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결 시간

Search Result 53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intering of Ni-Zn Ferrites by Microwave Hybrid Heating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Ni-Zn 페라이트의 소결)

  • 김진웅;최승철;이재춘;오재희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9 no.7
    • /
    • pp.669-674
    • /
    • 2002
  • Ni-Zn ferrite was sintered by microwave hybrid sintering method using microwave energy of 2.45 GHz, 700 W in the temperature range of 900$^{\circ}C$ ∼ 1070$^{\circ}C$. A high density (98%TD) Ni-Zn ferrite, added Bi$_2$O$_3$ and CuO, with a single phase was obtained by microwave sintering at 970$^{\circ}C$ for 15 min. All the sintered samples showed sintered density over 90% of T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cessing time and energy consumption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by microwave hybrid sintering method.

Microstructural evolution in liquid-phase sintered $\alpha$-silicon carbide (액상소결 $\alpha$형 탄화규소의 미세구조 변화)

  • 이종국;강현희;박종곤;이은구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8 no.2
    • /
    • pp.324-331
    • /
    • 1998
  • After the addition of yttrium aluminum garnet of 2, 5, 10 mol% as a sintering aid, $\alpha$-silicon carbides were prepared by a liquid-phase sintering at $1850^{\circ}C$, and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was investigated during sintering as functions of liquid-phase amount and sintering time. The highest apparent density in each compositions was obtained in specimens sintered for 2 h, and the percentage of weight loss increased with sintering time. By increasing the amount of sintering aid (yttrium aluminum garnet), the rate of grain growth during sintering decreased, but the apparent density of sintered body increased. The phase transformation from 6H-SiC to 4H-SiC was partially observed in specimens sintered for a long time, and so, a few rod-like grains were observed.

  • PDF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Sintering Condition of ZST Ceramics for Mov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이동 통신용 ZST세라믹스의 소결조건에 따른 고주파 유전 특성)

  • Seo, Jung-Chull;Lee, He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5b
    • /
    • pp.257-260
    • /
    • 2000
  • 소결온도 및 소결시간의 변화가 ZST세라믹의 유전상수 $\varepsilon_{\tau}$, 품질계수 $Q{\cdot}f$ 및 공진주파수의 온도계수 $\tau_f$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소결온도를 $1420^{\circ}C$까지 올렸을 때 공진기 섭동방법으로 1.6GHz에서 측정한 품질계수 Q가 가장 높았으나, 소결밀도 및 유전상수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소결시간의 증가에 따른 품질계수 Q는 $1300^{\circ}C{\sim}1380^{\circ}C$ 온도 범위에서는 소폭 상승하였으며, 소결밀도 및 유전상수는 거의 일정하였다. 공진주파수의 온도계수 $\tau_f$는 소결온도 및 소결시간의 변화에는 거의 의존하지 않았다.

  • PDF

Effect of ${Gd_2}{O_3}$ Addition on the Sintered Density and Resintered Density in <${UO_2}-{Gd_2}{O_3}$ Pellets (${UO_2}-{Gd_2}{O_3}$소결체에서 ${Gd_2}{O_3}$첨가가 소결 및 재소결밀도에 미치는 영향)

  • Baek, Jong-Hyeok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5 no.3
    • /
    • pp.364-370
    • /
    • 1995
  • ex-AUC U$O_{2}$ 분말과 $Gd_{2}$O_{3}$ 분말을 기계적으로 혼합하여 소결한 U$O_{2}$-$Gd_{2}$O_{3}$ 소결체의 밀도 변화와 재소결 후 밀도변화를 기공크기 및 분포의 변화로 서술하였다. 수소분위기에서 175$0^{\circ}C$, 4시간 동안 소결하였을 때, 순수 U$O_{2}$의 소결밀도는 97.2% T.D.였으나 6wt% $Gd_{2}$O_{3}$ 첨가까지는 U$O_{2}$-$Gd_{2}$O_{3}$의 소결밀도는 $U^{+4}$와 $Gd^{+4}$의 상호확산 때문에 약 90% T.D.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6wt% 이상의 $Gd_{2}$O_{3}$가 첨가되면 우라늄이온 산화아와 산소침입으로 인하여 소결밀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1$700^{\circ}C$에서 재소결시킬 때 순수 U$O_{2}$ 소결체에서는 재소결 시간에 따라 밀도증가가 발생하였다. U$O_{2}$-$Gd_{2}$O_{3}$ 소결체 경우에는 재소결시 밀도가 감소하였으나 재소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시 밀도는 증가하였고, 6wt%$Gd_{2}$O_{3}$가 첨가된 U$O_{2}$-$Gd_{2}$O_{3}$ 소결체에서 밀도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Fabrication Variable on the Characteristics of Simulated Spent Fuel (모의 사용후핵연료의 특성에 미치는 제조변수의 영향)

