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리신호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8초

천식 기침소리의 음향적 특정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Athmatic Cough Sound)

  • 조철우;한만용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8권 2호
    • /
    • pp.177-18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천식기침소리의 음향적 특성을 신호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통계처리한 결과를 보고한다. 정상인과 천식 환자의 기침소리 신호의 특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신호의 특징에 의해 자동식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선박의 기적소리방향 검출장치 개발 (Development of Ship Whistle Direction Indicating Systems)

  • 권혁진;김정창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기적소리 방향 검출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4개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기적 소리를 입력받아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통과하도록 디지털 필터링된다. 필터링된 신호로부터 8 방향의 기적소리 방향 탐지가 가능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DSP를 이용하여 제안된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 PDF

적응 신호 처리를 이용한 멀티콥터 프로펠러 소리 저감 방법 (Noise Reduction Method with Adaptive Signal Processing for Multicopters)

  • 윤소정;박상일;엄유미;유성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12-31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멀티콥터에서의 음향 취득에 필요한 프로펠러 소음 저감 방법을 제시한다. 멀티콥터의 사용성 증대에 따른 방송 및 다분야에서 응용이 늘어남에 비해 방송 분야에서 멀티콥터의 음향 취득 기술이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높은 품질의 동영상 촬영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데 비해 멀티콥터에서의 음향 취득에 대한 연구는 진행이 활발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은 음성 신호 처리 분야에서 소음 저감 기술로 많이 쓰이는 적응 신호처리를 이용하여 프로펠러 소리를 저감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적용한 적응 신호 처리 기술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본 논문에 이용한 프로펠러 소리 저감 방법을 설명토록 하며, 프로펠러 소리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발전 가능한 연구를 논의한다.

  • PDF

MFCC와 L2-norm 최소화를 이용한 고래소리의 재생 (Whale Sound Reconstruction using MFCC and L2-norm Minimization)

  • 정의필;전서윤;홍정필;조세형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47-152
    • /
    • 2018
  • 수중에서의 일시적인 신호는 복잡하고, 변화가 심하며, 비선형적이므로 신호의 패턴을 정확히 모델링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수중 신호 중 하나인 고래 소리를 선택하여 음성분석 기법에 많이 사용하는 Cepstral 분석에 의한 MFCC 추출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MFCC와 $L_2$-norm 최소화 기법을 이용하여 고래소리를 재생하였다 실험 분석에 사용된 고래의 종류는 혹등고래(Humpback whale), 참고래(Right whale), 대왕고래(Blue whale), 귀신고래(Gray whale), 밍크고래(Minke whale) 등 5종으로서 과거 한반도 동해안에 출몰한 적이 있는 고래들이다. 원본 고래소리에서 MATLAB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20차 MFCC계수들을 추출한 후 이를 가중 $L_2$-norm 최소화를 이용한 MFCC역변환을 통해 재생한다. 최종적으로 가중치가 3~4의 값에서 고래소리 재생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반사 공간에서 고음질의 소리를 얻기위한 Matched Filter Array (MFA) 처리 기법 (Matched Filter Array Processing for High-Quality Sound Capture)

  • 노용주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1호
    • /
    • pp.201-204
    • /
    • 1998
  • 강당, 회의실, 강의실 등과 같은 닫혀진 공간에서 포착된 소리의 질은 반향음과 간섭 잡음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마이크로폰에 수신되는 신호는 직접전달파와 벽면에 의한 반사파들이 더해지므로 해서 실제 발생음을 명확히 얻기가 어렵다. 수신측 마이크로폰에서 반사음의 영향을 제거하면 실제 발생음에 가까운 양질의 소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잡음과 반향음의 영향이 큰 음향 공간에서 고음질의 소리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마이크로폰 배열의 병렬 신호 처리 기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마이크로폰 배열의 병렬 신호처리 기법은 공간적 음량 선택성을 제공하기 위해 각 마이크로폰 센서들의 matched filter 처리와 병렬 처리 기법을 결합한다. 이 기법은 다중경로 왜곡(반향)과 간섭 잡음을 제거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 PDF

