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리의 현상학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nquiring Activities on the Acoustic Phenomena Using Sound Card in Personal Computer (사운드카드를 이용한 음향학 탐구학습 사례)

  • Lee, Seung-Koog;Lee, Jong-Rim;Kim, Hyun-Byuk;Kim, Young-H.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0 no.5
    • /
    • pp.249-254
    • /
    • 2011
  • Inquiring activities on the acoustic phenomena have been carried out by using a sound card installed in a personal computer. A sound card is cheaper and more accessible to the students than the precision equipment such as a function generator or an oscilloscope. The students record the sounds from various acoustic phenomena to the sound card. Then they analyze the frequency spectrums of that sounds by using a program. Inquired phenomena include beat by two tuning forks, sound from Rijke tube, pouring sound, breaking of a wine glass and pop-up sound of a wine bottle.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perform quantitative analysis of various phenomena due to superposition, resonance and standing wave.

An Inquiry Over Rayleigh's Pioneering Experiments for the Detection of Shadow, Reflection, Interference, and Diffraction of Sound (소리의 그늘, 반사, 간섭, 회절의 검출을 위한 레일리의 선구적 실험에 대한 연구)

  • Ku, Ja-Hy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2
    • /
    • pp.55-60
    • /
    • 2007
  • The shadow, reflection, interference, and diffraction are proper phenomena concerning sound that is a kind of wave. By the late nineteenth century, similar optical phenomena had been detected already but these phenomena concerning sound had not been convincingly detected. It was Rayleigh who succeeded in detecting those phenomena without any reasonable doubt by the virtue of his original instruments and smart experimental settings. Rayleigh could detect the sound shadow by using the corner of a building and erase the shadow by some reflectors. And he constructed some apparatus similar to Young's interference apparatus famous in optics to detect the sonic interference. Furthermore, he first succeeded in illustrating the acoustical effectiveness of Poisson's disk by which optical diffraction had already been well known, and tested the effect of diffraction by spherical obstacles to ascertain that the result coincided with his theory.

소리의 물리학

  • 박홍수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5.11a
    • /
    • pp.79-87
    • /
    • 1995
  • 소리를 학문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것은 상당히 오랜 옛날부터였는데, 중국에선 황제가 영륜을 시켜 곤륜산 해곡죽을 꺽거 12음률관을 삼분손익법으로 잘라 음계를, 또 고대그리스의 피다고라스(Pythagorean)은 수학적인 방법으로 피다고라스음계가 창안되고 있었으나, 그것의 과학적인 기초가 연구 확립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근대의 일로서, 1635년 메르센느(Mersenne)는 음속을 측정하였으며, 현의 진동의 법칙(현의 진동 중 기본진동에 관해서만)을 발견했다. 또 1738년 불란서 학사원에선 공기중에서의 음속을 측정한바 있었으며, 19세기에 이르러 헬름홀쯔(H. Helmholtz)와 레일리(L. Ragleigh)에 의하여 소리의 물리학적인 현상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를 대성하여 금일의 음향학의 기초를 확립시키게 되었다. (중략)

  • PDF

Acoustic Property and Clinical Mechanism of the Singing Bowl Sound (싱잉볼 소리의 특성 및 임상적인 기전)

  • Kim, Seong Chan;Hong, Geum Na;Choi, Min Joo
    • Journal of Naturopathy
    • /
    • v.11 no.2
    • /
    • pp.143-151
    • /
    • 2022
  • Background: The singing bowl is a bowl-shaped percussion instrument and is used in meditation and healing programs, but the mechanism of its clinical effects is unclear. Purpose: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peculiar acoustic property of the singing bowl sound and discussed on physical mechanisms of the clinical effects of the singing bowl sound. Methods: We studied the literature by reviewing it. Results: There are multiple pitches at adjacent frequencies in the singing bowl sound, and they give rise to the beat phenomenon. This results in a solid persisting beating felt in the singing bowl sound. Furthermore, the beat that depends on singing bowls and playing methods includes a rhythm often similar to the frequency band of brain waves (theta wave) observed in meditative states and induces a synchronization phenomenon in which the rhythm activates the brain waves in meditative states. Furthermore, we are to infer that the clinical effect of the singing bowl sound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ynchronization of brain waves to the beat rhythm of the singing bowl sound. Conclusion: To clearly understand the clinical mechanism of the singing bowl sound, we suggest further systematic studies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beats of the singing bowl sound.

