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센서 배치

Search Result 519,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Sensor Deployment Simulator for Designing Sensor Fields (센서 필드 설계를 위한 배치 시뮬레이터)

  • Kwon, Oh-Heum;Song, Ha-Jo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3
    • /
    • pp.354-365
    • /
    • 2013
  • Node deployment is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in achieving good quality of service in wireless sensor networ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interactive system that supports user's decision makings in designing sensor fields. The system provides grid-based initial deployment algorithm supporting three types of node deployment pattern, area-fill, path-cover, and barrier-cover deployment pattern. After initial deployment, an iterative refinement algorithm can be applied, which takes care of the irregularity of the deployment area and the heterogeneity of sensors. The proposed system helps users to effectively deploy nodes in the sensor field, analyse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deployment, and perform network simulations. The developed system can be utilized as a part of the development environment of the surveillance sensor network system.

A Sensor Node Deployment Method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Sensor Capabilities (센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소들에 기반한 센서 노드 배치 방법)

  • Kim, Dae-Young;Choi, Hyuck-Jae;Lee, Jong-Eon;Cha, Si-Ho;Kang, Seok-Joong;Cho, Kuk-Hyun;Jo, Min-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10B
    • /
    • pp.894-903
    • /
    • 2008
  • The position of sensors generally affects coverage, communication costs, and resource management of surveillance sensor networks. Thus we are required to place a sensor in the best lo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at terrain and climate factors influencing sensors when sensor nodes are deployed in the real world, such as a mountain area or a downtown area. We therefore require a sensor deployment method for detecting effectively targets of interest in terms of surveillance area coverage in such environment. Thus in this paper, we analyz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sensor deployment, and quantify these factors to use when we deploy sensors. By considering these quantified factors, we propose a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 for deploying sensors in terms of sensing coverage. We also demonstrate the propriety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implementing a sensor deploy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method.

Search-Oriented Deployment Strategies using GI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센서 네트워크 성능 향상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 탐색 지향적 센서배치 기법)

  • Kim, June-Kyoung;O, Nam-Geol;Kim, Jae-Joon;Lee, Young-Moo;Kim, Hoon;Jung, Bang-Chu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4 no.10B
    • /
    • pp.973-980
    • /
    • 2009
  • Many studies which have been done for efficient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include energy savings, key managements and sensor deployments. Sensor deployment probl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fundamental issues among them in that the topic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system cost and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suggest a sensor deployment scheme that reduces the system cost of WSN while satisfying the fundamental system requirements of connectivity between sensor nodes and sensing coverage. Using 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which contains region-dependent information related with connectivity condition, the initial positions of sensors in the procedure simulated annealing (SA) are determined. The GIS information helps in reducing system cost reduction not only at the initial deployment of SA but also at the final deployment of SA which is shown by computer simulations.

An Effecient Sensor Deployment Schem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도로감시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감지 성능 보장 카메라 센서 최적 배치 기법)

  • Choi, Yun-Bum;Kim, Yong-Ho;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178-1180
    • /
    • 2011
  • 무선 센서 네트워크란 센서를 통해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센서간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센서들과 정보를 나눔으로써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며, 최근 기술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센서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다양한 응용 분야가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해져가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카메라 센서 기반 도로 감시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고 있으며, 도로 감시 센서 네트워크의 영역이 점점 대규모화가 되면서 최소의 네트워크 구축 비용으로 센서 네트워크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센서 배치 문제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카메라 센서 기반 도로 상황을 감지하는 네트워크에서 최소의 네트워크 구축비용으로 이벤트 감지에 대한 성능을 보장하는 센서 배치 기법을 고려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센서의 이벤트 전달 및 감지 성능을 만족하는 센서간의 간격을 도출하여서 이를 센서 배치에 적용한다.

A Study on Energy-Efficient Deployment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적 배치에 관한 연구)

  • 문준수;이상학;이승관;정태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10-12
    • /
    • 2004
  • 무선 센서네트워크는 센싱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초소형 센서 노드들이 감지/처리한 데이터를 수집노드로 전송하여 원격의 사용자가 센싱 지역의 상황인지를 가능하게 하는 유비쿼터스 컹퓨팅의 기반 네트워크이다. 전력 사용이 극히 제한된 센서 노드를 이용하여 무선 센서 망을 구성, 유지하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망의 형태와 이에 따른 네트워크 배치 전략을 필요로 한다. 클러스터 기반 네트워크의 형태는 밀집도가 높은 센서네트워크에서 데이터병합을 수행하고 노드간 에너지 소비 균형을 이루기 위한 효과적인 구조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기반의 단일 홉 전송 구조에서 데이터 수집률을 높이고 노드간 에너지 사용의 균형을 이루게 하여 네트워크의 생존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 배치 방법을 제안하였다. 클러스터링 기법에 따른 에너지 소비 모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노드의 적절한 밀집도를 산출하였다. 싱크로부터 멀어질수록, 센서필드의 중앙보다는 외곽에 노드의 배치를 조밀하게 배치하여 네트워크의 생존시간을 늘렸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율적인 네트워크의 배치가 노드간 에너지 소비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네트워크의 생존시간을 늘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New Approach for the Efficient Sensor Deployment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센서 배치 문제의 새로운 접근 방향)

  • Lee, Cheol-Ki;Lee, Seung-Hak;Yoon, Hy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551-554
    • /
    • 2007
  • We propose the new approach for the efficient sensor deployment in sensor networks. In the existing works, they use the approach that guarantee the sensing ability T for any point in the sensor field. However, if the shape of the sensor field is changed or it is composed of the sections that have different importance each other, the previous approach is not efficient. So, in this work, we propose the approach that maximize the average sensing ability and it's necessity.

