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뇌 부피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R 뇌 영상으로부터 20대 한국인의 소뇌 부피 측정

  • 김태영;이법이;정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95-29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20대 남자 50명(23$\pm$2세)과 여자 50명(20$\pm$1세)의 MR 뇌 영상을 KAIST 뇌과학 연구센터에 있는 37 MRI 기기로 획득하였고 Brain Voyager(B/V)를 이용하여 소뇌의 부피를 측정하고자 한다. 남자와 여자의 뇌의 구조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남자의 전체적인 brain volume이 약 10% 크다는 사실도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성별에 따라 소뇌의 부피의 차이가 있는지도 검증하고자 한다.(중략)

  • PDF

Changes in the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of the Specific Regions of Cerebellum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 소뇌 국소 부위의 부피와 피질 두께의 차이)

  • Kang, Ji-Won;Han, Kyu-Man;Won, Eunsoo;Tae, Woo-Suk;Ham, Byung-Joo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25 no.3
    • /
    • pp.60-71
    • /
    • 2018
  • Objectives A growing body of evidence has suggested that morphologic changes in cerebellum may be implicated with pathophysiolog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difference in the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of the specific region of cerebellum between patients with MDD and healthy controls (HC). Methods A total of 127 patients with MDD and 105 HC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underwent T1-weighted structur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e analyzed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of each twelve cerebellum regions divided by left and right and the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of the whole cerebellum from T1-weigted image of participants. One-way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difference of total and specific regions between two groups adjusting for age, gender, medication, and total intracranial cavity volume. Results We found that the patients with MDD had significantly greater volume in the left cerebellum lobule III region [false discovery rate (FDR)-corrected p = 0.034] compared to HC. Also, our findings indicate that cortical thickness of left lobule VIIB (FDR-corrected p = 0.032) and lobule VIIIB (FDR-corrected p = 0.032) are significantly thinner in the patients with MDD compared with the HC. No significant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ther sub-regions of the cerebellum. The volumes and cortical thickness of whole cerebellum between patients with MDD and HC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Conclusions We observed the region-specific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difference in cerebellum between the patients with MDD and HC. The results of our study implicate that the information about structural alterations in cerebellum with further replicative studies might provide a stepping stone toward a specific marker to diagnose MDD.

  • PDF

Voxel-based Morphometry (VBM) Based Assessment of Gray Matter Loss in Medial Temporal Lobe Epilepsy: Comparison with FDG PET (화소기반 형태분석 방법을 이용한 내측측두엽 간질환자의 회백질 부피/농도 감소평가; FDG PET과의 비교)

  • Kang, Hye-Jin;Lee, Ho-Young;Lee, Jae-Sung;Kang, Eun-Joo;Lee, Sang-Gun;Chang, Kee-Hyun;Lee, Dong-Soo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8 no.1
    • /
    • pp.30-40
    • /
    • 2004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find brain regions in which gray matter volume was reduced and to show the capability of voxel-based morphometry (VBM) analysis for lateralizing epileptogenic zones in medial temporal lobe epilepsy (mTLE). The findings were compared with fluorodeoxyglucose positron omission tomography (FDG PET). Materials and Methods: MR T1-weighted images of 12 left mTLE and 11 right mTL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37 normal controls. Images were transformed to standard MNI space and averaged in order to create study-specific brain template. Each image was normalized to this local template and brain tissues were segmented. Modulation VBM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observe gray matter volume change. Gray matter was smoothed with a Gaussian kernel. After these preprocessing, statistical analysis was peformed using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oftware (SPM99). FDG PET imag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22 normal controls using SPM. Results: Gray matter volum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left amygdala and hippocampus in left mTLE. In addition, volume of cerebellum, anterior cingulate, and fusiform gyrus in both sides and left insula was reduced. In right mTLE, volume was reduced significantly in right hippocampus. In contrast, FDG uptake was decreased in broad areas of left or right temporal lobes in left TLE and right TLE, respectively. Conclusions: Gray matter loss was found in the ipsilateral hippocampus by modulation VBM analysis in medial temporal lobe epilepsy. This VBM analysis might be useful in lateralizing the epileptogenic zones in medial temporal lobe epilepsy, while SPM analysis of FDG PET disclosed hypometabolic epileptogenic zones.

