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방장비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초

소방공무원들이 인지하는 소방장비 보급으로 소방장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방장비 신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Fire Fighting Equipment by Distribution of Fire Fighting Equipment: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Reliability of Fire Fighting Equipment)

  • 이선범;김양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77-684
    • /
    • 2017
  • 본 연구는 소방장비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방공무원들이 인지한 소방장비 보급이 소방장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 두변수 사이에서 소방장비 신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7개 소방서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AMOS 18.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장비 보급량의 적절성과 보급의 적시성은 소방장비 신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소방장비 신뢰성은 소방장비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소방장비 보급량의 적절성은 소방장비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소방장비 신뢰성은 소방장비 보급량의 적절성과 소방장비 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방장비의 효과적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ffectiv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Fire Fighting Equipment)

  • 채진;우성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48-60
    • /
    • 2009
  • 최근 소방행정 분야에 인력 및 각종 소방장비의 확충보강 등은 이루어 졌으나 소방장비분야에서는 주로양적 팽창만 이루어진 결과 유지 관리상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소방장비는 특성상 실용성 경제성 내구성이 높고 꼭 필요한 곳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성을 갖고 있어야 하나 현실적인 유지관리 상태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방장비 유지 관리에 대한 실태분석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비교 분석하여 의사소통의 활성화, 최고 관리자의 관심과 지지, 전문성 확보, 현장에 적합한 장비 보급 등 소방장비의 효과적인 운용방안을 제시함.

회전용적형펌프의 소방장비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firefighting equipment in use of Rotary Positive Displacement Pump)

  • 김유식;노성왕;박종원;주종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71-75
    • /
    • 2011
  • 현재 소방장비에 적용되어지는 소방펌프를 살펴보면 원심펌프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폼 약제 이송 장치와 같은 특수한 장비에 용적형펌프가 일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국내 소방펌프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또한 원심펌프 위주로 되어 있어 원심펌프 이외의 펌프를 소방장비에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압으로 대유량 방수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회전용적형펌프의 방수성능을 기존의 원심펌프와 비교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회전용적형펌프의 소방장비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조기 화재진압용 이동형 소화장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ve mode digestion equipment development for early fire suppression)

  • 김유식;손봉세;노성왕;박종원;주종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21-124
    • /
    • 2012
  • 오늘날 급속한 산업사회 및 환경변화로 인하여 불특정 다수인들이 생활하는 공간들이 고층화 및 대형화가 가속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중 특히 소방안전에 있어서 현실을 만족하지 못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소방장비에 적용되어지는 소방펌프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여 새로운 소화체계의 개선과 장비 운영의 효율화를 기하고자 하며, 앞서 연구 개발된 회전용적형 펌프에 기동성과 다양성을 접목하여 기존의 소방시스템에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그간 법적인 문제로 인하여 원심펌프 이외의 펌프를 소방장비에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기동성과 접근성을 도출하여 초기화재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소방장비의 접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소방계 화재 - 자가 공기충전기 및 다목적 특장차 개발

  • 한국화재보험협회
    • 방재와보험
    • /
    • 통권30호
    • /
    • pp.62-63
    • /
    • 1986
  •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화재로 인한 재해의 댱상도 과거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컨데 소위 첨단산업 등 신기술에 의한 산업구조의 변화는 새로운 화재위험요소를 내포, 파생시키고 있기 떄문에 이들 재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소방 또한 그 이상의 기술개발, 이를테면 소방기술 첨단화 등을 위한 노력이 뒤따르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이와 관련, 서울 영등포 소방서(서장 배장성)에서는 여러가지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기존 장비에 도입하여 소방장비를 개선, 실용화함으로써 소방활동의 효율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여기에 그 실례 두 가지를 소개한다.

  • PDF

소방공무원의 보호장비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Wearing Practic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irefighter : Focusing on Gyeongnam Province)

  • 방창훈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65-7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의 보호장비 착용실태를 연구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보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용 보호장비에 대한 전체 신뢰도는 3.19로 조사되었으며 신뢰도 향상을 위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소방공무원은 보호장비 중 가죽제 안전화(2.68), 장갑(2.67) 그리고 고무제 안전화(2.59)등에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고무제 안전화(2.75), 다음으로 장갑(2.77), 가죽제 안전화(2.97)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소방용 보호장비에 대하여 소방공무원은 전체적으로 착용감과 무게에 많은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인체공학적 디자인과 고성능 경량의 소재 개발 등이 필요하다.

복사열 노출에 따른 소방보호복의 열보호성능 측정

  • 방영준;이준경;방창훈;권정숙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8-79
    • /
    • 2013
  • 소방보호복은 화재진압현장에서 소방관들을 화상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가장 많이 착용하는 장비이다. 소방보호복의 열보호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소방관들의 화재진압작업시 위험요소를 적절히 판단하여 화상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사열 노출에 따른 소방보호복의 열보호 성능을 정확히 측정 및 분석하기 위해 실험 장비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방 보호복의 구성 재료 각각에 대해 복사열 노출을 시켜 시간에 따른 피복 전후면의 온도차와 통과 열유속을 측정하여 소방 보호복의 열보호 성능 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

화재안전트리 이론에 따른 초고층건축물의 소방력 공급방안: 수동화재진압 전략을 중심으로 (The Method of Force of Fire in High-Rise Building by Guide to the Fire Safety Concepts Tree: Focusing on Manually Fire Suppression Strategy)

  • 오승주;공하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1호
    • /
    • pp.79-88
    • /
    • 2020
  • 이 연구는 초고층건축물의 고층부에서 소방력의 공급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재감지는 외부에서 경보·진동·음성 등 화재경보의 다양화, 화재발생지점의 명확화 및 건축물 외부에도 화재층 표시를 통해 소방력 공급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호통신은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설치대상을 강화하고, 중계기 설치를 보완하며, 다중통신망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행동결정은 인접건축물에서 도하의 방법으로 진압대원 및 소방장비를 공급하고, 일정 층마다 파괴가 용이한 유리창을 설치하며 식별표시도 필요하다. 넷째, 현장대응은 활강과 수직구조기법을 적용하여 소방장비의 공급 및 진압대원의 진입을 돕고 드론을 이용하여 소방장비를 공급한다. 마지막으로 충분한 소화액 제공은 헬리콥터와 인접한 건축물을 이용하여 소방용수를 공급한다.

한일 의용소방대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Volunteer Fire Brigade in Korea and Japan)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40-343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한일 의용소방대에 대해 관련법령과 조례, 조직, 보유장비와 시설, 대원확보대책, 의용소방대 존재필요성에 대한 인식 등을 비교하였다. 이 비교분석을 통해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관설소방이 잘 발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용소방대를 활성화하기 위해 소방청 차원에서도 다양한 정책과 제도를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관설소방이 잘 발달된 동경(東京)도 서울과 달리 의용소방대를 육성 발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