is based on the IoT sensor-based drill evaluation system to suit individual requirement of drilling spots. This study also includes drill field test conduct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evaluation system for quantified outcomes. It is considered that the evaluation system of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systemat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fire fighting drill, raise trainees' safety consciousness, and ultimately increase the actual fire fighting response capabiliti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rtual Environment for Team-based Firefighter Training (소방관 팀 훈련을 위한 가상환경의 설계 및 구현)

  • Lee, JaiKyung;Cha, Moohyun;Choi, Byungil;Kim, T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818-819
    • /
    • 2010
  • 고층빌딩, 지하역사와 같은 대형 복합건물은 건물 자체의 복합도 증가와 더불어 이에 따른 위험요소(hazard)의 증가를 가져오고 위험상황에 대처해야 할 소방관들의 대응기술 및 훈련도 고도화되어야 한다. 실제 화재현장, 특히 대형 복합건물에 대한 훈련은 비용, 시간뿐만 아니라 소방관 안전 확보라는 차원에서 불가능하며 반복적인 훈련이나 그 평가가 어렵다는 점에서 가상환경을 이용한 훈련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건물에 대한 소방관 팀 훈련 시스템 구현을 위한 가상환경의 설계 및 구현을 소개하고자 한다. 가상환경은 소방관의 훈련 및 평가, 팀 단위훈련을 제공하고 현실감 있는 훈련을 위하여 가상현실, 증강현실, 물리체험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가상환경 구축을 위하여 대상 건축물에 대한 3 차원 모델을 구축하고 도출된 발생 가능한 화재 시나리오에 대한 수치적 모델링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가상환경 및 훈련 시나리오에 반영하였다.

A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trainee on the Fire Fighting Ship Training Simulation (소방선 훈련 시뮬레이터 훈련원 평가 시스템 개발)

  • Oh, Myung-Hyun;Kim, Han-Gyu;Kim, Jeong-Eun;Kim, Eu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166-169
    • /
    • 2011
  • This system is a FFS(Fire Fighting Ship) Training System to simulate real FFS Ship. In this system, Trainees get the skill of maneuvering and fire fighting and ability to make the best of situation by experiencing various scenario from instructors. In this case, There need to be an evaluation system to evaluate trainees objectively and acceptably. And the FFS Training Evaluation System was developed.

  • PDF

The Deduction of Evaluation Element and Design of Debriefing System for Fire Training Simulation (소방훈련시뮬레이션을 위한 평가 요소 도출 및 디브리핑 시스템 설계)

  • Park, Keun-Woo;Lee, Keun-Hwa;XU, YONGZHE;Kim, Eun-Ju;Lee, B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765-768
    • /
    • 2013
  • 긴급 상황이 많은 일선 소방관들에게 실제 화재 상황에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고양하고자 소방관들을 위한 훈련용 시뮬레이션 게임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훈련용 시뮬레이션 게임을 소방관들이 개인이나 팀으로 게임을 마쳤을 때, 훈련 성취도를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훈련용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훈련 성취도를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평가 요소를 도출하여 디브리핑 시스템에 적용한다. 이러한 디브리핑에 대한 최종 결과 데이터를 통해 훈련생은 시뮬레이션과 실세계를 연결할 수 있고 훈련에 대한 참여도와 목표의식, 그리고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ransfer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the Perceptions of Fire Officials - (재난관리 교육훈련의 전이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경기도 소방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

  • Chae, J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3
    • /
    • pp.117-123
    • /
    • 2016
  •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current study drew factors affecting the transfer of education and training through a review of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 and aim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these factors actually affect the transfer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fire officers.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degree of perception on the transfer of education and training were in the order of work relationship, learning culture, peer support,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bility, and teach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