  • PDF

Thermal Sensor Allocation and Placement Algorithm on FPGA Based Design (FPGA 기반 설계의 온도 센서 최적 배치 알고리즘)

  • Hyeon, Cheol-Hwan;Nam, Hyoung-Wook;Kim, Yong-Ju;Kim, Tae-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292-297
    • /
    • 2008
  • 본 논문은 FPGA 기반 설계에서 주변보다 급격한 온도 변화를 보이는 hotspot들을 탐지하기 위한 열 감지 센서 수를 정하고, 센서의 놓여야 할 배치 장소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열 감지 센서로는 동적으로 설계가 가능한 ring oscillator 센서 기술을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센서의 사용 개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최적의 센서 배치 위치 찾는다. 기존의 연구의 단점은 센서가 감지하는 영역 범위를 적당한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간주하였기에, 실제 원형의 관측 범위를 보이는 센서 감지 영역의 현실을 올바로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잘 알려진 회로 분할(partition) 기법에 의존한 휴리스틱으로 최적의 결과를 보장하지는 못하였다. 이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관측 범위를 원형으로 할 수도 있게 함과 동시에 최적의 해를 보장하는 센서 할당 및 배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제안 알고즘에서는 소위 “Candidate Coloring 기법”을 통해 센서가 놓여야 할 모든 후보 영역을 표시하며, “Candidate Filtering 기법”을 통해 불필요한 후보 영역들을 완전히 삭제하여 탐색 공간을 줄이게 되며 (해의 최적 해는 항상 유지 되도록 하면서), 마지막으로 Branch-and-Bound 알고리즘을 적용해 최적의 센서 할당 및 배치 결과를 찾아내었다.

  • PDF

광학센서 시선벡터에 대한 궤도 변화 영향 해석

  • Im, Jo-Ryeong;Kim, Yong-Bok;Choe, Hong-Taek;Yong, Gi-Ryeok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27.4-27.4
    • /
    • 2010
  • 이 연구는 광학센서의 시선벡터 최적배치와 이에 대한 궤도요소의 영향을 다루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광학센서의 최적 배치 결정에 있어 궤도 요소의 영향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체계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위성에 탑재된 광학 센서들은 지구를 관측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지구 관측 센서를 제외하고는 임무기간 동안 최대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위성 몸체나 지구와 태양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목표 천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광축의 시선 벡터를 배치시켜야 한다. 이 연구는 광학센서의 최적 배치와 위성의 궤도요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광학센서의 최적배치 시선벡터 방향의 결정에 미치는 궤도 요소의 변화 영향성을 해석하였다.

  • PDF

Autonomous Deployment of Mobile Sensor Robots using Potential Field in 3D Environment (3차원 환경에서 포텐셜 필드를 이용한 이동 센서 로봇의 자율배치)

  • Kang, In-Seok;Kim, Young-hwan;Kim, Chan-Myung;Han, Yo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587-590
    • /
    • 2011
  • 고정형 센서노드들로 구성된 기존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센서노드에 이동기능이 추가되면 적절한 움직임을 통해 센싱 영역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센서의 자율배치에 관련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기존 연구에서의 센서 이동은 대부분 2차원에서의 자율배치에 관하여 연구가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에서의 자율배치가 아닌 3차원 공간에서의 센서노드의 자율배치에 대한 알고리즘과 이의 결과를 제시한다.

Node Deployment Algorithm for Uniform Distribution within Area of Interest in Mobile Sensor Networks (이동 센서 네트워크에서 관심영역내의 균일한 분포와 이탈 방지를 위한 노드 배치알고리즘)

  • An, Hyo-Jin;Kim, Yo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55-1258
    • /
    • 2007
  • 이동센서 네트워크에서 관심영역 내로부터 최소의 노드 개수로 중복 없이 최대의 센싱 값을 얻기 위해서는 관심영역 내에 노드를 균일하게 그리고 이탈 없이 배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배치 알고리즘들은 관심영역 내 균일하지 못한 분포와 노드이탈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많은 에너지소모를 야기하는 부적절한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관심영역 내 노드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며 노드 이탈을 최소화하는 배치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관심영역에 대한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노드가 이동하여 배치할 수 있는 방향을 여섯 방향으로 분할하여 각 단일 방향영역 파티션에 따라 배치에 필요한 최소 노드의 개수를 예측한다. 각 방향에 대한 파티션별 노드 집단들은 독립적으로 동시에 배치된다. 본 알고리즘은 중심 루트노드를 기준으로 시작하여 각 여섯 방향에 대하여 노드의 수를 미리 예측하고 배치되기 때문에 노드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균일한 배치뿐만 아니라 배치시간 및 이동거리 단축시킬 수 있는 에너지 효율적인 배치알고리즘의 특성을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