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센서 링

Search Result 3,03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mart Multi-Sensor and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for Agriculture Growth Management (농작물 생육 관리를 위한 스마트 멀티센서 및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 Kim, Youngmin;Kang, Eui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2
    • /
    • pp.138-147
    • /
    • 2017
  • In this paper, we introduce smart multi-sensor and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for manag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produces. This system is able to help to collect the sensor information about the growing environment and to monitor in wired and wireless environments. Existing systems installed each kinds of sensor to gather information. In this case, installation cost was incurred about each sensor and the position of sensor set up manually. Therefore, this paper designed and implemented smart multi-sensor that simplify sensors in order to minimize the cost for installing each sensor. In addition, this system is able to monitor position and data information of smart multi-sensor using RFID communication

Monitoring Sensor Robot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모니터링 센서 로봇 시스템)

  • Choi, Ho-Jin;Pyun, J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12
    • /
    • pp.2330-2336
    • /
    • 2008
  • This paper deals with monitoring sensor robot control system for the applic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 In order to control the direction and speed of robot via remote sensing environment, low power, low weight sensors with ad-hoc networking between robots' sensors have been used. These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robot monitoring system can be used for remote observation and detection of robots in the areas such as factories, power plants and other dangerous areas which are difficult for human access.

The Sampling Interval Adjustment Technique of the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 (대기 오염 감시 시스템에서의 센서 샘플링 주기 조정 기법)

  • Jung, Young Jin;Lee, Yang Koo;Lee, Dong Gyu;Cho, Ku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892-895
    • /
    • 2010
  • 무선 기기의 소형화와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 그리고 센서의 환경 정보 측정 기술 및 센서 네트워크의 확산으로 홍수, 태풍, 지진, 환경 오염, 등 재난의 피해를 줄이고자 재해 방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재해는 특정한 시간에 특정 지점에만 발생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 발생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서는 정상적인 상황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특성은 센서 네트워크 응용에서 센서의 배터리 전력 유지 및 환경 정보 획득 방법을 설계할 때, 주요한 사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센서의 전력소비를 줄이고 대기 오염에 대한 정보를 오염 발생 시간에 따라 적절히 획득하기 위하여, 대기 오염 방지 시스템에서의 센서 샘플링 주기 조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대기 오염의 현재와 가까운 미래의 상태를 기반으로 센서의 샘플링 주기가 변화하는 규칙과 경계, 가중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매 샘플링 주기마다 센서 데이터 값과 이전에 저장된 오염 레벨을 고려하여 다음 샘플링 주기를 갱신한다. 이렇게 변화하는 샘플링 주기로 인해 대기 오염 감지 시스템은 측정 데이터의 정확도와 센서의 배터리 전력 소비의 균현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제안된 샘플링 주기 기법은 다양한 환경 감시 응용에 활용될 수 있다.

An Energy Saving Method using Hierarchical Filtering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 계층적 필터링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 방안)

  • Kim, Jin-S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4
    • /
    • pp.768-774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how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in each sensor and cluster head in order to lengthen the lifetime of sensor network. This study proposes hierarchical filtering for reducing the sensor's energy dissipation. Hierarchical filtering is to divide sensor network by two tiers when filtering it. First tier performs filtering when transmitting the data from cluster member to cluster head, and second tier performs filtering when transmitting the data from cluster head to base station. This should increase the efficiency of filtering and decrease the inaccuracy of the data compared to the methods which enlarge the filter width to do more filtering.

  • PDF

Hybrid Monitoring using Wireless Sensor Nodes of Steel Plate-Girder Railroad Bridges (무선센서노드를 이용한 강판형 철도교량의 하이브리드 모니터링)

  • Hong, Dong-Soo;Park, Jae-Hyung;Kim, Jeong-T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110-11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무선센서노드을 이용하여 강판형 철도교량의 전형적인 손상유형인 거더부의 휨강성 저하와 지점부의 볼트풀림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모니터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첫째, 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가속도 및 임피던스기반 무선센서노드를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둘째, 가속도 및 임피던스 신호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손상모니터링이 가능한 기법들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가속도 및 임피던스기반 무선센서노드를 모형 강판형 철도교에 설치하고, 일련의 손상 시나리오에 따른 하이브리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무선센서노드 및 모니터링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Subway Station based on USN (USN 기반의 지하역사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 Lee, Seok-Cheol;Jeong, Shin-Il;Kim, Chang-So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2 no.11
    • /
    • pp.1629-1639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for supporting comfortable subways based on USN. Our development system includes the sensor field based on integrated sensor, monitoring system for supporting the local and remote monitoring and middle-ware performs the collecting, analyzing, and storing the data. In this paper, we installed the temperature, humidity, micro-dust sensor and water-level sensor for supporting the rail-roads and make up the integrated sensor enables to reuse the analog device from 4~20mA output with connection of wireless sensor device. Middleware includes the modules of collecting, analysis, and storing the data and monitoring system supports the local for administrator and remote monitoring for citizen services based on web. The middleware and monitoring in this paper is comprised of some components can reuse and support the change of application and sensors. Our development system supports the mobility of sensor devices and distributes system.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function supported by middleware will use assessment.

