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방구급대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3초

119구급대 주들것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Solutions for the Ambulance Stretcher)

  • 함승희;송우승;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72-79
    • /
    • 2014
  • 본 연구는 119구급대에서 사용하는 주들것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들것의 문제점 도출을 위하여 문헌분석,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였고, 개선지표의 도출을 위해 KJ법(가와기타 지로법, 친화도법), 그래프기법, 우선순위 행렬법을 활용하였다. 주들것의 문제점은 현재 구급자동차의 부품으로서 인식되는 점, 성능확인 기준이 미비한 점, 조작 중 구급대원 부상 및 환자사고가 발생하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었으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개선지표로는 조작편리성, 고성능, 다기능, 주행성, 내구성, 경량화가 도출되었다. 이 지표에 대한 상호연관성 분석 및 우선순위행렬법 적용 결과는 조작편리성 ${\rightarrow}$ 다기능 ${\rightarrow}$ 주행성 ${\rightarrow}$ 고성능 ${\rightarrow}$ 내구성 경량화 순으로 나타났다.

해외 의용소방대 활동의 운영체계 비교 고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the Operative System of the Overseas Volunteer Fire Department)

  • 김형도;이시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99-106
    • /
    • 2017
  • 본 연구는 일본과 미국 의용소방대의 운영체계 전반에 관한 비교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의용소방대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학술논문, 선행 연구논문, 국가기관 발간 책자, 소방관련 서적 및 일본 소방단 신입단원용 교재, 해외 연수보고서 등의 문헌조사 연구방법에 따른 기술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였고, 우리나라 의용소방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역사회의 공동체 의식 강화 및 의용소방대의 위상 정립 둘째, 의용소방대 활동영역의 구조 구급분야 확대 운영 셋째, 의용소방대 현장 전문교육 훈련지도 전담팀 확대 설치 운영 넷째, 개별적 보상방법 개선과 의용소방대의 정체성 인식 및 재정적 지원 강화이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의용소방대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119구급대의 어려운 기관내삽관 교육 전·후 비교 (Comparison of Educational Effects of Difficult Endotracheal Intubation in the 119 Rescue Service)

  • 윤형완;유은영;윤영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54-265
    • /
    • 2011
  • 본 연구는 J도 소방안전본부 산하 119구급대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기간은 2009년 12월 1일 부터 2월 10일까지였다. 어려운 기관내삽관 교육 전.후 비교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 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술기수행 능력을 SPSS 14.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식, 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술기수행 능력 모두 교육 전보다 교육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 전 후 지식은 성별과 병원근무경력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신감은 계급과 병원경력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계급과 병원경력 및 학력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술기수행 능력은 유형 1에서 119구급대 근무경력, 유형 2에서는 대원의 연령과 최종학력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유형 3은 119구급대 근무경력과, 병원에서 근무경력이 교육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형 4는 연령과 계급에서 교육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119구급대의 기도유지술에 관심을 갖고, 정확한 기관내삽관을 배울 수 있도록 자신감을 함양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응급의료서비스 권역 재조정 방안 - 대전광역시 사례 연구 (Rearranging Emergency Medical Service Region Using GIS Network Analysis - Daejeon Metropolitan City Case Study)

  • 권필;이영민;허용;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21
    • /
    • 2015
  • 최근 각종 재난재해로 인해 인명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응급의료서비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응급의료서비스의 기본이 되는 119구급대의 이동 시간은 인명 구출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119구급대의 효율적인 출동 방안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119구급대의 출동 권역을 효율적으로 재조정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권역을 형성하기 위해 대전지역 경계 내에서 무작위로 생성한 약 80만 개의 가상 신고 위치와 26135개의 소방관서 위치를 기점으로 기종점 OD 행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Thiessen Polygon을 생성함으로써 새로운 권역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각 소방관서로부터 신고 위치까지의 평균 이동 시간이 9.93분에서 5.53분으로, 4.4분이 단축되었으며, 면적의 경우 평균 $32.07km^2$에서 $20.72km^2$로, $11.35km^2$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관 기관에서 소방관서의 관할권역을 재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본 연구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19구급대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 및 교육 현황 분석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rehospital Emergency Care and Education i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 노상균;이재국;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17-2124
    • /
    • 2012
  • 이 연구는 119구급대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와 교육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구급대원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119구급대원들의 전공분야는 응급구조학이 124명(41.5%)으로 가장 많았고, 소방관련학이 46명(15.4%), 간호학이 30명(10.0%), 보건관련학이 3명(1.0%), 기타가 96명(32.1%)이었다. 119구급대원들이 소지한 자격증으로는 1급 응급구조사가 114명(38.1%), 2급 응급구조사가 101명(33.8%), 소방 교육이수자가 42명(14.0%), 간호사가 28명(9.4%), 기타 14명(4.7%)순으로 나타났다. 시행한 응급처치 빈도로는 산소흡입(274건), 사지 고정(229건), 척추고정(229건), 외부출혈의 지혈(223건), 약물투여(7건), 정맥로 확보(4건)순으로 나타났다. 병원 전 응급처치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잘 훈련된 전문 인력의 구급차 탑승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응급구조사의 지속적인 충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무중심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다수 환자 발생 시 안전 증진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Safety Enhancement in Mass Casualty Incidents)