On the Calibration of Impact Hammer Sensitivity (충격 해머의 감도보정)

  • 한상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71-74
    • /
    • 1991
  • 구조물의 진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적 모우드 해석법에서 기진력을 제 공하는 한 방법으로 힘 측정기가 부착된 해머를 이용한 충격시험기법이 널 리 사용되고 있다. 충격해머 시험의 유용성은 기진력의 에너지가 정현파 기 진력의 경우처럼 특정 주파수대에 산재해 있는 것이 아니라 가용 주파수 영 역내에 연속적으로 분포해 있다는 점이며 이러한 충격력은 가용 주파수 범 위내에 있는 모든 고유진동형을 여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충격헤머 가 가지고 있는 동적특성은 구조물을 가진시키는 선형충격량의 크기를 결정 하며, 이는 다시 충격력의 크기와 가용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게 된다. 일반 적으로 가진주파수 범위는 해머의 질량에 반비례하고 충격해드의 경도에 비 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머의 질량 자체가 충격력의 크기를 좌우하기 도 하므로, 가진력의 크기를 고려하여 해머의 질량이 선택되며 충격헤드는 충격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충격해머에 장착된 힘측정기 의 감도는 해머질량과 충격헤드의 질량 변화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충격 시 험시 측정되는 값은 해머에 부착되어 있는 힘측정기에 가해지는 힘인 반면 구조물에 가해지는 기진력은 충격해드와 구조물사이에 발생되는 힘이다. 이 두 힘의 비는 해머 및 충격해드의 질량효과에 따라 좌우된다. 주어진 충격시 험에서 충격해머의 질량효과를 정확히 조건에 따라 감도보정을 해 주어야 한다. 충격해머의 감도보정에 대해서는 문헌[2]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논문에 서는 전압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질량 효과를 고려한 수학적 모 형을 제시하고 그 모형의 타당성을 실험을 통해 검정하고자 한다.방법 을 제시하였다. 이와 아울러 제어계의 환경변화에 따른 파라메타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응답이 가능해야 하는 적응 소음제어 시스템에서, 음향궤환과 함 께 필히 고려해야 하는 부가적인 전달함수의 영향을 고려한 능동 소음제어 에 대해 연구하였다. 경량화 추세에 따라 지반이나 케이싱이 경량이거나 유연하여 회전축과 동적으로 연성된 경우 회전축-베어링-지반으로 이루어진 2중구조의 회전축 계 동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므로서 회전 기계류의 진동 전반에 걸친 문제점에 대한 그 원인과 현상을 명확히 분석하여 국내의 전기 계류의 보다 신뢰성있는 설계 및 제작자료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하 였다.존의 small molecular Gd-chelate에 비해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MnPC는 간세포에 흡수된 후 담도계로 배출되는 간특이성 조영제임을 확인하였다. 장비 내에서 반복 시행한 평균값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장비에서 반복 시행한 장비간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 따라서 , MRS 검사를 소뇌나 뇌교의 어떤 절환에 적용하기 전에 각 장비 마다 정상 기준치를 반드시 얻은 후에 이상여부를 판 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EX> 이상이 적절한 진단기준으로 생각되었다. $0.4{\;}\textrm{cm}^3$ 이상의 좌우 부피차를 보이는 모든 증례에서 육안적으로도 해마위축이 뚜렷이 나타났다. 결론 : MR영상을 이용한 해마의 부피측정은 해마경화증 환자의 진단에 있어 육안적인 MR 진단이 어려운 제한된 경우에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Active Noise Control in Ductilike System using Adaptive Filtering (적응필터링에 의한 덕트계의 능동소음제어)

  • 이태연;김상명;송원식;오재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17-22
    • /
    • 1991
  • 최근 기계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능동 적으로 소음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것은 원하지 않는 소음을 그 신호의 역위상을 갖는 부가음을 이용하여 능동적으 로 감쇠시키는 방법으로서, 저주파수 대역에서 비효율적인 수동적인 방법인 소음기둥에 대한 대안으로 많은 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초기에 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요구되는 여러가지 음향요소의 전달함수를 제어하는 데 대한 불가능성으로 인해 능동 소음제어에 대한 실질적인 발전이 지연되 어 왔으나 최근 마이크로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공학의 발전으로 인해 적응 신호처리 분야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음향계의 소음을 원하는 수준까지 제어 하는 능동 소음제어의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음이 1 차원적으로 전파한다고 볼 수 있는 길이가 긴 덕트구조물에서의 능동 소음 제어는 가장 기본적이며 현실적으로 자동차 배기계나 냉동.공조설비에 있어 서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문제임 만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능동 소음제어 방법을 음향계에 적용하였을 때, 부가적인 음을 발생 하는 제어용 스피커로 인해 입력마이크로폰으로의 음향궤환이 존재하고 이 에 따라 제어계가 불안정해질 수 있으며, 또한 변환기의 사용으로 인한 부가 적인 전달함수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중요한 의미를 갖고 고려하여야 한 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 필터링 이론에 의한 소음원의 입력신호에 대한 최적 한 예측으로써 부가음을 발생시키고, 입력신호 및 제어된 출력신호간의 차인 오차를 최소화 시키도록 하는 오차적응제어법을 이용한 능동소음 제어 방법 을 제시하였다. 이와 아울러 제어계의 환경변화에 따른 파라메타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응답이 가능해야 하는 적응 소음제어 시스템에서, 음향궤환과 함 께 필히 고려해야 하는 부가적인 전달함수의 영향을 고려한 능동 소음제어 에 대해 연구하였다. 경량화 추세에 따라 지반이나 케이싱이 경량이거나 유연하여 회전축과 동적으로 연성된 경우 회전축-베어링-지반으로 이루어진 2중구조의 회전축 계 동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므로서 회전 기계류의 진동 전반에 걸친 문제점에 대한 그 원인과 현상을 명확히 분석하여 국내의 전기 계류의 보다 신뢰성있는 설계 및 제작자료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하 였다.존의 small molecular Gd-chelate에 비해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MnPC는 간세포에 흡수된 후 담도계로 배출되는 간특이성 조영제임을 확인하였다. 장비 내에서 반복 시행한 평균값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장비에서 반복 시행한 장비간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 따라서 , MRS 검사를 소뇌나 뇌교의 어떤 절환에 적용하기 전에 각 장비 마다 정상 기준치를 반드시 얻은 후에 이상여부를 판 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EX> 이상이 적절한 진단기준으로 생각되었다. $0.4{\;}\textrm{cm}^3$ 이상의 좌우 부피차를 보이는 모든 증례에서 육안적으로도 해마위축이 뚜렷이 나타났다. 결론 : MR영상을 이용한 해마의 부피측정은 해마경화증 환자의 진단에 있어 육안적인 MR 진단이 어려운 제한된 경우에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ofile whereas relaxivity at high field is not affected by τ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τV does not affect low field profile but strongly in fluences on both inflection fie이 and the maximum relaxivity value. The results shows a fluences on both inflection field