General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Singing Voice (판소리 발성의 전반적인 음향학적 특징)

  • Moon Seung-Jae
    • MALSORI
    • /
    • no.42
    • /
    • pp.15-24
    • /
    • 2001
  • 판소리의 특질을 연구하기 위하여 여덟 명창의 소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두에게서 유성음임에도 불구하고 비주기성인 소리를 찾았다. 이러한 현상은 매우 높은 성대밑 공기압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이 비주기성 유성음은 명창들의 일반 대화에서도 나타나서 이러한 현상이 곧 성대의 영구적인 변화에 의한 것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판소리에서 나타나는 vibrato는 서양의 오페라에 비해 주기가 훨씬 길고 범위는 훨씬 넓음이 확인되었다. 그 외에도 모든 명창의 경우 고주파수 영역에서 매우 높은 에너지를 보여주어서 일반인의 발성과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일부 명창의 경우는 1000Hz 바로 이하에서 유별나게 강한 harmonics가 나타나서 서양 음악의 소위 singer's formant와 대조를 이루었다.

  • PDF

On the Errors of the Phased Beam Tracing Method for the Room Acoustic Analysis (실내음향 해석을 위한 위상 빔 추적법의 사용시 오차에 관하여)

  • Jeong, Cheol-Ho;Ih, Jeong-Gu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1
    • /
    • pp.1-11
    • /
    • 2008
  • To overcome the mid frequency limitation of geometrical acoustic techniques, the phased geometrical method was suggested by introducing the phase information into the sound propagation from the source. By virtue of phase information, the phased tracing method has a definite benefit in taking the interference phenomenon at mid frequencies into account. Still, this analysis technique has suffered from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low frequency phenomena, so called, wave nature of sound. At low frequencies, diffraction at corners, edges, and obstacles can cause errors in simulating the transfer function and the impulse response. Due to the use of real valued absorption coefficient, simulated results have shown a discrepancy with measured data. Thus, incorrect phase of the reflection characteristic of a wall should be corrected. In this work, the uniform theory of diffraction was integrated into the phased beam tracing method (PBTM) and the result was compared to the ordinary PBTM. By changing the phase of the reflection coefficient, effects of phase information were investigated. Incorporating such error compensation methods, the acoustic prediction by PBTM can be further extended to low frequency range with improved accuracy in the room acoustic field.

A Survey or The Korean Learner's Problems in Mastering English Pronunciation (한국인의 영어 발음 학습상 문제점 개관)

  • Youe Hansa MahnGunn
    • MALSORI
    • /
    • no.42
    • /
    • pp.47-56
    • /
    • 2001
  • 이 글은 제2회 서울 국제 음성학 학술대회(SICOPS 2000) 기조강연 내용을 조금 손질한 것인데,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저지르기 쉬운 발음상 잘못을 모음, 자음별로 관찰하고 그 대책을 논의한다. 모음에서는 주로 i:l, u:$-\sigma$, (equation omitted) 흔동이 문제이며, 또한 90종이 넘는 여러 철자로 나타나는 쭉정모음(schwa) 식별과 정복한 발음도 큰 문제다. 자음에서는 음소 연결방식에서 생기는 자음접변 둥 한 국어 특유 현상을 영어에까지 연장하는 바람에 많은 오류가 생긴다는 것과 영어 sp-, st-, sk-에서 /p t k/는 연한소리(lenis)로 [(equation omitted)]인데, 된소리로 잘못알고 있는 수가 많다는 것도 지적된다. 무룻 영어학습자는 철자만 보고 발음을 속단하지 말고 단어마다 반드시 발음을 사전에서 확인할 것과 아울러 거기에 음성학적 훈련이 수반되어야 함을 역설하며, 정확한 발음을 아는 것은 실제 영어 청취i구사에 뿐 아니라 또한 언어연구 기초확립에 필수적이라는 말로 글을 맺는다.

