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교세포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소양인형방패독산의 생쥐 소교세포에서 지질다당질에 의한 cyclooxygenage-2와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sser Yang Person-Hyungbangpaedok-san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Expressions of cyclooxygenase-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Mouse BV2 Microglial Cells)

  • 고지은;김율리아;김홍;김창주;이충열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61-966
    • /
    • 2007
  • Lesser yang person-Hyungbangpaedok-san (HBPDS) is a prescription originated in the

Inhibitory Effect of Chan-Su on the Secretion of PGE2 and NO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 Kim, Min-Hee;Lyu, Ji-Hyo;Lyu, Sun-Ae;Hong, Sang-Hoon;Kim, Won-Il;Yoon, Hwa-Jung;Ko, Woo-Shi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315-1321
    • /
    • 2008
  • 본 논문은 오랫동안 민간요법으로 염증치료에 사용되어오던 섬수가 lipopolysaccharide(LPS)-자극된 BV2 소교 세포의 nitric oxide(NO) 분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한 내용이다. 실험 결과 섬수는 세포 생존력에 대한 영향 없이 BV2 소교 세포에서 NO 분비를 억제시켰고, nitric oxide synthase (iNOS) 단백질도 감소시켰다. 또한 섬수는 prostaglandin E2 (PGE2) 생산 및 cyclooxygenase (COX)-2 발현을 저지하였고, proinflammatory cytokines과 ${IkB-\alpha}$감소를 억제시켰다. 따라서 섬수가 $I{\kappa}B-{\alpha}$감소를 억제함으로써 NO 합성을 저해하여 항염증작용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11}$C 표지 자동합성장치에서 루프법을 이용한 ($^{11}$C)(R)-PK11195의 간편한 합성법 (A Convenient Radiolabeling of [$^{11}$C](R)-PK11195 Using Loop Method in Automatic Synthesis Module)

  • 이학정;정재민;이윤상;김형우;최재연;이동수;정준기;이명철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4호
    • /
    • pp.337-343
    • /
    • 2009
  • 목적: (R)-1-(2-Chlorophenyl)-N-methyl-N-1-(1-methyl-propyl)-3-isoquinoline carboxamide ((R)-PK11195)는 말초형 벤조디아제핀 수용체 (PBR)의 친화성이 높으며, 활성화된 소교세포(microglia)의 PBR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말초형 벤조디아제핀 수용체 (PBR)의 FET용 리간드인[$^{11}$C](R)-PK11195를, 절차가 빠르고 간단한 [$^{11}$C]CH$_3$I 자동합성장치 및 루프법을 도입해서 합성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사이클로트론에서 $^{14}$N(p,a)$^{11}$C핵반응에 의하여 생산된 [$^{11}$C]Co$_2$를 0.2 M LiAlH$_4$/THF (0.2 mL)로 환원한 다음 HI (1 mL)과 반응하여 [$^{11}$C]CH$_3$I를 생산하였다. 반응용매인 NaH DMF complex (0.1 mL)와 녹인 전구물질 (R)-N-desmethyl-PK11195 (1 mg)을 녹인 DMSO (0.1mL)를 섞은 혼합액을 HPLC의 루프에 미리 주입하고 [$^{11}$C]CH$_3$I를 상온에서 5분 동안 질소가스로 불어준 뒤에 semi-preparative HPLC로 [$^{11}$C](R)-PK11195를 분리하였다. 결과: 전구물질과 [$^{11}$C]CH$_3$I의 [$^{11}$C]메틸화 반응에서의 표지효율은 71.8$\pm$8.5% 이었다. 분리 후 얻은 [$^{11}$C](R)-PK11195의 비방사능은 11.8$\pm$6.4 GBq/$\mu$mol이었으며, 방사화학적 순도는 99.2% 이상이었다. C-11 표지 후 얻어진 (R)-PK11195의 물질의 질량 분석은 m/z 353.1 (M+1)으로 물질구조를 확인 할 수 이었다. 결론: 뇌염증에 의한 활성화 소교세포의 영상화를 위한 PET용 방사성의약품인 [$^{11}$C](R)-PK11195를 반복적으로 생산해야 하는 임상 적용을 위해, 합성절차가 빠르고 간단한 [$^{11}$C]CH$_3$I 자동화 합성장치를 1차 루프 방법을 이용하여 $^{11}$C을 표지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11}$C](R)PK11195 표지 할 때 반응 단계를 줄이고 반응을 실온에서 할 수 있어서 표지과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었으며, NaH의 DMF현탁액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생쥐 뇌소교세포주에서 웅담추출활성성분(우르소데옥시콜린산)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Cytoprotective Effect of Ursodeoxycholic Acid, an Active Compound from the Bear's Gall, in Mouse Microglia)

