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결성

Search Result 88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양극의 분극특성과 소결 및 Creep 거동

  • 황응림;임준택;강성군;김선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3.05a
    • /
    • pp.87-89
    • /
    • 1993
  •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양극 재료인 tape casting된 다공성 Ni-Cr 합금과 Ni-Al 합금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소결 및 creep특성이 양극조건의 분위기 $650^{\circ}C$에서 조사되었다. 이들 전극재료의 전류밀도는 100 mV의 과전압에서 약 100~150㎃/$\textrm{cm}^2$의 크기이었다. Ni-Al 합금에서는 Ni 표면에 형성된 $Al_2$O$_3$의 영향으로 소결저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Creep 특성도 Al 첨가량의 증가에 의해 향상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sintering and dielectric properties by softening point of glass in low temperature sinterable glass-ceramics (저온 소성용 Glass-Ceramics에서 glass의 softening point에 따른 소결 및 유전 특성 연구)

  • Yoon, Sang-Ok;Oh, Chang-Yong;Kim, Kwan-Soo;Jo, Tae-Hyun;Park, Jo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1a
    • /
    • pp.396-399
    • /
    • 2004
  • 저온 동시소성용 glass-ceramics의 소결 경향성 연구를 위해 lead-borosilicate계 glass를 frit화하여 알루미나분말과 $TiO_2$분말을 $10{\sim}50\;vol%$로 각각 혼합한 후 여러 온도에서 소결하여 소결과 유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glass의 연화온도(Ts)가 낮을수록 최대 치밀화 온도가 낮았으며, 반면에 소결밀도는 Ts가 높을수록 높았는데, 이는 glass-ceramicss에서의 결정화도와 관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glass-ceramic에서의 소결특성은 glass와 ceramic의 반응성에 의한 2상 석출 정도에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ceramic filler로서 알루미나와 $TiO_2$를 이용하여 $900^{\circ}C$에서 소성이 가능하였다. 알루미나의 경우 유전특성$({\epsilon}r=8.5,\;Q{\times}fo=6000)$이 기판용 저유전율 재료로 사용이 가능하였고, $TiO_2$의 경우도 유전특성($({\epsilon}r=17,\;Q{\times}fo=4000)$)이 필터용 고유전율 재료로 사용 가능하도록 높게 나타났다.

  • PDF

Magnetic Properties of NiZnCu Ferrite for Multilayer Chip Inductors (칩인덕터용 NiZnCu Ferrite의 자기적 특성 연구)

  • An, Sung-Yong;Moon, Byeong-Chol;Jung, Hyun-Chul;Jung, Hyun-Jin;Kim, Ic-Seob;Hahn, Jin-Woo;Wi, Sung-Kwon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8 no.2
    • /
    • pp.58-62
    • /
    • 2008
  • $Ni_{0.4}Zn_{0.4}Cu_{0.2}Fe_2O_4$ ferrite was fabricated by solid stat reaction method and sol-gel method. Because of the drawbacks of each method, we combined these two methods together. We proposed and experimentally verified that nanocrystalline ferrite additive was effective on improving the densification behavior and magnetic properties of NiZnCu ferrites for multilayer chip inductors. The initial permeability of the toroidal core Sample with 20 wt% nanocrystalline ferrite increased from 78.1 to 178.2 as annealing temperature is increased from $880^{\circ}C$ to $920^{\circ}C$. The density, shrinkage and saturation magnetization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which was attributed to the decrease of additive grain size and increase of sintering density.

Synthesis and Biocompatibility of the Hydroxyapatite Ceramic Composites from Tuna Bone(I) - The Sintering Properties of Hydroxyapatite and Hydroxyapatite- Containing Wollastonite Crushed with Dry Milling Process - (참치 뼈를 이용한 Hydroxyapatite 세라믹 복합체의 합성 및 생체 친화성(제1보)-건식법으로 분쇄한 Hydroxyapatite 및 Wollastonite가 첨가된 소결체의 특성-)

  • Kim, Se-Kwon;Lee, Chang-Kook;Byun, Hee-Guk;Jeon, You-Jin;Lee, Eung-Ho;Choi, Jin-Sam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8 no.6
    • /
    • pp.994-999
    • /
    • 1997
  • The sintering properties of hydroxyapatite isolated from tuna bone and hydroxyapatite-containing wollastonite sintered by solid-state reaction was investigated. As the sinterability of hydroxyapatite dependent upon the particle size by dry milling, it showed a sintering. But the hydroxyapatite-containing wollastonite was appeared good sinterability. On X-ray measurements, the major phases of hydroxyapatite-containing wollastonite by solid state reaction at $1250^{\circ}C$ were identified as hydroxyapatite and pseudowollastonite(${\alpha}-CaSiO_3$). And the phases appeared as whitlockite [$Ca_3(PO_4)_2$] by decomposition of hydroxyapatite at higher temperature above $1250^{\circ}C$. The shapes of microstructure on SEM images changed from porous to dense bulk by elevating temperature. The mean bending strength of hydroxyapatite-containing wollastonite sintered by solid-state reaction at $1300^{\circ}C$ was about 18 MPa, it was close to the cancellous bone's maximum strength, 20 MPa.