  • 강권호;류호진;배정현;송기찬;양명승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3
    • /
    • pp.278-285
    • /
    • 2001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sintering of simulated fuel to simulate the spent fuel are described. Mainly, the effects of compaction pressure, sintering temperature and time on the density of pellet are described. The experimental is performed with compaction pressure of 1 ton/$\textrm{cm}^2$~4 ton/$\textrm{cm}^2$, sintering temperature of 167$0^{\circ}C$, 173$0^{\circ}C$ and 178$0^{\circ}C$ and sintering time of 4 hr, 8 hr and 24 hr. The green density of simulated fuel is proportional to the one third power of compaction pressure and the sintered density is 90.5~99.6% of theoretical density. The grain growth exponent and activation energy of simulated fuel is 2.5 and 287.97 kJ/mol, respectively.

  • PDF

Effect of Sintering Time on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ZPCCY-Based Varistors (ZPCCY계 바리스터의 열화특성에 미치는 소결시간의 영향)

  • 남춘우;박종아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41 no.6
    • /
    • pp.464-470
    • /
    • 2004
  • The electrical stability of ZPCCY-based varistors composing of ZnO-Pr$_{6}$O$_{11}$-CoO-C $r_2$ $O_3$- $Y_2$ $O_3$ ceramics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DC accelerated aging stress with sintering times. Sintering time greatly affected electr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Sintering time decreased nonlinear exponent in the range of 51.2∼23.8 and increased leakage current in the range of 1.3∼5.6 ${\mu}$A. The varistor sintered for 1 h exhibited high nonlinearity, whereas relatively low stability. On the contrary, the varistor sintered for 3 h exhibited low nonlinearity, whereas relatively high stability. But the varistor sintered for 2 h exhibited not only good nonlinearity, with nonlinear exponent of 38.6 and leakage current of 3.6 ${\mu}$A but also high stability, in which the variation rates of varistor voltage, nonlinear exponent, leakage current, and dissipation factor are -0.80%, -1.81 %, +74.4%, and +0.88%, respectively.

방전플라즈마 소결법으로 제조한 Mo-Cu 합금 소결체의 물성 및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Han-Chan;Mun, Gyeong-Il;Lee, Bung-Ju;Sin, Baek-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77-277
    • /
    • 2011
  • Mo-Cu 합금은 고강도이고 우수한 열전도성 및 전기전도성를 가지는 특성이 있어 현재 방열소재, 반도체 부품, 자동차 부품 등 여러 응용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고용성이 없는 Mo-Cu 합금을 제조하기 위해서 Mo, Cu 분말을 PBM (Planetary Ball Milling)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 하였으며, 제조된 분말은 SPS (Spark Plasma Sintering) 공정을 이용하여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Mo-Cu의 조성 변화는 Cu의 함유량을 각각 5at%Cu, 10at%Cu, 20at%Cu로 조절하여 수행하였으며, PBM 의 공정 변수로 회전수(RPM), 볼과 분말의 비율, 분산제의 양, 볼밀 시간, 분위기 변화를 주어 최적조건을 얻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PBM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분말은 PSA (Particle Size Analysis)에 의해 분말의 크기를 측정하고 EDS(Energy Disperse X-ray Spectrometer) 분석에 의해 조성을 확인하였으며, XRD (X-Ray Diffraction) 분석에 의해 Cu peak이 사라지는 조건을 PBM의 최적조건으로 잡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소결체를 고밀도화하기 위해 소결공정을 SPS 방식으로 하였으며 소결체의 경도, 내마모성, 마찰계수 일함수 등을 분석하기 위해 소결체의 크기를 직경 30 mm 및 두께 5 mm로 설계하였고, 소결 공정 변수로 소결온도를 각각 $900^{\circ}C$, $1000^{\circ}C$, $1100^{\circ}C$, 소결압력을 50MPa, 60MPa, 70MPa, 유지시간을 0분, 10분, 20분으로 차이를 주어, 소결체의 밀도차이와 물성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PBM의 최적조건으로는 5at%Cu 에서는 10h, 10at%Cu, 20at%Cu 에서는 20h의 최적의 밀링 시간을 확인하였고, 다른 공정 변수의 최적조건으로는 회전수 300RPM, 10:1의 볼과 분말 비, 분산제 4wt%, Ar 분위기라는 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각각의 공정변수 변화에 따른 소결체 최적밀도 달성조건, 소결체 물성 및 전기적 특성 등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보고한다.