  • 주성수;김성근;유영민;류인왕;김경훈;이도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52-455
    • /
    • 2006
  • 퇴행성뇌질환인 치매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나 빠른 뇌세포사멸이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다량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한 뇌세포사멸이 주요원인인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웅담활성성분인 UDCA의 세포보호 및 항산화효과로부터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억제 또는 치료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고 뇌의 대식세포인 소교세포(microglia)를 cell model로 하였다. MTT 실험결과 UDCA에 의한 세포보호효과는 $7.5\;{\mu}g/mL$ 주변 농도에서 관찰되었고 NO에 의한 세포손상 유도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Fig. 2). 이와 같은 결과는 형광현미경하에서 보다 명확히 관찰되어(Fig. 3) 결국 UDCA에 의한 항세포사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UDCA의 항산효과는 활성산소인 $H_2O_2$의 단백질 분해 저해능을 관찰하는 금속이온촉매 산화효과를 통해 확인하였다(Fig. 4). 즉, UDCA는 농도의존적으로$(1{\sim}100\;{\mu}g/mL)$ 단백질 분해억제능을 보였으며 $1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유사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UDCA의 항산화효과는 $10\;{\mu}g/mL$ 전후에서 관찰되어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는 농도$(7.5\;{\mu}g/mL)$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고 따라서 UDCA의 농도범주는 일괄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웅담활성성분인 UDCA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여온 간질환 및 소화계질환의 보조요법제의 개념을 벗어나 항염 및 항산화효과에 잠재능을 가지며 나아가 뇌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세포사를 차단하여 알츠하이머와 같은 퇴행성뇌질환 조절 후보물질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보다 심도 있는 in vivo 및 임상적 차원의 연구가 요구된다.

Neospora caninum에 자연 감염된 임신우로부터 유산된 태아의 병리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 Observation of the Aborted Fetus from Pregnant Dairy Cows Naturally Infected with Neospora caninum)

  • 손정훈;조성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556-1562
    • /
    • 2010
  • 충남 공주시와 연기군의 목장 4곳에서 Neospora에 자연 감염된 임신우로부터 유산된 태아를 병리조직학적,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다. 유산된 태아는 전신 부종과 함께 부검시 복강과 흉강은 혈액성 장액성 액체로 충만되어 있었다. 광학현미경적으로 심장과 간에서는 충 출혈 및 심근세포와 간세포의 괴사를 동반한 대식 세포, 임파구, 단핵구 세포로 구성된 많은 수의 염증세포 침윤이 관찰되었고, 간에서는 간세포의 세포질과 간질 조직에서 tachyzoite 집락이 관찰되었다. 뇌에서는 신경세포내와 주위에서 크기가 다양한 많은 수의 조직낭포가 관찰되었고, 조직낭포는 구형으로 두꺼운 막으로 싸여 있었으며 내부에는 많은 bradyzoite를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뇌조직에서는 충 출혈 및 국소성 괴사와 함께 광범위한 신경교증이 관찰되었고 국소성 괴사 부위 주위와 혈관주위에 소교세포로 구성된 많은 수의 염증세포 침윤이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적으로 조직낭포의 막 두께는 대략 1 ${\mu}m$로 모양은 불규칙하였고, 내부에는 길이 2-5 ${\mu}m$, 폭 1-2 ${\mu}m$인 100여 개의 bradyzoite가 관찰되었다. Bradyzoite의 핵은 posterior tip으로부터 1-1.5 ${\mu}m$ 전방에 존재하였고, amylopectin 과립, 전자밀도가 높고 작은 구형인 과립과 전자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나 큰 구형의 과립, 전자밀도가 균질한 rhoptry 및 zoite pellicle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달리는 microneme이 핵과 posterior tip 사이의 세포질 내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본 연구는 ELISA검사를 통해 Neospora 항체에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임신우로부터 유산된 태아에서 발견된 조직낭포를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하여 N. caninum임을 확인하였다.