  • PDF

Changes in binaural beat strength to the difference of right and left hearing ability (좌우 청력 차이에 따른 바이노럴 비트 세기의 변화)

  • Kim, Seong Chan;Choi, Min Jo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9 no.1
    • /
    • pp.57-63
    • /
    • 2020
  • The binaural beat is a subjective beating phenomenon due to the frequency difference of sounds heard in both ears, sensed by the human brain. The beating magnitude physically depends on the amplitudes of the two signals with slight different frequencies. Therefore, the binaural beat strength is expected to be affected by the difference in left and right hearing ability. In this study, 34 healthy subjects without hearing loss were chosen. They hear a pure tone sound (450 Hz) at 10 different Sound Pressure Levels (SPLs) (from 50 dB to 27.4 dB) through the one side of ears, while they hear the reference sound (440 Hz, 50 dB) through the other side of ears. Their subjective assessment using a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reveals that the binaural beat strength decreases as SP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ides of ears increases, if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2.2 dB.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hearing loss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des of ears should be less than 2.2 dB to maximize binaural beating effects.

A SPECTROGRAPHICAL STUDY OF KOREAN VOWELS

  • LEE H.B.;Zhi M.J.
    • MALSORI
    • /
    • no.6
    • /
    • pp.4-12
    • /
    • 1983
  • 이 논문은 음향 분석기를 이용하여 한국어의 단순모음 8개를 음향 음성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이 현복의 1971년 논문 "현대 서울말의 모음 음가"에서 기분 모음을 기준으로 하여 기술한 단순 모음의 소리값과 비교하는 데어 목적이 있다. 특히, 한국어의 모음 1)길고 세게 날 때, 2)짧고 세게 날 때, 그리고 3) 여리게 날 때의 세가지 환경에 따라 변이음의 음가가 달리 나타난다는 이 현복의 이론을 음향 음성학적으로 확인해 보는 것이 연구를 하는 주요 관심사이다. 이 실험에 사용된 자료는 위에 말한 이 현복의 논문과 "한국어 음성학"(김선기, 1937, 1971; 영문)에 제시된 낱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스웨덴에 유학중인 지 민제가 자신의 목소리로 직접 녹음하여 위메오 대한 음성학과의 음향 음성학 실험실에서 음향분석기로 분석한 다음, 각 모음의 제1 및 제2포인트를 측정하여 리를 토대로 음향도를 만들었다. 이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1)그림 2,3과 포먼트 표에서 보인 바와 같이, 모음 /이, 에, 오, 으/는 각각 이 현복의 주장대로 환경에 따라 세 개의 분명히 다른 음가를 나타내고 있다. 2) 한편 모음 /애, 아, 우, 어/는 모음의 길이에 따라 다만 두 종류의 음가 변동이 나타날 뿐이며 강세의 유무에 따른 음가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3) 이 현복의 주장대로 모음 /에/와 /애/mss 음가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음운 대립이 무디어질 수 있음을 이번 실험 결과로 확인 하였다. 특히 강세가 없는 /에/는 강세가 있는 /애/와 소리값이 거의 같았다. 4) 이 현복은 표준말에서 /어/의 음가가 세대에 따라 다르며, 안정된 세대의 말씨에서는 /어:/가 /어/에 비해 높고 중앙화한 소리값을 지닌다는 주장을 하였다. 그러나 이 실험 연구에서는 녹음한 이가 젊은 세대이어서 인지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다만 /어:/는 /어/보다 높이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이번 실험 연구에서 모음의 소리값이 장단과 강세에 따라 달라진다는 이 현복의 주장이 대체로 증명된 셈이나, 종합적이고 확고한 결론을 내리려면 좀 더 광범한 실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안정된 세대의 말씨를 직접 녹음하여 음향 음성학적으로 분석함이 필요하다.

  • PDF

Trend analysis and shapes of the visual expressions of the sounds (음의 시각화와 그 표현의 경향)

  • 김민호;정성환;강민수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3
    • /
    • pp.101-110
    • /
    • 2003
  • People are surrounded with numerous sounds. The sound is generated from nature and people. For example, the sound enables people or animal responsive to instinctive action. Music or fine arts are presented differently by its distinctive medium. On the other hand, those art forms are similar in a way that people uses right side of brain and intuitions for creative effects. Conjunctions between sounds and visual arts have been progressed to data. From art forms in subjective views to art forms using high technology such as the computer, experiments for sounds visualization are practiced constantly. For that reason, intrinsic attributes of sounds in design area and distinctive qualitie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With respect to existing category of studies and consideration of the tendency in recent researches, the object is to propose direction for the study in regards to methodology of design, which is reconstructing visualized expres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