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리시

Search Result 28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ffect of fabric Sound from Active Wear on Electrodiagnosis and Subjective Sensation and Sensibility (스포츠웨어용 직물의 소리특성이 근전도와 주관적 감각 . 감성에 미치는 영향)

  • 정혜진;김춘정;조길수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6 no.1
    • /
    • pp.27-32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effects of fabric noise from active wear on electrodiagnosis(EMG), to examine the effects on subjective sensation, and to relate the EMG results and the subjective sensation.. Five nylon water repellent taffeta fabrics were rubbed each other and the fabric noise were recorded. EMG was done from 10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electrodes were attached on each participant's upper arm and lower am. The subjective sensation was measured by FMME(Free Modulus Magnitude Estimation). The EMG values from upper arm showed higher voltage than those from lower arm, and the differences between values with fabric sound and without were larger at upper arm than those at lower am. EMG decreased when fabric sound was evaluated soft and pleasant, however It increased in proportion as fabric sound was evaluated loud and sharp. The predicted models for subjective sensation using physical sound properties and EMG results were well explained except roughness. Pleasantness was well predicted by EMG at upper am and EMG at lower arm, as the result, it was explained that the lower the EMG, the more pleasant the participant.

  • PDF

Effect of Fabric Sound from Active Wear on EMG and Subjective Sensation (스포츠웨어용 직물의 소리특성이 근전도와 주관적 감각에 미치는 영향)

  • 정혜진;김춘정;조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3-156
    • /
    • 2002
  • 본 연구는 스포츠웨어용 나일론 직물의 소리가 심한 소음으로 작용하여 착용자 뿐 만 아니라 상대방에게도 불쾌함을 주므로 이를 줄이기 위한 방향 모색의 하나로, 소리 자극에 대한 생리반응 중 근전도(Electrodiagnosis)와 소리에 대한 주관적 감성을 측정하여 의복 소음이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근전도는 상완이두근과 전완근에서 측정하였고, 주관적 평가는 FMME(Free Modulus Magnitude Estimation)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직물 소리에 대한 상완이두근의 근전도 값은 직물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전완근에서는 대부분 비슷한 값을 보였다. 직물의 소리가 부드럽고 유쾌할수록 근전도값은 무자극시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직물의 소리가 시끄럽고 날카로울수록 근전도값은 무자극시보다 증가하였다. 이로서, 직물의 소리는 상완이두근의 근전도 값에만 영향을 미치며, 직물 소음의 크기, 날카로움 등과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Real-time Sound Control Method Based on Reflection and Diffraction of Sound in Virtual Environment (가상 환경에서 사운드의 반사와 회절을 이용한 실시간 소리 제어 방법)

  • Park, Soyeon;Park, Seong-A;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269-27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실제 현실에서 표현되는 소리의 특징인 파동(Sound wave)과 흐름(Sound flow) 그리고 회절(Diffraction of sound)을 가상환경에서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의 접근 방식은 소리가 재생되는 위치로부터 장애물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물이 존재할 시, 장애물로 인해 반사와 회절된 새로운 소리 위치를 계산한다. 이 과정에서 레이트레이싱 기반으로 장애물과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고, 충돌에 의해 굴절된 벡터를 이용하여 장애물 너머에서 들리는 소리의 크기를 계산하며, 충돌된 레이의 개수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감쇠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한 소리의 회절은 물리 기반 접근법에서 나타나는 회절 형태를 실시간으로 표현했으며, 장애물에 따라서 회절 패턴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소리의 크기가 자연스럽게 조절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 같은 실험은 실제 현실에서 나타나는 소리의 퍼짐과 같은 특징을 거의 유사하게 복원해냈다.

  • PDF

Frictional Sound Characteristics of vapor Permeable Water Repellent Fabric according to Finishing Methods at Different Frictional Speeds (투습발수 가공방법에 따른 직물의 마찰 속도별 소리 특성)

  • Han, A-Reum;Yang, Yun-Jeong;Jo, Gil-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1-134
    • /
    • 2009
  • 본 연구는 가공방법이 다른 투습발수직물의 마찰 속도별 직물마찰음의 소리특성과 주관적 평가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포츠웨어용 투습발수직물 중 가공방법이 다른 4 종(PU 건식코팅, PU습식코팅, 시레가공, 라미네이팅)의 나일론 100% 시료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마찰속도의 상세 설정이 가능한 직물소리 시뮬레이터 v. 4.0으로 제어가 되는 직물마찰음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직물마찰음을 발생시켜 녹음하였다. 직물의 마찰 속도는 동작(walking, jogging, running)시 팔과 몸통 사이의 마찰속도를 분석하여 이 속도에 따라 직물마찰음을 발생시켰고, Sound quality system으로 7 가지(SPL, ${\triangle}L$, ${\triangle}f$, Loudness(Z), Sharpness(Z), Roughness(Z). Fluctuation Strength(Z)) 소리특성을 분석하였다. 주관적 평가는 9 개의 형용사 쌍에 대해 의미미분척도로 평가되었다. 소리특성 분석 결과, 속도별 소리특성은 가공방법에 따른 차이 없이 walking 시가 가장 덜 시끄러운 소리가 발생하였고, 가공방법에 따라서는 마찰속도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지만 라미네이팅가공을 한 시료가 가장 날카로운 소리를 발생시켰다. 주관적 평가 결과, '거슬리는'과 '불쾌한'의 감성에 대해서는 walking, jogging, running의 순서로, 시레가공, 라미네이팅, PU건식코팅, PU 습식코팅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 PDF

