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셀룰러

Search Result 591,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미래의 셀룰러 이동통신에 대한 시스템 측면에서의 재 조망

  • Hwang, Yeong-Ju;Go, Seung-U;Kim, Seong-Ry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4
    • /
    • pp.70-76
    • /
    • 2013
  • 셀룰러 이동통신은 언제 어디서나 저렴한 가격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간 무선 통신의 링크 성능 향상을 위해서 연구자들의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셀의 크기를 줄여서 단위 면적당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비해서 그 결과는 미미하였다. 그렇지만, 셀의 크기를 줄이는 Small Cell에서 앞으로 얼마나 Cell의 크기가 줄어들어야 할 것인가?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면서, 실제 시스템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Relay에 대한 재 조망을 하고자 한다. 즉, Small Cell과 Relay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서 미래 이동통신의 다양한 설계 목표 (주파수 효율, 에너지 효율, 저 비용)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미래 셀룰러 시스템은 Macro Cell과 Small Cell이 혼재함과 동시에 Relay가 적절히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CRSVP-based QoS Guaranteeing Scheme in Micro Cellular Networks (마이크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CRSVP기반 QoS 보장 기법)

  • 정은영;박상윤;엄영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649-651
    • /
    • 2002
  •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양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트래픽에 대한 QoS가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자원 예약 기법은 유선 네트워크를 위해 설계된 것이므로 무선 이동 네트워크에서의 QoS 보장 문제를 상당부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마이크로 셀들로 구성된 네트워크가 증가함에 따라 빈번한 핸드오프로 인한 전송지연 문제와 이동호스트(MN: Mobile Node)의 위치 이동을 신속하게 제어해야 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마이크로 셀룰러 환경에서는 기존의 Mobile IP와 RSVP 연동기법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해 CRSVP(Cellular RSVP Protocol)라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PDF

The Protocol stack for interconnecting cellular network and heterogeneous networks (셀룰러 망과 이종망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 구조)

  • Han, Jong-Soo;Oh, Young-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c
    • /
    • pp.461-463
    • /
    • 2006
  • 무선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사용영역과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멀티미디어 동화상 등 점차 많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네트리크가 상용화 되어 있다. 그러나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중에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에 한계가 있고, 이종 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성을 제공해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셀룰러 네트워크와 고속의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는 이종 망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대역폭을 많이 할당할 수도 있고, 이동성도 고려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두 망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메커니즘 연구가 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상용화는 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cdma2000 lx EV-DO (Evolution Data Only) 망과 이종 망을 연동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활용한다면 기존의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며 무선 인터넷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며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PDF

Distinguish Attack of block ciphers based on Reversible Cellular Automata (가역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블록 암호에 대한 취약점 분석)

  • Ryu, Han-Seong;Lee, Je-Sang;Lee, Chang-Hoon;Sung, Jae-Chul;Hong, Seok-Hi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59-61
    • /
    • 2008
  • 셀룰러 오토마타(CA:cellular automata)의 특징 중에서 확산(Diffusion)과 국소적인 상호 작용(Local Interaction)은 암호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적합하여 암호 알고리즘, 의사난수 생성기를 비롯한 암호시스템의 설계 논리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04년에 제안된 가역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블록 암호(BCRCA)에 대한 취약점 분석을 소개한다. BCRCA는 224 비트의 안전성을 가져야 하지만, 균일한 키를 이용할 경우 통계적 취약점을 이용하여 191.8 비트의 안전성을 갖는다.

  • PDF

Design of a New $AB^2$ Multiplier over $GF(2^{m})$ using Cellular Automata ($GF(2^{m})$상에서 셀룰러 오토마타를 이용한 새로운$AB^2$ 연산기 설계)

  • 하경주;구교민;김현성;이형목;전준철;유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1.11a
    • /
    • pp.302-30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셀룰러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GF(2$^{m}$ )상에서 A$B^2$ 연산을 m 클럭 사이클만에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연산기를 설계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공개키 암호화 시스템에서의 기본 연산인 유한 필드 상의 모듈러 지수(modular exponetiation) 연산기 설계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오토마타는 간단하고도 규칙적이며, 모듈화 하기 쉽고 계층화 하기 쉬운 구조이므로 VLSI 구현에도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The Brain Region Extraction Using Cellular Automata (셀룰러 오토마타를 이용한 뇌 영역 추출에 관한 연구)

  • 이승용;허창우;류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47-250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the extraction method for brain region using cellular automata from the brain MR image. In the first removing the background from the brain MR image, and then extracting the brain region by applying the cellular automata rule obtained from histogram analysis information. The results on som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SNR is 42.11(dB) on image quality and also the correlation factor is estimated 98.46%.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auto-diagnostics system.