  • 이정혁;박정제;김보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29-240
    • /
    • 2019
  • 우리나라는 자연재난 및 인위적인 재난 등 다양한 재난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재난관리 단계 중 대응 단계에서 활동하는 소방 구급 대원의 재난대응 능력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도 소재 소방서 구급 대원 중 현장 경험 2년 이상의 1급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장대응 능력의 하위 요소에 대한 문항이 포함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최종 수집된 설문지 161건을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환자분류 능력, 환자처치 능력, 환자이송 능력, 재난지원 능력 및 재난대응 신속성의 평균은 각각 3.53점, 3.68점, 3.66점, 2.95점 및 3.44점이었으며, 다중회귀 분석의 결과로 재난대응 신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환자처치 능력, 환자이송 능력, 재난 지원 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소방 구급 대원은 재난대응 신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처치 능력, 환자이송 능력, 재난지원 능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겠으며, 궁극적으로 재난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난대응 지침을 마련해야 하겠다.

소방항공대의 최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for Optimizing Operations of Firefighting Aviation Corps)

  • 최성호;최연철;지용선;이영종;김동용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3-119
    • /
    • 2015
  • Recently, even though firefighting operations are supposed to be incorporated into single body IAW restructuring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in terms of efficiency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any significant improvements due to the centrally and locally segregated operating bodies and also, as with organizations firefighting manpowers are divided nationally and locally, which results in differing firefighting functioning. Although governments firefighting bodies are changed to operate better, there are always limitations in firefighting operations. This study explores firefighting organizations, manpower, equipment and operations itself to optimize firefighting operations, and ultimately, to provide the future-oriented functions and roles of the firefighting aviation corps.

약물투여가 벌자상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edication in the Patients with Bee-Sting)

  • 조병준;문수재;김선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50-356
    • /
    • 2015
  • 본 연구는 벌자상에 대한 병원 전 응급처치와 약물투여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여 119 구급대의 병원 전 에피네프린 약물투여를 도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소방본부 구급활동일지 정보를 통하여 벌자상 환자를 선별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2013년 벌자상으로 119 구급대를 이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벌자상으로 이송된 22명을 대상으로 119 구급대원에 의해 작성된 구급활동일지와 아나필락시스 환자 응급처치 세부 상황표, 환자의 연령과 성별, 약물투여 여부, 환자 이송시간, 활력징후, 주요 증상, 응급처치내용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환자의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산소공급, 정맥로 확보 후 수액투여, ECG 모니터링, 항히스타민제 투여가 나타났다. 케이스별로 보면 의료지도 하에 병원 전 에피네프린을 투여한 경우 환자가 중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존하였다. 결론적으로 벌자상 아나필락시스 환자에 대한 119 구급대의 약물투여와 응급처치는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산소공급, 기도유지, 정맥로 확보와 함께 약물투여가 환자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119 구급대가 에피네프린을 사용할 수 있는 법적장치를 마련하여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해야할 것이다.

119 구급대원들의 업무에 관한 연구 -2개 광역시 소방구급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asks 119 Fire Service -The Two City of Fire &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

  • 김미숙;여진동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0-109
    • /
    • 2007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ve importants of various tasks of EMT and to examine knowledge level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AED. It is based on the survey of paramedics and rescurers. The instrument by Hoe Sum Lim(1999) was used. as the questionaire for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x^2$ test, t-test, and measured by percents. The results for this study were follows: 1) Among the tasks of EMI, "Basic Life Support" were rat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O2 supply" and foreign-body removal from mouth. 2) Some of the lower level of importance in task were Intubation, IV, dextrose infusion of Hypoglycemia, NTG S/L for chest pain, hydration for fluid therapy, brochodilator IV for Bronchial Asthma. 3) Some of the lower level of importance in task were apply of MAST, Vital Sign check and administration of traction & spine immobilization & air splint. 4) The most important reason that the used of AED is delayed is "unclear boundary of treatment directed by medical control".

  • PDF

감전으로 심정지된 소아환자 소생 1례 (A Case of Resuscitation of an Electrocuted Child by a 119 Paramedic)

  • 이재민;김대원;윤형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135-14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에서 감전으로 인한 심정지 사례를 통하여 소아 감전에 대한 예방을 더 잘 하고자 하는데 있다. 소아기는 전기 손상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군 중 하나이며, 본 증례에서도 2살의 소아가 가정 콘센트에 젓가락을 삽입하여 감전사고 된 상황이다. 이 사례는 119구급대에 의해 전문심폐소생술이 적절하게 이루어져 병원 전 자발순환회복(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된 사례이다. 국내에서 소아의 감전사고 소생 성공사례가 매우 드물며, 119구급대원의 적절한 소생술로 자발순환회복되어 퇴원한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