A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Android-based Application for the Deaf (안드로이드 센서 기반의 청각장애인용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 Lee, Won Joo;Lyu, Seong Min;Kim, Sang huk;Lee, Seok Won;Jung, Ji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19-22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센서를 활용하여 청각장애인을 위한 소리감지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어플리케이션 메뉴는 백그라운드 실행 유지와 특정 데시벨 이상의 음성인식 동작으로 구성한다. 백그라운드 유지 실행 유지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작동 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증진하며, 특정 데시벨 이상의 음성인식을 통하여 일상적인 소리가 아닌 화재나 재난 상황 시 발생하는 경보기소리나 아이 울음소리, 초인종 소리 등 사운드를 통한 인식이 중요시 되는 상황에서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진동과 빛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주변 상황을 감지하도록 구현한다.

  • PDF

Geographic variation of song on Great Tit, Parus Majo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of the T'aebaek Mountains in Korea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서간 한국산 박새(Parus Major) 소리(song)의 지리적 변이)

  • 강정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d
    • /
    • pp.40-45
    • /
    • 1998
  • 본 논문은 한국산 박새(Parus major)의 소리(song)를 이용해서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서간의 지리적 변이에 관한 논문이다. 박새 소리의 지리적인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역간 음절의 시간과 주파수 요인을 비교하고, factor의 군집화의 지역간의 변이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luster Analysis와 discriminant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쪽지역여과 서쪽지역은 영덕군과 청송군, 삼척시와 태백시를 중심으로 해서 지리적인 변이를 나타냈다.

  • PDF

행사 - 파주북소리 2014 성료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3 no.11
    • /
    • pp.48-49
    • /
    • 2014
  • '파주북소리 2014'가 지난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열흘 동안 파주출판도시에서 열렸다. 올해로 4회를 맞은 파주북소리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대한민국 대표축제의 하나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파주시 후원으로 진행됐다. 올해 행사는 주말외에도 개천절, 한글날 등 공휴일이 포함돼 있어 어느 해보다 않은 사람들이 행사장을 찾았다.

  • PDF

Column - 소리, 냄새 등 비시각적인 상표의 도입에 따른 전망과 대응전략

  • Jeong, Tae-Ho
    • 발명특허
    • /
    • v.37 no.4
    • /
    • pp.22-29
    • /
    • 2012
  • 한-미 FTA가 2012년 3월 15일자로 발효됨에 따라서 상표법에서도 다양한 변화들이 일어나게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상표법상 상표로서의 보호대상으로 규정되지 않았던 소리, 냄새 등과 같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것들을 상표의 정의규정에 포함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소리, 냄새 등과 같은 비시각적 상표에 관하여 출원시 주의하여야 할 내용과 해당 제도의 도입에 따른 전망 및 구체적인 대응전략에 대하여 제언을 하고자 한다.

  • PDF

Recognition of Overlapped Sound and Influence Analysis Based on Wideband Spectrogram and Deep Neural Networks (광역 스펙트로그램과 심층신경망에 기반한 중첩된 소리의 인식과 영향 분석)

  • Kim, Young Eon;Park, Gooma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3 no.3
    • /
    • pp.421-430
    • /
    • 2018
  • Many voice recognition systems use methods such as MFCC, HMM to acknowledge human voice. This recognition method is designed to analyze only a targeted sound which normally appears between a human and a device one. However, the recognition capability is limited when there is a group sound formed with diversity in wider frequency range such as dog barking and indoor sounds. The frequency of overlapped sound resides in a wide range, up to 20KHz, which is higher than a voice. This paper proposes the new recognition method which provides wider frequency range by conjugating the Wideband Sound Spectrogram and the Keras Sequential Model based on DNN. The wideband sound spectrogram is adopted to analyze and verify diverse sounds from wide frequency range as it is designed to extract features and also classify as explained. The KSM is employed for the pattern recognition using extracted features from the WSS to improve sound recognition quality. The experiment verified that the proposed WSS and KSM excellently classified the targeted sound among noisy environment; overlapped sounds such as dog barking and indoor sounds. Furthermore, the paper shows a stage by stage analyzation and comparison of the factors' influences on the recognition and i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arious levels of noise.

Survey on the soundscape of urban districts in Cheong-ju using soundwalking (사운드워킹을 통한 청주시 도심지역 음풍경 조사)

  • Jo, A-Hyeon;Park, Chan-Jae;Haan, Chan-Ho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0 no.6
    • /
    • pp.593-606
    • /
    • 2021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ounds at 13 points in the four districts in Cheongju including commercial district, historic district, urban walking district and university campus in order to realize the soundscape of the city. In order to thi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65 citizens and 5 acoustic experts on sites to find both sound loudness and annoyance of each district. At the same time, information about loud, unpleasant, preferred and representative sound of each district were acquired by selecting three from 35 sounds which consist of natural, artificial and machinery sound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very close correlation between sound loudness and annoyance. Through the analysis of sounds at each district, it was revealed that machinery sounds dominate in commercial area as figure sound, It was also shown that artificial and natural sounds dominate in historic area, artificial sounds in both urban area and university campus respectively. Laboratory listening tests were undertaken to 20 people using recorded sounds and video captured on site. The results denote that machinery and artificial sounds are regarded as most loud, machinery sounds as most unpleasant, natural and artificial sounds as most pleasant which shows similar tendency of on-site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