  • PDF

The Design of Reconstruction Filter for the Order Tracking of the Rotating Machinery (회전기기 진동의 Order Tracking을 위한 재합성 필터의 설계)

  • 정승호;박영필;이상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95-98
    • /
    • 1991
  • 회전 기기의 이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진동은 축 회전속도의 고주파 성분 (super-harmonic)이나 또는 분수조파 성분(sub-harmonic)으로 나타나는 경 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회전기기의 진동을 주파수 영역에서 해석함에 있어 파워 스펙트럼의 주파수 축을 Hz로 나타내기보다는 축 회전속도의 order로 써 나타내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 스펙트럼을 order로써 나타내기 위해서는 샘플링 시간을 축 회전속도와 동기(synchronization)시켜야 하는데 이 방법으 로는 회전축에 엔코더(encorder)를 부착하여 엔코더에서 발생하는 펄스 신호 를 이용하여 샘플링하는 방법과 order tracking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 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원하는 회전축마다 엔코더를 부착하여야 하며 경 우에 따라서는 엔코더를 부착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으며, 회전기기의 운전 개시나 종료시처럼 회전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에는 낮은 주파수에서 중첩(aliasig)에 의한 오차가 수반될 수도 있다. 후자의 방법은 order tracking 필터 이외에도 여러 부수장비가 필요하며 기준 주파수(즉 회전속 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 PLL(phase locked loop)에서 tracking 오차가 발생된다. 최근에 발표된 논문에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샘플링한 데이터들 로부터 신호를 재합성하여 회전축의 속도와 동기가 되도록 재 샘플링함으로 서 스펙트럼의 주파수를 회전속도의 order로써 나타내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위 논문에서는 신호의 재합성에 필요한 재합성 필터(reconstruction filter)의 설계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언급이 없이 다만 결과만을 논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합성 필터의 설계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또한 동기화 샘플링의 장점 및 고려 사항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려한 능동 소음제어 에 대해 연구하였다. 경량화 추세에 따라 지반이나 케이싱이 경량이거나 유연하여 회전축과 동적으로 연성된 경우 회전축-베어링-지반으로 이루어진 2중구조의 회전축 계 동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므로서 회전 기계류의 진동 전반에 걸친 문제점에 대한 그 원인과 현상을 명확히 분석하여 국내의 전기 계류의 보다 신뢰성있는 설계 및 제작자료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하 였다.존의 small molecular Gd-chelate에 비해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MnPC는 간세포에 흡수된 후 담도계로 배출되는 간특이성 조영제임을 확인하였다. 장비 내에서 반복 시행한 평균값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장비에서 반복 시행한 장비간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 따라서 , MRS 검사를 소뇌나 뇌교의 어떤 절환에 적용하기 전에 각 장비 마다 정상 기준치를 반드시 얻은 후에 이상여부를 판 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EX> 이상이 적절한 진단기준으로 생각되었다. $0.4{\;}\textrm{cm}^3$ 이상의 좌우 부피차를 보이는 모든 증례에서 육안적으로도 해마위축이 뚜렷이 나타났다. 결론 : MR영상을 이용한 해마의 부피측정은 해마경화증 환자의 진단에 있어 육안적인 MR 진단이 어려운 제한된 경우에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ofile whereas relaxivity at high field is not affected by τ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τV does not affect low field profile but strongly in fluences on both inflection fie이 and the maximum relaxivity value. The re