  • PDF

The Design of Micro Mobility Protocol in Cellular IP With Virtual Machine (Cellular IP에서 가상 머신을 이용한 마이크로 이동성 관리 방안 설계)

  • 이호준;박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214-216
    • /
    • 2001
  • 인터넷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실시간 서비스의 요구가 증대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품질이 높아짐에 따라 기존의 한정된 무선 자원은 부족하게 되었다. 이에 여러 가지 이동성 관리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셀룰러 IP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이동성 관리를 위해 가상 대신을 이용한 이동성 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의 셀룰러 IP에서 구현한 Semisoft 핸드오프는 Crossover 베이스 스테이션을 통한 핸드오프 알고리즘으로 디자인 되어있다. 빠른 핸드오프를 위해 기존의 Semisoft 핸드오프 알고리즘을 확장하여 Semisoft 지연을 최소화하도륵 셀룰러 IP 프로토콜을 확장한다. 이 논문에서 Semisoft 핸드오프 알고리즘과 이를 위한 네트웍 구조를 설계한다. 이는 가상머신을 적용된 FA(Foreign Agent)인 VFA(Virtual Foreign Agent)를 통해 구현한다. 또한 VFA를 바탕으로 Semisoft 지연을 최소화하여 QoS의 보장을 해결한다.

  • PDF

Capacity of Resource Sharing Schemes for Forward Link in Hierachical CDMA Cellular Systems (계층적 CDMA 셀룰러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에 대한 자원 공유 방식의 용량 분석)

  • 이상문;이영용;최형균;최형진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6A
    • /
    • pp.903-91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 CDMA 셀룰러 시스템에서 여러 가지 자원 공유 방식들 중 주파수 공유 방식과 주파수 분할 방식의 용량을 순방향 링크에 대해 분석 비교하였다. 용량 분석은 마이크로셀 반경 및 마이크로셀 클러스터의 위치 및 매크로셀에 대한 마이크로셀의 전력 비를 고려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각각의 자원 공유 방식들에 대해 이러한 영향들을 분석하였고, 일반적인 설계 접근방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원공유방식들의 성능을 용량평면도를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계층적 구조를 가진 CDMA 셀룰러 시스템에서 스펙트럼 공유 방식을 적용할 경우 순방향 링크의 용량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셀 클러스터가 매크로셀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배치하고, 마이크로셀의 반경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Cerebro-region Extraction Using Cellular Automata (셀룰러 오토마타를 이용한 뇌 영역 추출에 관한 연구)

  • 이승용;허창우;류광렬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7
    • /
    • pp.1551-1555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the extraction method for cerebro-region using cellular automata from the cerebrum MR images. The cerebro-region extracted from applying the cellular automata rules obtained from histogram distribution analysis after removing the background image from the cerebro-region by determining the critical value.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PSNR is 42㏈ on the image quality and the correlation factor is estimated 98%. And the result can be used as the medical auto-diagnostics system of cerebrum.

Image Sharpening based on Cellular Automata with the Local Transition Rule (국소 천이규칙을 갖는 셀룰러 오토마타를 이용한 영상 첨예화)

  • Lee, Seok-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502-504
    • /
    • 2010
  • We propose novel transition rule of cellular automata for image enhancement and sharpening algorithm using it. Transition rule present sequential and parallel behavior. it also satisfy Lyapunov function. This image sharpening was developed and experimented by using a dynamic feature of convergence to fixed points. We can obtain efficiently sharpened image by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 at the gradual parts of difference of brightness without imag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