LPS 유도에 의한 신생쥐에서 chemokine의 단계별 발현 (Differential Expression of Chemokine MCP-1, MIP-1α, MIP-2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Neonatal and Adult Rat Brain)

  • 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40-849
    • /
    • 2006
  • 외부 병원체의 침입에 의한 병원독소로 발병된 뇌염증에서 미성숙뇌는 성숙뇌에서 보다 많은 백혈구의 침윤을 일으킨다. 케모카인은 뇌염증부위로 염증세포의 침윤을 매개하는 물질이다. 본 연구는 미성숙뇌의 뇌염증에서 백혈구침윤의 기전을 연구하기 위하여 내독소로 유발된 뇌염증에서 케모카인의 일종인 MCP-1, $MIP-1{\alpha}$, MIP-2의 발현을 연구하였다. 신생쥐와 성숙쥐의 미상핵 국소에 LPS $(0.5\;{\mu}g/{\mu}l)$를 정위주사 한 후 시간대별로 RT-PCR과 면역조직화학검사을 통하여 각각 mRNA상과 단백질상에서의 발현을 비교분석하였다. 광학현미경상 LPS 주입 후 6 시간 후부터 주사부위의 염증세포의 침윤이 시작되었으며 24 시간 후에 가장 뚜렷한 현상을 보였다. RT-PCR 결과, MCP-1, $MIP-1{\alpha}$, MIP-2 mRNA 발현은 24 시간 때에 최고치를 나타냈었다. 미성숙뇌의 각 케모카인의 mRNA발현은 성숙뇌에 비해 MCP-1은 약 2.6배, $MIP-1{\alpha}$는 약 1.4배, MIP-2는 약 1.2배 발현양이 더 많다. 면역조직화학검사는 광학현미경결과와 RT-PCR결과와 상응하여 각 케모카인들이 24 시간 때에 가장 양성반응이 뚜렷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뇌염증에서 백혈구의 침윤은 케모카인을 생성하는 소교세포, 성상세포, 내피세포 등의 영향을 받는 기전에 의하여 조절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들 케모카인 형성환경의 역할을 명확히 밝히고 질병의 진행에서 케모카인의 활성을 조정하는 방법을 연구하면 향후 뇌염증을 포함한 여러 가지질환에서 신경세포의 손상을 막는 치료법의 개발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급성 알코올 투여 백서의 신문혈 자극이 소교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Suppression of Microglial Activation by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through HT7 Stimulation)

