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리

Search Result 2,00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a Sound Analysis of Snmulnori Instruments (사물놀이 악기음의 소리분석에 관한 연구)

  • 나덕수;배명진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201-204
    • /
    • 2000
  • 사물놀이 소리는 천지인의 삼재사상에 근본하는 우리 문화의 정신적 근간들이 생생히 살아 숨쉬는 음악이다. 꽹과리 소리는 하늘의 소리이고, 북소리는 땅의 소리를 나타내고, 여기에 보태어지는 사람의 목소리는 하늘과 땅을 수직으로 이어주는 인성이다. 그리고, 사물놀이 소리는 긴장과 이완, 음양의 원리를 독특하게 지니고 있다.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으로 이행되는 점층적 전개 위에서 긴장과 이완의 원리가 날줄과 씨줄로 교직 되어 이끌어 간다. 또한 소리의 음양 조화 측면에서 살펴보면 금속성악기와 가죽악기, 날카로운 소리와 부드러운 소리, 잘게 쪼개어지는 소리와 크게 뭉치는 소리 등이 나타난다. 따라서 세계인들이 "사물놀이는 신을 부르는 소리"라고 극찬하고 있다[1]-[3]. 사물놀이 소리를 들었을 때 그 가락에 쉽게 도취도는 것은, 4가지 악기가 서로 다른 소리의 높낱이 색깔특성에 의해 소리의 음양 조화를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가 귀로 느낄 수 있는 소리의 범위를 완전히 커버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처음으로 밝혀내었다. 즉, 소리를 빛깔로 나타낸다면, 북은 빨강, 징은 노랑, 장구는 초록, 꽹과리는 보라 빛을 의미하며, 이들 색깔은 각자의 아름다움을 특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징과 장구 소리를 들었을 때 다시 한번더 듣고 싶은 친근감을 느끼게 되는데, 그 원인으로는 징소리와 장구의 기본 진동수가 사람의 남녀 목소리 기본진동수와 각각 근접하기 때문에 우리의 가슴과 일치를 이루게 된다는 사실도 이번에 밝혀 내었다. 즉, 징소리와 장구소리를 들으면 사람의 목소리로 응답하는 듯한 친근함과 정다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인간은 소리를 귀로만 느끼지 않고 피부를 통해 진동으로도 느끼게 되는데, 사물놀이에서 북, 징, 장구는 그러한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우리 민족의 지혜와 숨결이 스며있는 사물놀이 소리의 특성과 그 신비를 객관적으로 규명함으로서 사물놀이 소리의 우수성을 입증하과, 문화민족의 자부심으로 새천년을 개척해 나아가는 원동력을 얻고자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Korean Intervocalic Lax and Tense Stop Consonants - With Respect to Stop Closure Duration - (모음사이의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구분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파열음의 폐쇄지속시간을 중심으로-)

  • 김효숙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93-96
    • /
    • 1998
  • 이 논문은 모음 사이에 오는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음향적 특징을 비교하여 예사소리와 된소리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나는 음향적 특징 가운데 몇 개를 골라 그것을 변수로 삼았을 때 청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모음 사이에 오는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음향적 특징은 첫째, 자음의 폐쇄지속 시간이 된소리가 예사소리보다 길다. 둘째, 예사소리 앞에 오는 모음의 길이가 된소리 앞에 오는 모음의 길이보다 길다. 셋째, VOT는 예사소리와 된소리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다. 이 같은 음향적 특징 가운데에서 자음의 폐쇄지속시간과 앞에 오는 모음의 길이가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구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앞에 오는 모음의 길이는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구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Efficient Sound Processing and Synthesis in VR Environment Using Curl Vector of Obstacle Object (장애물 객체의 회전 벡터를 이용한 VR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음향 처리 및 합성)

  • Park, Seong-A;Park, Soyeon;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69-37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장애물 객체의 회전 벡터를 이용하여 VR 환경에서의 효율적으로 음향 처리 및 합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현실에서 소리와 장애물이 있을 때, 소리는 장애물의 형태에 따라 퍼지면서 전파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이 같은 특징을 가상현실 환경에 유사하게 음향 처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장애물 객체의 위치와 소리의 근원지 위치를 입력으로 소리의 전파 형태를 근사한다. 이때 모서리 부근에서 표현되는 소리의 회전을 계산하기 위해 장애물의 회전벡터(Curl vector)를 기반으로 소리의 회전을 추출하였으며, 장애물 형태를 컨볼루션(Convolution)하여 소리가 바깥 방향으로 전파되는 형태를 모델링한다. 또한, 장애물과 소리 벡터 사이의 거리, 소리 근원지와 소리 벡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소리의 크기를 감쇠 시켜 주며, 최종적으로 장애물 주변으로 퍼지는 벡터 모양인 외부벡터를 합성하여 장애물로부터 외부로 퍼지는 벡터의 방향을 설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한 소리는 장애물과의 거리와 형태를 고려하여 퍼지는 사운드 벡터 형태를 보여주며, 소리 위치에 따라 소리 감소 패턴이 변경되고, 장애물 모양에 따라 흐름이 조절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 같은 실험은 실제 현실에서 소리가 장애물의 모양에 따라 나타나는 소리의 변화 및 패턴을 거의 유사하게 표현할 수 있다.

