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센서 플랫폼

Search Result 71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Research on Plug&Play support Sensor Interface Platform (Plug&Play 지원 센서 인터페이스 플랫폼에 관한 연구)

  • Moon, Young-Bag;Kim, Nae-Soo;Eun, Se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16
    • /
    • 2011
  • Plug&Play 지원 센서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적용하면 센서모듈의 연결이 자동으로 인식되고 동작하게 된다. Plug&Play 지원 센서 인터페이스 플랫폼은 센서노드, 센서모듈, 센서 디바이스 드라이버 매너저로 구성되고 센서모듈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공 방법에 따라 로컬 인식형과 원격 인식형으로 구분된다. 센서노드와 센서모듈간의 센서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식을 갖는 센서모듈을 범용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정의된다. 본 논문은 Plug&Play 지원 센서 인터페이스 플랫폼구조 및 인식모드에 대해서 기술하고, 센서노드, 센서모듈의 구조와 각 기능에 대해서 기술한다.

Dual-mode wireless sensor platform for mobile terminal (휴대단말 장착용 듀얼모드 무선 센서 플랫폼)

  • Park, Sung-Jin;Lee, Seok;Kim, Hy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199-203
    • /
    • 2007
  • 본 논문은 기존의 단일 서버스와 고정된 특정 지역으로 한정된 센서네트워크 개념에서 탈피하여, 사용자가 휴대가능하여 어디서나 센서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센서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Zigbee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센서 플랫폼(wireless sensor platform) 구조를 제안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무선센서플랫폼은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종류의 물리량 또는 화학성분량을 검출하고 이를 무선통신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자체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듀얼모드가 가능하다. 플랫폼의 구조는 휴대 폰과 접속하여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호간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휴대폰 접속부와, 다른 센서노드나 PC 등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Zigbee 무선통신부, 그리고 센서모듈 접속부로 구성되 며, 각각에 대한 구조를 설명한다. 휴대폰의 자원을 이용하여 센서노드의 휴대성을 극대화한 휴대폰 장 착 센서 노드들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의 제공은 개인 사용자의 센서네트워크 참여를 이끌고 환경 감시네트워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끌어 낼 수 있다.

  • PDF

Mobile web application game using smart phone sensor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한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 게임)

  • Lim, Seongho;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446-1449
    • /
    • 2010
  • 닌텐도 위 출시 이후 가속센서를 활용한 체감형 게임기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닌텐도의 경우 위 리모트에 가속센서를 탑재하여 사용자가 라켓이나 배트를 휘두르는 것과 같은 조작이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폰 또한 가속센서를 내장해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가속센서를 활용해 게임을 개발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플랫폼은 다양하기 때문에 한 플랫폼에서 개발을 완료하였다 하더라도 다른 플랫폼에서 동작하려면 대상 플랫폼에 맞게 프로그램을 재작성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해결책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웹 어플리케이션은 자바스크립트 보안 정책 때문에 파일시스템, 센서 등 로컬 자원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웹 어플리케이션이 센서를 조작하고 파일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PhoneGap, BONDI 등의 솔루션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은 센서를 사용한 웹 게임의 구현을 통해 센서를 이용한 웹 게임 개발 방법을 제시한다.

Design of an Compound Environment Sensing Platform for Sharing Environment Information between Smart Devices (스마트 기기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복합 환경센서 플랫폼 설계)

  • Song, Byoung-chul;Lim, Seung-ok;Seo, Je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543-544
    • /
    • 2014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sign of a compound sensing platform to share environment information with other smart devices such as a gateway, a phone, a pad, etc. The proposed compound sensing platform is designed as a single-board hardware to support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soil temperature and humidity, solar visible radiation, etc. It send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a smart gateway which shares the information with smart phones and pads by Twitter.

  • PDF

A Study on Dynamic Voltage Scaling Mechanism with Real-Time on Sensor Node Platform (센서 노드 플랫폼에서 실시간을 적용한 DVS 기법 연구)

  • Kim, Youngmann;Kim, Taehoon;Tak, S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853-855
    • /
    • 2009
  • 센서 노드를 위한 운영체제는 제한된 시스템 자원 하에서 동작하므로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시스템 레벨의 저전력 기법과 함께 실시간성을 지원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저전력 마이크로프로세서인 ATmega128L 기반의 센서 노드 하드웨어 플랫폼을 설계하고, 센서노드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멀티스레드 기반의 실시간 운영체제인 RT-UNOS를 개발하였다. 제안한 센서 노드 플랫폼의 동작 검증을 위하여 기존의 센서노드용 운영체제인 TinyOS와 MANTIS, cc-EDF와의 성능을 구현한 센서노드 상에서 실험을 진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A Sensor Plug&Play Platform for Smart phone Sensor Accessories (스마트폰 센서 액세서리를 위한 센서 플러그앤플레이 플랫폼)

  • Lee, Yong Man;Yoon, Changseok;Kim, Sohee;Kim, Ki Ryong;Eun, Se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332-335
    • /
    • 2013
  • Recently, it becomes usual that several sensor accessories are attached to the USB port of smart phon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nsor accessory plug@play platform for easing the attachment of it to the usb port in a smart phone. Sensor developers make sensor modules which obey the standard of sensor interface and write the device driver of it using the standard APIs. The sensor application for the smart phone is made using the web app style. The device drivers and sensor web applications are stored in the sensor web server. When a user plugs the sensor module into the usb port, the device driver and sensor web are retrieved automatically from the server and it is played. We believe that our platform activates the development of sensor accessories for smart phones.