  • PDF

Fabrication of WC-8wt.%Co Hard Materials by Rapid Sintering Processes and Their Mechanical Properties (급속소결공정에 의한 WC-8wt.%Co 초경재료 제조와 기계적 성질평가)

  • Jeong In-Gyun;Kim Hwan-Cheol;Son In-Jin;Do Je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Conference
    • /
    • 2006.04a
    • /
    • pp.79-80
    • /
    • 2006
  • 새로운 급속소결방법인 고주파유도가열 소결법과 펄스전류활성 소결법을 이용하여 습식 볼밀링으로 혼합한 WC-8wt.%Co분말에 60MPa의 압력과 90%의 고주파출력 또는 2800A의 필스전류를 가하여 상대밀도가 98.6% 이상인 초경재료를 2분이내의 짧은 시간에 제조하였다. 초기의 WC분말의 입도가 미세해짐에 따라 고주파유도가열 소결법과 펄스전류활성 소결법 모두 소결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소결체의 결정립 크기도 감소하였다. 고주파유도가열 소결법으로 제조된 초경합금의 WC 결정립 크기는 초기입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각 410, 540, 600, 700 및 850nm으로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를 Fig. 1.에 나타내었다. WC의 초기입도가 $0.5{\mu}m$일 경우 고주파유도가열 소결법과 펄스전류활성 소결법으로 제조된 WC-8wt.%Co 소결체의 경도와 파괴인성은 각각 $1923kg/mm^2$$10.5MPa{\cdot}m^{1/2}$$1947kg/mm^2$$10.8MPa{\cdot}m^{1/2}$ 이었다.

  • PDF

Electrical Properties on Sintering Conditions of ZnO Varistor (소결 조건에 따른 ZnO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

  • Yoon, Jung-Rag;Lee, Sek-Won;Gwon, Jeong-Yeol;Lee, He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7a
    • /
    • pp.328-329
    • /
    • 2005
  • ZnO 바리스터의 소결조건에 따른 바리스터 특성과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소결조건에서 소결시간 및 시간에 따라 바리스터 전압의 변화를 볼 수 있었으며 적정소결온도에서 바리스터 전압 $V_{1mA}$$V_{10mA}/V_{1mA}$특성은 225 ~ 250. 0.85 ~ 0.9의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유전특성의 경우 주파수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가 높은 온도에서 소결한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적정 소결온도에서는 유전율은 720 ~ 740, 유전손실은 2.5% 이하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Noise properties of the PSS-PT-PZ pyroelectric infrared detector (PSS-PT-PZ초전형 적외선 검출기의 잡음특성)

  • 우승일;류기원;이성갑;이성희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6 no.6
    • /
    • pp.573-581
    • /
    • 1993
  • 0.10Pb(Sb$_{1}$2/Sn$_{1}$2/)O$_{3}$-0.25PbTiO$_{3}$-0.65PbZrO$_{3}$ 세라믹을 소결온도 및 시간을 각각 1200-1250[.deg.C]에서 2, 4, 6시간으로 변화시켜 제작하였으며 시편의 소결조건 및 MnO$_{2}$(0~0.30mol%)첨가량에 따른 잡음특성을 관찰하였다. 초전계수 및 전압감도는 1250[.deg.C]에서 2시간 소결시킨 시편에서 각각 3.49x$10^{-8}$[C/$cm^{2}$K], 147[V/W]의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초전형 적외선 검출기의 잡음특성에 있어 증폭기의 전류잡음 .DELTA.V$_{i}$가 총 잡음전압에 대해 지배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MnO$_{2}$가 0.24[mol%] 첨가된 1250[.deg.C]에서 2시간 소결시킨 시편에서 가장 양호한 pop-corn잡음특성을 나타내었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