  • PDF

Effect of Particle Size and Temperature on the Properties of Sintered Zircon (입자 크기와 열처리 온도가 지르콘의 소결에 미치는 영향)

  • 정재욱;배경만;홍경표;문종수;강종봉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194-194
    • /
    • 2003
  • 지르콘은 내침식성, 내마모성, 열 충격 저항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내화재료, 연마재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이러한 지르콘의 물성은 출발원료의 입도와 순도, 첨가제, 열처리 온도 등에 크게 의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출발 물질의 평균 입도를 각각 5$\mu\textrm{m}$와 3$\mu\textrm{m}$, l$\mu\textrm{m}$ 이하로 제어하였고, 시료의 열처리 온도를 135$0^{\circ}C$, 140$0^{\circ}C$, 145$0^{\circ}C$, 150$0^{\circ}C$, 155$0^{\circ}C$로 소결하였다. 각각의 지르콘 소결체는 미세 경도 측정, 결정상 분석, 밀도 측정, 미세구조 관찰을 통하여 특성 평가하였다. 미세경도 값은 140$0^{\circ}C$에서 소결된 지르콘의 가장 높았으며, 밀도는 150$0^{\circ}C$에서 소결된 지르콘이 가장 높으며, 155$0^{\circ}C$에서 소결된 지르콘은 과소결되어 전체적으로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

Electrical Switching Effects in the Sintered $Fe_2O_3$-$Bi_2O_3$ ($Fe_2O_3$-$Bi_2O_3$ 소결체의 전기적 Switching 특성(I))

  • 정환재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16 no.6
    • /
    • pp.11-15
    • /
    • 1979
  • Electrical switching phenomenon was observed in the Fe2O3-Bi2O3 system for the sintering temperature range of 700$^{\circ}$~85$0^{\circ}C$ for DC conductivity measurements of these sinterd materials in the ambient temperature range of 30$^{\circ}$~20$0^{\circ}C$ have shown that the conductivity increases with increasing the sitering temperature and ambient temperature. The formation of the current channel and the experimental evidence of the dependence of switching threshold voltage on the ambient temperature, strongly indicates that the main electrical switching mechanism of sintered Fe2O3-Bi2O3 is thermal effect.

  • PDF

Potashborosilicate glass 첨가에 따른 Fluormica glass-ceramics의 소결특성에 관한 연구

  • 김병일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5 no.2
    • /
    • pp.1-6
    • /
    • 1998
  • B2O3F2를 함유한 Fluormica glass-ceramics 분말과 Potashborosilicate glass 분말을 이용하여 저온소결용 기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제조한 그린시트의 특성 및 소결체의 소결 특 성을 평가하였다. 기판 제조용 슬러리를 제조하기 위해 결정화유리분말에 Potashborosilicate glass 분말을 각각 0. 25, 50wt%를 혼용하였다. Doctor blade법으로 그린시트를 제조한후 그 특성을 평가한 결과 건조수축률은 15.2~30.7% 온도상승에 따른 유기물의 탈지온도는 414$^{\circ}C$(2시간)로 선정하였다. 그린시트는 800~120$0^{\circ}C$사이에서 소성하여 소결특성을 평가하였 다. 소결 수축률은 17.5~18.5% 겉보기 기공률은 16.53~20.07%였다.

Sintering, Crystallization and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a Ceramic Particle Incorporated Glass Powder (세라믹 입자가 혼합된 유리분말의 소결, 결정화 및 고주파 유전특성)

  • 김선영;이경호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59-63
    • /
    • 2002
  • Zinc-Magnesium borosilicate 유리에 CaF$_2$입자를 충진재로 첨가하여 혼합체의 소결거동, 결정화 거동 및 최종 소결체의 마이크로파 유전특성을 측정하였다. CaF$_2$첨가는 유리의 점도를 감소 시켜 결정화 및 수축개시온도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CaF$_2$의 최대 첨가량은 주어진 유리조성에 있어서 15 vol. % 이었다. 이러한 소결성 및 결정화 개시온도의 변화는 모 유리와 CaF$_2$의 반응에 의한 결과로 보여지며 이 반응은 결정상의 변화나 이차상의 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유전율 6.1에 품질계수가 40000GHz 인 CaF$_2$입자를 15 vol.% 첨가시 유전상수는 7.1에서 5.6로 품질계수는 2200에서 5000GHz로 유전특성이 향상되었고 소결온도는 75$0^{\circ}C$이었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gineering Ceramics by Reaction Sintering (액상 반응소결에 의한 세라믹 구조재료의 개발 및 응용)

  • 한인섭;우상국;배강;홍기석;이기성;서두원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42-42
    • /
    • 2000
  • 반응소결 탄화규소는 소결체 내에 잔존 실리콘이 남아 있어 고온강도의 감소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어 고온 구조재료로서의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Si 단독으로 용응침투시키는 대신 Si-MoSi₂를 침투시키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TiC 성형체에 Co, Ni 등의 금속, ZrB₂ 성형체에 Zr 금속 등을 용융, 침투시켜 성능향상을 유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소결에 대한 기본이론과 응용분야, 반응소결 비산화물계 세라믹스의 제조공정 및 이들 소결체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Recyling of Waste Materials for Iron Ore Sintering (제철소내 폐기물의 소결공정에서의 이용기술)

  • 문석민;이대열;정원섭;신형기
    • Resources Recycling
    • /
    • v.3 no.3
    • /
    • pp.12-20
    • /
    • 1994
  • Difficulties lies on using the dust from iron making process as a raw material for sintering process mainly because of high amount of Zn or alkali content and its ultra fine characteristics. To eliminate these toxic influence, new fluxing materials were tested and could get a very successful results. This fluxing materials, Calcium-ferrite of magnesio-ferrite were made from various waste materials such as lime stone sludge, bag filter dust, waste EP dust and dolomite sludge by simple way of pre-sintering. Sintering behavior as a fluxing materials was revealed to be good in any aspects and new concept of total recycling system could be establish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