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방설비

Search Result 59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Cases in Assessment of Recommanded Replacement Year of Outdated Fire Equipment in the Cases of Japan (소방용 설비의 교체연한 산정을 위한 사례 연구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Lee, Kyu-Sik;Seo, Hyun-Cheol;Na, Wook-Jeong;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301-306
    • /
    • 2011
  • 건축물의 다양한 설비는 내부 거주자의 안전, 쾌적, 위생 등 환경적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방용 설비의 경우 화재발생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며 평상시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시엔 확실한 작동이 요구된다. 소방용 설비는 경년변화로 인한 기기의 성능저하 및 고장발생의 우려가 큼에도 그 특성으로 인해 고장 및 기기의 결함을 조기 발견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국내에서는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기준을 마련하여 이를 소방용 설비의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있으나 형식적인 점검방법으로 인해 다음 점검주기까지의 성능보장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학적 근거에 의한 소방설비의 내구연한을 제시될 필요가 있어 국내에서도 현재까지 소방설비에 내구연한 산정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나 내구연한 산정방법과 기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공업회의 자주적인 대처로 산정된 소방용설비용 내구연한 사례를 분석 고찰하여 국내 소방설비 기기의 내구연한 및 교체시기 산정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테마파크의 소방.방재.안전.감시시스템

  • Takao, Shigeki;Nakano, Nobuhiko;Motomura, Masanori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12
    • /
    • pp.77-87
    • /
    • 2003
  • 본고에서는 테마파크내의 이용객의 안전 지원시스템인 소방·재해방지·안전·감시시스템에 대해서 소개한다. 소방·방재설비시스템에서는 소방용 설비 및 본격 소방활동 지원시스템의 개요에 대해서 소개한다. 그리고 각 시설의 방재정보를 집중 감시하는 종합 방재 정보시스템과 소방서에 의한 24시간 체제의 방화관리·운영체제 및 이용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테마파크 특유의 쇼·라이드설비와 방재설비 관련에 대해서 소개한다. 또한, 정보·감시시스템에서는 파크전체의 정보를 감시하는 BMS(빌딩 매니지먼트 시스템), 정보통신 시스템, 안전 시스템 등에 대해서 소개한다.

  • PDF

A Study of Smokeproof Facility+ in Underground Culvert (지하공동구의 연소방지설비에 관한 연구)

  • 홍경표;이영재;김선정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1a
    • /
    • pp.284-293
    • /
    • 2001
  • 본 연구는 지하공동구내의 화재가 자주 발생하므로 도시가 마비되고 그 피해는 국민생활을 위협하고 막대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내고 있다. 지하공동구 화재로 인한 조기진압은 소방법의 연소방지설비 기준에 적용하였을 경우 화재 진압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지하공동구의 연소방지설비 중에는 여러방식을 적용할 수가 있다. 본 연구는 물로 이용한 연소방지설비 방식중 스프링클러설비, 연결살수설비, 물분부설비 등이 있으나 아직 소방법에서 거론되지 않는 일명 워터 미스트 방식에 대해서 연구하고 방안제시를 하므로 이 논문지가 연소방지설비의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PDF

Fire Protection of the basic data for practical use (소방설비의 실질적 사용을 위한 기초데이터 연구)

  • Mun, Suck-Jin;Shim, Kyu-Hyung;Ri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48-51
    • /
    • 2010
  • 현재 국내건축물은 주택, 빌라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에 소방시설을 적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소방시설의 활용은 이천물류 창고 화재, 부산 노래방화재, 대구 지하철 참사와 최근 부산의 고층 오피스텔 화재 등을 볼 때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실제 화재시 소방설비가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아 인명피해, 재산피해 등이 계속해서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방시설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초기소화에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는 경보설비 및 피난설비의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그것에 대한 문제점을 데이터화하여 실제 화재시 소방시설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해결점을 찾고자 한다.

  • PDF

Composite Technology for HVAC System with Fire-Suppression Ability (공조설비에 대한 화재진압기능 복합 기술)

  • Kim, Ji-Seok;Joo, Sang-Hyun;Shin, J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22-425
    • /
    • 2011
  • 건물의 고도화, 복합화 되고 있는 현시대에 화재시의 인명안전을 위하여 피난 및 소화기술의 발전은 더욱 강조되어 재해대책의 기술의 발전이 필요하다. 또한 소방법의 개정으로 인하여 스프링클러를 비롯한 소방설비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그러나 기존의 소방설비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층간높이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화재진압설비를 기존의 공조시스템과의 결합을 통해 설치비용의 감소와 함께 공간 절감을 꾀하기 위한 적절한 공조설비의 선택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Smoke control in subway tunnels (지하철 터널에서의 제연)

  • 차철현;김진국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8 no.6
    • /
    • pp.425-432
    • /
    • 1999
  • 국내의 경우 소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과 그 설치 및 유지에 관한 기준은 소방법에서 정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표 1과 같다. 지하철과 같은 궤도차량용 터널인 경우 소방법 상의 시설물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피난, 구조 및 소화활동 등이 적절히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팬의 제원과 성능이 결정되고 있다. 적절한 환기설비를 갖추지 않는 경우에 화재발생시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ire Protection Facilities in Large Enclosure Gymnasium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소방방재설비 적용현황 분석)

  • Choi, Dong-Ho;Kim, Choon-Dong;Yang, Jeong-Hoon;Cho, Young-Hum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0 no.2
    • /
    • pp.135-145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raw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of the fire protection planning for the future plan large enclosure buildings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its characteristics by case studi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large scale gymnasiums. In this study, domestic building codes for the fire protection are investigated and fire detection systems, fire extinguishing systems, smoke control systems and evacuation systems of three large scale gymnasiums located at Korea and eight foreign countries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frared light fire detection system and flame detector for spacial characteristics are potentially used in fire protection systems of large scale gymnasiums: dry type sprinkler and sprinkler water gun are adopted in fire detection system; and smoke accumulation system is widely utilized in smoke control system.

  • PDF

현존건물의 소방설비

  • 이경식
    • 전기의세계
    • /
    • v.32 no.10
    • /
    • pp.593-601
    • /
    • 1983
  • 본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지하가의 경우 2. 제일널리 설치된 옥내소화전의 경우 3. 자동화재연속설비 4. 유도등 5. 비상콘센트 6. 무선통신 보조설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