  • PDF

River monitoring using low-cost drone sensors (저가용 드론 센서를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

  • Lee, Geun Sang;Kim, Young Joo;Jung, Kwan Sue;Park, Bomi;Kim, Bo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6-346
    • /
    • 2020
  • 홍수기 효과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광역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 확보가 매우 중요하며, 최근 드론을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하천관리에 필요한 드론 탑재용 센서는 기본적으로 RGB 광학센서를 비롯하여 근적외선(Nir) 및 열적외선 센서가 함께 운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현재 판매되는 드론 카메라를 살펴보면 근적외선과 열적외선 센서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고 광학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고가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천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광학(RGB), 근적외선 그리고 열적외선 센서가 통합된 저가의 탑재체 개발이 시급하고 이를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드론에 쉽게 탑재 가능한 하천 모니터링용 탑재체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천 홍수 및 부유사 모니터링에 활용하였다. 광학센서는 하천의 주요 형상을 확인하는데 이용하였으며, 근적외선 센서는 홍수 및 부유사 탐지에 활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넓은 하천 구역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75% 이상의 중복도를 가지고 촬영하도록 세팅하였으며 영상접합 SW를 활용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하였다. 구축한 근적외선 정사영상으로부터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홍수 및 부유사 영역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홍수기 하천 모니터링 및 치수 업무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저가용 드론 센서는 상용 SW와의 연계가 어렵기 때문에 자동비행 프로그램처럼 해당 위치별 영상 촬영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제원특성을 활용하여 자동비행 SW에서도 일정 이상의 중복도를 확보할 수 있는 비행고도별 촬영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하천 모니터링용 정사영상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고가용 드론 센서와 유사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 PDF

An Efficient Sensor Monitoring Technique based on Adaptive Sampling (적응적 샘플링에 기반한 효율적인 센서 모니터링 기법)

  • Kim, Min-kee;Min, Jun-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286-289
    • /
    • 2009
  • 센서 네트워크 구조에서는 많은 수의 센서 노드들이 지속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으로 전송한다. 각 노드의 샘플링 주기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길목의 네트워크 자원인 대역폭, 계산 비용 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에서는 샘플링 대상의 스트림 데이터 특성에 따른 각 노드의 샘플링 주기에 관련된 새로운 적응적 샘플링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KF(Kalman-Filter) 에 기반을 둔 예측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각 노드는 KF의 예측값과 실측값의 차를 사용하여 허용된 범위 안에서 자동적으로 샘플링 주기를 조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우리는 샘플링 대상의 데이터 특성에 따른 우선순위에 기반 네트워크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Dual Kalman Filter(DKF) 기법과 결합하여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 에너지 소비의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근사 데이터 전송하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줄였다.

An Efficient Adaptive Sampling Technique based on the Kalman Filter for Sensor Monitoring (센서 모니터링을 위한 칼만필터 기반의 효율적인 적응적 샘플링 기법)

  • Kim, Min-Kee;Min, Jun-Ki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7D no.3
    • /
    • pp.185-192
    • /
    • 2010
  • In sensor network environments, each sensor measures the physical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sampling period, and transmits a sensor reading to the base station. Thus, the sample period influences against importance resources such as a network bandwidth, and a battery power.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adaptive sampling technique that adjusts the sampling period of a sensor with respect to the features of sensor readings. The proposed technique predicts a future readings based on KF (Kalman Filter). By using the differences of actual readings and estimated reading, we identify the importance of sensor readings, and then, we adjust the sampling perio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In our experiments,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technique.

Improved Sensor Filtering Method for Sensor Registry System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센서 필터링 기법)

  • Chen, Haotian;Jung, Hyunjun;Lee, Sukhoon;On, Byung-Won;Jeong, Dongw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1
    • /
    • pp.7-14
    • /
    • 2022
  • Sensor Registry System (SRS) has been devised for maintaining semantic interoperability of data on heterogeneous sensor networks. SRS measures the connectability of the mobile device to ambient sensors based on positions and only provides metadata of sensors that may be successfully connected. The step of identifying the ambient sensors which can be successfully connected is called sensor filtering.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ensor filtering is one of the core issues of SRS research. In reality, GPS sometimes shows the wrong position and thus leads to failed sensor filtering.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ew sensor filtering strategy using geographical embedding and neural network-based path prediction. This paper also evaluates the service provision rate with the Monte Carlo approach. The empirical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compensate for position abnormalities and is an effective model for sensor filtering in S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