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셀룰라

검색결과 421건 처리시간 0.041초

이차원 셀룰라 오토마타에 기반하는 해쉬 함수 (A hash function based on 2D cellular automata)

  • 김재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99-30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이차원 셀룰라 오토마타를 제안하고 제안된 이차원 셀룰라 오토마타에 기초한 해쉬 함수를 제안하고 제안된 해쉬 함수의 통계적 검증 결과를 밝힌다.

  • PDF

셀룰라시스템에서 D2D 효용 극대화: 분산적 알고리즘 (D2D Utility Maximization in the Cellular System: Distributed Algorithm)

  • 오창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89-9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D2D 단말이 셀룰라 시스템의 상향링크 자원을 재사용하는 환경에서 D2D 단말들의 효용함수 극대화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 셀룰라 단말의 간섭영향을 고려하여 기지국 수신단 총 간섭량을 제한하고, D2D 송신단 전송전력량을 제한한다. D2D 단말들의 효용 극대화를 위해서는 모든 링크간의 채널 정보를 요구하므로, 부분적인 링크 채널 정보만을 필요로 하는 분산적 알고리즘을 제안하도록 한다.

  • PDF

충격반응수열을 이용한 최대길이를 갖는 셀룰라 오토마타의 위상이동차 계산 알고리즘 (Computation Algorithm for the Phase Shifts of Maximum Length Cellular Automata by Using Impulse Response Sequence)

  • 최언숙;김진경;황윤희;김한두;조성진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5-78
    • /
    • 2006
  • GF(2)위에서 최대길이를 갖는 n-셀 90/150 셀룰라 오토마타의 각 셀은 길이가 $2^n-1$인 수열을 생성한다. 이러한 셀룰라 오토마타의 임의의 셀에 대한 출력수열은 다른 셀에 대한 출력수열의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셀룰라 오토마타의 상태전이행렬의 특성다항식에 의한 동차 선형점화식을 만족하는 충격반응수열을 이용하여 셀들의 위상이동차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뇌과학 연구에서 셀룰라 오토마타의 연구 현황 (Research Trend of Cellular Automata in Brain Science Research)

  • 강훈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1-447
    • /
    • 1999
  • 본 논문은 복잡 적응 시스템의 분석 및 모델링을 위해, 인공생명의 기본 패러다임인 셀룰라 오토마타를 선택하여, 무정형의 구조를 가지며 투명한 자료 전파 특성을 갖는 셀룰라 신경 회로망의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우선, 신경 회로망의 불규칙한 구조를 발생학적으로 다루어 무정형의 은닉층을 생성하고, 다윈의 진화론을 적용하여 구조적 진화 및 선택을 통해 최적화된 신경 회로망을 설계하였다. 주변 셀의 상태를 감지하여 자신의 상태를 수정해나가는 방식의 셀룰라 오토마타의 투명한 신호 전파 모델로 자료 및 오차의 역전파에 적용하도록 고안하였고,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을 활용한 오차의역전파 학습 알고리즘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복잡 적응계의 학습 과정을 유도하여 시뮬레이션에서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는 신경 회로망의 XOR 문제와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함수에 대한 근사화 문제를 풀었다.

  • PDF

공간-변형 셀룰라 신경망 기반 연상 메모리 설계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 (A synthesis procedure for associative memories based on space-varying cellular neural networks)

  • 김혜연;박주영;박연묵;이성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472-47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연상 메모리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변형 셀룰라 신경망의 설계 방법론을 제안한다. 셀룰라 신경망에 관한 알려진 결과들과 새로 도출된 이론을 기반으로, 주어진 양극 벡터들을 기대할만한 성능으로 기억할 수 있는 공간-변형 셀룰라 신경망을 얻는 설계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설계 방법론의 주요 부분은 일반화된 고유값 문제(GEVP)와 선형행렬 부등식 문제(LMIP)를 푸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 문제들은 현재 내부점 방법에 의해 효과적으로 풀릴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정당성은 설계 예제를 통해서 증명한다.