  • PDF

Interactive Synthesizing of Sound in Virtual Environments with considering Shape and Elevation of the Terrain (가상환경에서 지형의 형태와 고도를 고려한 인터렉티브한 사운드 합성)

  • Park, Soyeon;Park, Seong-A;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593-59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지형의 고도와 기울기를 고려하여 사운드의 확산과 회절을 인터렉티브하게 표현할 수 있는 사운드 합성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의 접근 방식은 광선 추적법(Raytracing)을 기반으로 소리의 크기를 보여줄 수 있는 사운드 강도 맵을 빠르게 계산한다. 지형의 고도와 기울기 값을 고려하여 소리의 강도 맵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결과적으로 지형의 지오메트리 분석인 큰 계산 과정을 피하고 지형을 고려한 소리의 크기를 인터렉티브하게 업데이트한다. 이 과정에서 소리의 근원지에 따른 고도 간의 격차를 계산하여 소리의 크기를 자동으로 감쇠시키며, 주변 지형의 공간 기울기를 기반으로 기울기의 차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자동으로 감쇠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한 소리는 실제 높낮이가 있는 현실의 지형에서 듣는 소리의 전파 및 감쇠와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며, 소리의 위치에 따라서 소리 감소 패턴이 변경되고, 또한, 지형에 따라서 소리의 크기가 제어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 PDF

Real-time Sound Control Method Based on Reflection and Diffraction of Sound in Virtual Environment (가상 환경에서 사운드의 반사와 회절을 이용한 실시간 소리 제어 방법)

  • Park, Soyeon;Park, Seong-A;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269-27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실제 현실에서 표현되는 소리의 특징인 파동(Sound wave)과 흐름(Sound flow) 그리고 회절(Diffraction of sound)을 가상환경에서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의 접근 방식은 소리가 재생되는 위치로부터 장애물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물이 존재할 시, 장애물로 인해 반사와 회절된 새로운 소리 위치를 계산한다. 이 과정에서 레이트레이싱 기반으로 장애물과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고, 충돌에 의해 굴절된 벡터를 이용하여 장애물 너머에서 들리는 소리의 크기를 계산하며, 충돌된 레이의 개수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감쇠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한 소리의 회절은 물리 기반 접근법에서 나타나는 회절 형태를 실시간으로 표현했으며, 장애물에 따라서 회절 패턴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소리의 크기가 자연스럽게 조절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 같은 실험은 실제 현실에서 나타나는 소리의 퍼짐과 같은 특징을 거의 유사하게 복원해냈다.

  • PDF

The Transmission and Changes Of UlsanSoeburi Song (울산쇠부리소리의 전승현황과 변이양상 연구)

  • Kim, Gu-Han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39
    • /
    • pp.133-165
    • /
    • 2019
  • This paper tried an approach of oral literature as the research subject of Soeburi song in Ulsan. First, UlsanSoeburi song is meaningful as materials collected in Ulsan such as Hansil, Dodoekgol, Dudong and Byeongueong. In addition, it is related to regional identity as song native to Ulsan, which has prototype and archetype. And it shows that Ulsan is the city as well as hometown of Soeburi(meaning ' iron manufacture'). The characteristics of lyrics are different between Hansil Soeburi song and Dodeokgol Soeburi song. Jeiman Choi is considered as a good oral literature poet, because he is a performer who is faithful in official structural principal and in original lyrics(archetype) of Soeburi song. Therefore, SoeburiBulmei song of Jeiman Choi signifies aesthetic meaning, having lyrics which make to feel labor's purity and sacred and melody which overcomes labor's difficulty through united action. On the other hand, SoeburiBulmei song of Dalo Kim in Doseokgol shows that he is a extemporaneous performer even though he performs based on official structural principal. In this paper, transmission and changes of UlsanSoeburi song are divided into basic type, frequent shift type and overall type. 'Basic type' originates from Jeiman Choi's Soeburi song in Hansil. 'Frequent shift type' was created by combining SoeburiBulmei song of Dalo Kim in Doseokgol and SoeburiGeumjul song in Ulsan. 'Overall type' is current Soeburi song, which was created by adding Bulmei song for lulling a baby in Byeongueong near Dalcheon region and Seoknyanggan(smithy) Bulmei song. UlsanSoeburi song is being passed down continuously, strengthening the identity as a representative folk song in Ulsan through endless process of transmission and changes.