  • 서수연;방세권;강석윤;조성진;최광호;류연희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41권2호
    • /
    • pp.33-42
    • /
    • 2024
  • Objectives : The sigma-1 receptor is implicated in stress, depression, psychostimulant sensitization, and addiction vulnerability. Prior studies have indicated that ethanol exposure modulates sigma-1 receptor activity within the Ventral Tegmental Area (VTA). Here, we explore the sub-mechanisms underlying sigma-1 receptor activity induced by HT7 (Shinmun) stimulation in behavioral alterations following acute ethanol (ETOH) administration. Methods : Male Wistar rats were investigated for pro- and anti-inflammatory markers after injection of ETOH (1 g/kg) using cytokin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s. After confirming that HT7 stimulation changed the total distance traveled in the open field test (OFT), protein changes in the Ventral tegmental area (VTA)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The expression level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fter administration of a sigma-1 receptor antagonist (dihydrobromide 1047; BD1047, 10 mg/kg i.p.) and Shenmen (HT7) stimulation was compared. Results : As a result, acute ETOH administration increased proinflammatory marker levels (TNF-𝛼 and IL-6). HT7 stimulation restored the total distance response after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In addition, in the VTA, the levels of a microglial marker (iNOS), sigma-1 receptor and protein kinase C, which are predicted to be involved in up- and downregulation, were restored by HT7 stimulation. In particular, HT7 stimulation modulates iNOS expression through effects similar to BD treat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timulatory effect of HT7 may be driven by microglial activation. Conclusions : Microglial activity is regulated by sigma-1 receptor, and sigma-1 receptor activity is regulated by HT7 stimulation. Significantly, we demonstrate that HT7 stimulation ameliorates behavioral alterations induced by acute ETOH administration through microglial activation within the VTA.

뇌신경소교세포(腦神經小膠細胞)에서 생강 헥산 분획물의 염증매개물질 생성(生成) 억제효과(抑制效果) (Hexane Fraction of Zingiberis Rhizoma Crudus Extract Inhibit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 정환용;주예진;정혜미;신우진;서운교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29
    • /
    • 2009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s focused on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rhizome hexane fraction extract of Zingiberis Rhizoma Crudus (ginger hexan extract; GHE) o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O, $PGE_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BV2 cells, a mouse microglial cell line. Methods: We separated the hexane fraction from Zingiberis Rhizoma Crudus's methanol extract. The inhibitor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GHE was examined on microglial activation. Results: GH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cessive production of NO, $PGE_2$, TNF-${\alpha}$, and IL-1${\beta}$ in LPS-stimulated BV2 cells. In addition, GHE attenuated the mRNA expressions and protein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Conclusion: Th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GHE may make it useful as a therapeutic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human neurodegenerative diseases.

  • PDF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된 신경소교세포 사멸에 대한 루테올린의 보호효과 연구 (Protective Effect of Luteolin against β-Amyloid-induced Cell Death and Damage in BV-2 Microglial Cells)

  • 박규환;장정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9-86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uroprotective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luteolin against ${\beta}$-amyloid ($A{\beta}_{25-35}$)-induced oxidative cell death in BV-2 cells. Methods : The protective effects of luteolin against $A{\beta}_{25-35}$-induced cytotoxicity and apoptotic cell death were determined by MTT dye reduction assay and TUNEL staining, respectively. The apoptotic cell death was further analyzed by measuring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and expression of pro- and/or anti-apoptotic proteins.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protective effects of luteolin,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oxidative damages, and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were examined. Results : Luteolin pretreatment effectively attenuated $A{\beta}_{25-35}$-induced apoptotic cell death indices such as DNA fragmentation, dissipation of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increased Bax/Bcl-2 ratio, and activation of c-Jun N-terminal kinase and caspase-3 in BV-2 cells. Furthermore, $A{\beta}_{25-35}$-induced intracellular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subsequent oxidative damages such as lipid peroxidation and depletion of endogenous antioxidant glutathione were suppressed by luteolin treatment.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luteolin might be mediated by up-regulation of cellular antioxidant defense system via up-regulation of ${\gamma}$-glutamylcysteine ligase, a rate-limiting enzyme in the glutathione biosynthesis and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e involved in dismutation of superoxide anion into oxygen and hydrogen peroxide.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uteolin has a potential to protect against $A{\beta}_{25-35}$-induced neuronal cell death and damages thereby exhibiting therapeutic utilization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