  • PDF

셀룰라 오토마타 기반 신경망의 진화 및 행동분석 (Evolution and Behavior Analysis of Neural Networks based on Cellular Automata)

  • 송금범;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4호
    • /
    • pp.453-461
    • /
    • 1999
  • 최근 들어 생물학적 두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인공두뇌의 개발이나 두뇌의 기능을 밝히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셀룰라 오토마타는 간단한 규칙들의 조합으로 복잡한 현상을 표현하는 모델로 복잡한 두뇌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모델로 복잡한 두뇌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모델일 기대된다. 셀룰라 오토마타 상에서 특정한 기능을 갖도록 신경망 모듈들을 진화시킨 후, 이들을 결합하여 인공두뇌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접근방식의 유용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적당한 크기의 셀룰라 오토마타 공간에서 신경망을 만들어내어 이동 로봇의 제어기를 진화방법으로 구성하고자한다. 실험결과 로봇이 벽과 충돌하지 않고 잘 움직일 수 있도록 진화된 제어기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다각적인 분석과정을 통해 진화된 제어기의 구조와 그 작동과정으 밝혀내고자 하였다.

TPSACA를 이용한 완전 해싱 알고리즘 (Perfect Hashing Algorithm Using TPSACA)

  • 김석태;이석기;최언숙;조성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047-1054
    • /
    • 2004
  • 컴퓨터 과학에서의 중요한 문제중의 하나가 '정보를 어떻게 잘 저장하고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가' 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 해싱이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직전자와 하나의 끌개를 갖는 선형 셀룰라 오토마타와 그것의 여원 셀룰라 오토마타의 특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트리구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MRT 개념을 이용한 두 개의 직전자와 하나의 끌개를 갖는 선형 셀룰라 오토마타를 기반으로 하는 완전 해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인공 시각 장치용 그레이 영상처리 칩 설계 (A Design of Gray Image Processing Chip for Artificial Retina)

  • 손홍락;이재철;송재홍;김성원;김형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G
    • /
    • pp.2812-2814
    • /
    • 1999
  • 그레이 영상 입출력이 가능하고, 다양한 영상 크기에 적용 가능한 아날로그 셀룰라 신경회로망을 설계하였다. 아날로그 셀룰라 신경회로망은 실시간 병렬처리가 가능하므로, 영상처리 패턴인식과 같은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하드웨어로 구현된 셀를라 신경회로망은 이진 영상를 출력하고, 단일 칩에 구현할 수 있는 셀의 수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범용의 영상처리에 응용하기에 적합지 않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셀룰라 신경회로망은 영상 입력 크기의 분해능을 향상시켜 그레이 영상 처리가 가능한 칩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셀룰라 신경회로망를 이용한 그레이 영상의 에지추출 시뮬레이션 결과, 선명한 에지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CA 분석기의 오류진단과 오류가 있는 입력수열의 오류탐지 (Fault Diagnosis in the CA Analyzer and Fault Detection of the Input Sequence)

  • 조성진;권민정;임지미;김진경;박영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2129-213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테스트되는 회로에 상관없이 마지막 테스트 압축치가 일정하게 되도록 조직함으로써 오류를 진단한다. 이 방법은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테스트 절차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한다. 그리고 셀룰라 오토마타의 상태전이 행렬의 역행렬을 사용하여 오류가 있는 입력수열의 오류를 탐지한다.

DWT와 셀룰라 오토마타 변환을 이용한 블라인드 워터마킹 비교 (Comparing of Blind Watermarking Method using DWT and CAT)

  • 공휘;신진욱;윤숙;박동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92-10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변환 기법인 셀룰라 오토마타 변환을 이용한 워터마킹 방법과 기존의 DWT를 이용한 방법을 비교한다. 이 두 방법 모두 서로 상반되는 임의의 패턴 정보를 사용하여 워터마크 정보를 영상에 삽입한다. 셀룰라 오토마타 변환은 DWT와 달리 더 많은 정보 즉, 룰 번호, 초기 값, 격자 크기 등 다양한 초기값을 이용하여 기저함수를 생성하여 변환한다. DWT와 셀룰라 오토마타 변환을 이용하여 변환된 영상의 계수를 분석 및 비교한 후 워터마킹 성능을 비교한다. 모의실험에서는 워터마크 정보가 삽입된 영상에 대한 PSNR 및 정규화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원영상과의 가시적인 동일성과 다양한 외부 공격에 대한 강인성을 비교한다. 셀룰라 오토마타 변환을 이용한 워터마킹 방법이 DWT를 이용한 방법보다 JPEG 압축, 미디언 필터, 크기 변환, 잘라내기 및 히스토그램 평활화 등 대부분의 공격에 대하여 강인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