  • PDF

Enhancement of the Early/Precise Diagnosis Based on the Measurement of SUVs in F-18 FDG PET/CT Whole-body Image (F-18 FDG PET/CT 전신 영상에서 SUVs 측정에 기반한 조기/정밀 진단 연구)

  • Park, Jeong-Kyu;Kim, Sung Kyu;Cho, Ihn-Ho;Kong, Eun-Jung;Park, Myeong-Hwan;Cho, Bok-Yeon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24 no.3
    • /
    • pp.176-182
    • /
    • 2013
  • Through this research, we measure the data for several SUVs such as SUVLBM, SUVBW, and SUVBSA using volume of interest in order to enhance the diagnostic level in whole-body image for healthy examinees via F-18 FDG PET/CT. Maximum value,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and threshold value for each SUVs are shown. The measurement of SUVs are carried out with 31 examinees who have taken whole-body examination with F-18 FDG PET/CT from July, 2012 to August, 2012. To secure the preciseness of measurement, we selected 26 healthy examinees as a subject of measurement according to diagnostic view of a nuclear-medical doctor. We see from the measurement of SUVs of PET/CT that the value of SUVBW is hightest and followed by SUVLBM and SUVBSA in turn regardless of the use of contrast media. By comparing the SUVLBM-maximum data for the group used contrast media with those for the group used no contrast media, there found a trend that the measured values increase when the contrast media are used. Among them, liver, aorta, lumbar-5, and Cerebellum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e conclude that our data for SUVs would be basic references in overall image interpretation, and hope that the research using VOI would be active.

Clinical Results from Single-Fraction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of Brain Arteriovenous Malformation: Single Center Experience (뇌동정맥기형에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 수술 후의 임상적 결과)

  • Lim, Soo-Mee;Lee, Re-Na;Suh, Hyun-Suk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21 no.3
    • /
    • pp.274-28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ingle-fraction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for the treatment of 15 cases of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AVMs). Between 2002 and 2009, of the 25 patients who had SR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AVM, 15 patients (6 men, 9 women) taken a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over 12 months after SRS were included.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size, location, hemorrhage of nidus, angiographic changes on follow-up on the MR angiography and DSA, and clinical complications during follow-up periods. At a median follow-up of 24 months (range 12-89), complete obliteration of nidus was observed in all patients (100%) while residual draining veins was observed in 3 patients (20%). There was no clinical complica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except seizure in 1 patient. The mean nidus volume was 4.7cc (0.5~11.7 cc, SD 3.7 cc). The locations of nidus were in cerebral hemisphere in 11 patients, cerebellum in 2 patients, basal ganglia in 1 patient, and pons in 1 patient respectively. 9 cases were hemorrhagic, and 6 cases were non-hemorrhagic AVMs. The SRS with LINAC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cerebral AVMs when the follow up period is over 4 years. However, it is recommended to continue to follow up until the draining vein on arterial phase of follow up DSA disappears completely.

Structural and Resting-State Brain Alterations in Trauma-Exposed Firefighters: Preliminary Results (외상에 노출된 소방관들의 뇌 구조 및 휴식기 뇌기능 변화: 예비 결과)

  • Yae Won Park;Suhnyoung Jun;Juwhan Noh;Seok Jong Chung;Sanghoon Han;Phil Hyu Lee;Changsoo Kim;Seung-Koo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1 no.3
    • /
    • pp.676-687
    • /
    • 2020
  • Purpose To analyze the altered brain regions and intrinsic brain activity patterns in trauma-exposed firefighters withou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Materials and Methods Resting-state functional MRI (rsfMRI) was performed for all subjects. Thirty-one firefighters over 40 years of age without PTSD (31 men; mean age, 49.8 ± 4.7 years) were included. Twenty-six non-traumatized healthy controls (HCs) (26 men; mean age, 65.3 ± 7.84 years) were also included. Voxel-based morphometr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focal differences in the brain anatomy. Seed-based functional connec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pontaneous brain characteristics. Results The mean z-scores of the Seoul Verbal Learning Test for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COWAT) score for animals, and COWAT phonemic fluenc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firefighter group than in the HCs, indicating decreased neurocognitive function. Compared to HCs, firefighters showed reduced gray matter volume in the left superior parietal gyrus and left inferior temporal gyrus. Further, in contrast to HCs, firefighters showed alterations in rsfMRI values in multiple regions, including the fusiform gyrus and cerebellum. Conclusion Structural and resting-state functional abnormalities in the brain may be useful imaging biomarkers for identifying alterations in trauma-exposed firefighters without PT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