Vocalization for Pop Singers - Research on Vocalization for Korean Pop - (대중음악 가수들을 위한 발성법 -가요 발성법 연구-)

  • Cho, Tae-Se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364-367
    • /
    • 2009
  • 음악 장르마다 소리의 색깔, 성량이 모두 다르다. 그것은 발성법 즉 소리를 어떻게 만들어내느냐에 따라 다른 것 인데, 호흡법에 따라서도 많은 차이난다. 성악의 경우 맑고 깨끗한 소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주로 두성을 많이 사용 한다. 창이나 판소리의 경우도 처음에는 몸통에서 소리를 끌어내는 방식으로 소리를 내다가 결국에는 두성으로 소리를 만들어낸다. 이는 모두 소리를 멀리 보내기 위한 방법인데, 마이크와 앰프를 사용하는 대중음악 가수들의 경우는 분명 다른 발성법을 사용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리의 확장보다는 본인만의 개성을 중요시 하는 가수들에게 필요한 발성법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 PDF

A Real-time Audio Surveillance System Detecting and Localizing Dangerous Sounds for PTZ Camera Surveillance (PTZ 카메라 감시를 위한 실시간 위험 소리 검출 및 음원 방향 추정 소리 감시 시스템)

  • Nguyen, Viet Quoc;Kang, HoSeok;Chung, Sun-Tae;Cho, Seongw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11
    • /
    • pp.1272-1280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dio surveillance system which can detect and localize dangerous sounds in real-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about dangerous sounds can render a PTZ camera to be directed so as to catch a snapshot image about the dangerous sound source area and send it to clients instantly. The proposed audio surveillance system firstly detects foreground sounds based on adaptive Gaussian mixture background sound model, and classifies it into one of pre-trained classes of foreground dangerous sounds. For detected dangerous sounds, a sound source localization algorithm based on Dual delay-line algorithm is applied to localize the sound sources. Finally, the proposed system renders a PTZ camera to be oriented towards the dangerous sound source region, and take a snapshot against over the sound source region.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detect foreground dangerous sounds stably and classifies the detected foreground dangerous sounds into correct classes with a precision of 79% while the sound source localization can estimate orientation of the sound source with acceptably small error.

Musical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of Naeseo-deulsori (내서들일소리의 음악적 특징과 지역성)

  • Seo, Jeong-mae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43
    • /
    • pp.325-356
    • /
    • 2021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ransmiss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Naeseo-deulilsori in Changw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value of deulilsori in Naeseo region, so that it can be continuously inherited. Naeseo-deulsori consists of the Mosimgi-sori, Nonmaegi-sori, and Chingchingi-sori. Mosimgi-sori, which is called when planting a seedling, is divided into 6 types according to the order and situation of work. ① rice planting sound, ② rice planting sound called in the morning, ③ rice planting sound called at lunch time, ④ rice planting sound called after lunch, ⑤ rice planting sound called when it is raining or cloudy, ⑥ rice planting sound called at sunset. Mosimgi-sori, which is called when planting a seedling, is based on Menali-tori, but partly influenced by Yugjabaegi-tori. However, it was typical Menali-tori in the slow The sound of rice planting in the nearby Haman region, but as the speed increased in the fast The sound of rice planting, the characteristics of Menali-tori faded and la↘mi perfect fourth descending frequently appeared. In the sound of rice planting in Goseong, both slow and fast sound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Yugjabaegi-tori. In the end, the sound of rice planting in the Naeseo region is less Yugjabaegi-tori than in the Goseong region and stronger than in Haman region. This combination of tori is a musical bargaining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border region, and it can be said to be a geographic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 of the Naeseo region. Nonmaegi-sori has the same sound as 'Sangsadeio' throughout the nearby Goseong and Haman regions. However, in Nonmaegi-sori in the Naeseo region, a strong Gyeong-tori tendency is found in the sound received. Looking at the flow of the melody of Nonmaegi-sori, it seems that the pitch has been changed by the intestines in recent years, and this modified melodic form has continued as it is. In order to guarantee locality, this part seems to need to be corrected in the future.

Efficient Foam Sound Generation with Screened Clustering Based Sound Synthesis (스크린드 군집화 기반의 사운드 합성을 이용한 효율적인 거품 사운드 생성)

  • Shin, YoungChan;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553-55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거품 입자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장면에 맞는 소리를 효율적으로 합성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소리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생성과 합성이다. 사운드 생성의 경우 시뮬레이션 장면마다 물리 기반 접근법을 사용하여 소리를 생성할 수 있는데 계산 시간과 재질 표현의 어려움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장면에 대한 소리를 만들어 내기에는 쉽지 않다. 사운드 합성의 경우 소리 데이터를 미리 구축해야 하는 사전 준비가 필요하지만, 한 번 구축하면 비슷한 장면에서는 같은 소리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거품 시뮬레이션의 소리 합성을 위해 소리 데이터를 구축하고 거품 입자의 효율적인 군집화를 통해 계산 시간을 줄이면서 소리의 사실감은 개선할 수 있는 사운드 합성 기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