비대칭 FM합성방식을 이용한 피리 소리의 합성 (Sound Synthesis of Piri by Asymmetric Frequency Modulation)

  • 변중배;조상진;정의필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6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40
    • /
    • 2006
  • FM(Frequency Modulation) 음 합성방식은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고 여러 가지 효과를 주기에 유용하고 비교적 낮은 사양으로 높은 수준의 배음을 합성할 수 있지만 그 응용분야가 대부분이 서양악기 위주의 연구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악 관악기인 피리를 주파수 영역에서 저주파 영역과 고주파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FM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비대칭 FM합성방식으로 1차적인 소리를 합성하였다. 분석된 저주파 영역과 고주파 영역의 특성을 각각의 역 필터링을 위한 2개의 필터를 설계하여 이를 다시 합성된 소리를 통과시켜 두 소리를 합산함으로써 더욱 원음과 유사한 소리를 합성할 수 있었다.

  • PDF

음성과 소리의 할당 방법 : 가전제품 UI 를 중심으로 (A Method of Arrangement of Voice and Sound : For User Interface of Domestic Appliance)

  • 홍지영;채행석;이승룡;박영현;김준희;류형수;김종완;한광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478-483
    • /
    • 2007
  • 본 연구는 가전제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음성 신호와 청각 신호의 최적 할당 방법을 기술하였다. 가정에서 수시로 접하는 가전제품에서 음성 유저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이하 VUI) 는 음성을 매개로 일어나는 인간과 기계 간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음성 유저 인터페이스의 단독적 적용보다는 소리 신호와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들의 인터페이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F.G.I, 실험, Depth Interview 를 수행하여 가전제품의 음성 생성 및 표현 인터페이스에서 음성과 소리 신호의 배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니즈 조사 및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최적의 할당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고래 사운드 재생 시스템 구현 (System Realization of Whale Sound Reconstruction)

  • 정의필;전서윤;홍정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45-15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가중치를 고려한 L2-norm 최소화 기법으로 역 MFCC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고래 사운드 재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고래소리 콘텐츠와 3D 프린팅을 결합하여 제작된 본 연구의 결과물은 고래관광 산업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산업에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먼저 다양한 고래 소리를 재생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3D 프린팅된 고래의 내부에 있는 라즈베리 파이 하드웨어에 업로드한다. 이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사용된 프로그래밍 언어는 고래소리분류를 위한 C++, 고래 소리 재생 알고리즘을 위한 MATLAB 및 Python, 고래 모형의 3D 프린팅을 위한 Rhino 6 등이다.

교통소음의 교통정보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ffic Information Capability of Traffic Noise)

  • 정민섭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제34회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39-148
    • /
    • 1998
  • 과학의 발달과 인간의 편리성 추구 성향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소리를 이용한 기계·전자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아마도 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가격의 저렴함과 인간에게 있어서는 가장 편리한 방법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소리라는 변수를 교통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분야를 생각해 볼 때 본 연구는 검지기를 이용한 교통 신호제어 분야를 제안하고자 한다. 검지기를 중심으로 한 교통 제어 시스템은 교통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를 차지하고 있다. 기존 고비용의 검지기 시스템들은 실제 상황에서는 그 투자 비용의 가치만큼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주요 교차로나 고속도로만을 교통변수 측정 및 교통제어의 대상으로 삼고 이들에 대해서만 검지 시스템을 운용하는 등 실용화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렴하면서도 주요 교차로를 제외한 여타의 비주요 교차로 등과 같은 어떠한 교통 여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소음검지기법의 개발은 실로 높은 연구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소음검지시스템은 교통상황변수중 가장 주용한 교통량과 도로 소음과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신호제어를 하는 원리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의 제안을 위해 교통소음과 교통량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형성하는 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응용할 수 있는 신호제어 시스템의 일부 교통관련 분야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