  • PDF

Platform Design of Unity Launcher for the IoT Beacon based 3D Position (IoT 비콘기반의 3차원 위치표출 위한 유니티 런처의 플랫폼 설계)

  • Kang, Min-G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4
    • /
    • pp.477-482
    • /
    • 2015
  • In this paper, an android platform with Unity engine was proposed for the effective 3D presentation of IoT sensor's position to IoT(Internet of Things) users. This android platform based home-gateway was designed with the cooperation of 3D unity engine for 3D texture according to MovieTexture simultaneously. As a result, the 3D presentation technology of IoT sensors was described with Unity based 3D modeling. In this proposed smart gateway, the 3D position was presented with the received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nd angle of IoT sensors. This 3D Unity launcher can be used for the 3D position, monitoring, and the life managing of IoT sensors with the beacon and 3 dimensional cube-style after the 3D conversion of 2D.

Design of a Real-time Sensor Node Platfor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Periodic and Aperiodic Tasks (주기 및 비주기 태스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실시간 센서 노드 플랫폼의 설계)

  • Kim, Byoung-Hoon;Jung, Kyung-Hoon;Tak, Sung-Woo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4C no.4
    • /
    • pp.371-382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sensor node platform that efficiently manages periodic and aperiodic tasks. Since existing sensor node platforms available in literature focus on minimizing the usage of memory and power consumptions, they are not capable of supporting the management of tasks that need their real-time execution and fast average response time. We first analyze how to structure periodic or aperiodic task decomposition in the TinyOS-based sensor node platform as regard to guaranteeing the deadlines of ail the periodic tasks and aiming to providing aperiodic tasks with average good response time. Then we present the application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real-time sensor node platform in the sensor node equipped with a low-power 8-bit microcontroller, an IEEE802.15.4 compliant 2.4GHz RF transceiver, and several sensors. Extensive experiments show that our sensor node platform yields efficient performance in terms of three significant, objective goals: deadline miss ratio of periodic tasks, average response time of aperiodic tasks, and processor utilization of periodic and aperiodic tasks.

Genetic Algorithm Calibration Method and PnP Platform for Multimodal Sensor Systems (멀티모달 센서 시스템용 유전자 알고리즘 보정기 및 PnP 플랫폼)

  • Lee, Jea Hack;Kim, Byung-Soo;Park, Hyun-Moon;Kim, Dong-Sun;Kwon, Jin-S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1
    • /
    • pp.69-80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 multimodal sensor platform which supports plug and play (PnP) technology. PnP technology automatically recognizes a connected sensor module and an application program easily controls a sensor. To verify a multimodal platform for PnP technology, we build up a firmware and have the experiment on a sensor system. When a sensor module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a firmware recognizes the sensor module and reads sensor data. As a result, it provides PnP technology to simply plug sensors without any software configuration. Measured sensor raw data suffer from various distortions such as gain, offset, and non-linearity errors. Therefore, we introduce a polynomial calculation to compensate for sensor distortions. To find the optimal coefficients for sensor calibration, we apply a genetic algorithm which reduces the calibration time. It achieves reasonable performance using only a few data points with reducing 97% error in the worst case. The platform supports various protocols for multimodal sensors, i.e., UART, I2C, I2S, SPI, and GPIO.

센서네트워크 하드웨어 플랫폼 및 운영체제 개발 동향

  • 소선섭;은성배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2 no.7 s.254
    • /
    • pp.47-56
    • /
    • 2005
  • 본 기고문에서는 센서네트워크 기술 중에서 하드웨어 플랫폼과 운영체제에 대한 현황을 기술한다. 하드웨어 플랫폼 및 운영체제의 경우 시장 초기진입 단계이므로 연구 개발 중인 플랫폼보다는 상용화된 플랫폼들을 소개하는데 주력한다. 또한, 상용화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ZigBee 통신 성능을 실험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ZigBee의 최대 전송률을 실험하였으며 무선 UM과의 주파수 충돌시의 전송률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칩수준에서의 최대 전송률은 250kbps라고 하나 실제 성능은 이보다 낮은 150kbps를 기록하였다. 무선LAN과의 충돌 시에는 10$\~$20$\%$ 정도의 성공률만을 보이며 실내에서 무선 LAN의 영향을 더욱 많이 받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