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Sensor Filtering based on Mobile App Profiles for Enhancing the Processing Performance of Sensor Registry System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처리 성능 개선을 위한 모바일 앱 프로파일 기반 센서 필터링)

  • Jeong, Dongwon;Yoo, Hyunseok;Lee, Suk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273-276
    • /
    • 2015
  • 논문에서는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성능 개성을 위한 센서 필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이질적인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즉시적인 센서 데이터의 의미 해석 및 처리를 위한 시스템이다.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다양한 장점을 제공하지만 여전히 처리 성능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는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불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여과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모바일 앱 프로파일을 이용한다. 제안 방법은 기존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모바일 기기 측에서 센서 필터링 연산을 수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Accuracy Evaluation of Path Prediction for Network Coverage-based Sensor Registry System (네트워크 커버리지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경로 예측 정확성 평가)

  • Jung, Hyunjun;Jeong, Dongwon;Lee, Sukho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242-1243
    • /
    • 2015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Sensor Registry System, SRS)은 이기종 환경에서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의 즉각적 활용 및 끊김 없는 해석을 위해 사용자에게 센서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SRS에서 센서 메타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경로 예측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하지만 네트워크 연결이 지원되지 않거나 신호가 불안정한 경우에 센서 메타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과 경로 예측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비교평가 한다. 또한 통신사별로 경로예측 정확도를 측정한다. 성능 측정의 통계적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험 데이터를 10-묶음 교차검증을 수행한다.

A Study of the Alternative Sensor Registry System Architectures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Jeong, Dong-Won;Doo, Mi-Gyeong;Park, Hy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109-112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아키텍처에 대해 기술한다.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센서에서 수신한 센서 정보를 모바일 기기에서 직접 해석하여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아키텍처는 모바일 기기가 센서 데이터 및 센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서버에 반복적으로 요청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아키텍처는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센서 웹 정보를 활용을 고려하지 않은 아키텍처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성능과 센서 웹 정보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각각의 특징에 대하여 서술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상황에 따라 적합한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Experiment and Evaluation of the App Profile-based Sensor Registry System in a Real-time Environment (앱 프로파일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에 대한 실시간 환경에서의 실험 및 평가)

  • Choi, Hojin;Jeo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857-860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앱 프로파일 기반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실시간 환경에서 실험하고 평가한다. 이기종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에 센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여 센서 데이터 처리의 즉시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불필요한 센서 데이터까지 처리하여 성능 측면에서 개선사항이 요구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앱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한 센서 필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유효한 센서 식별을 위한 센서의 정보를 프로파일 형태로 모바일 기기에 저장 후 사용하여 불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필터링함으로써 전체적인 처리 속도가 개선된다. 기존 연구는 시뮬레이션 평가를 통하여 처리 속도의 향상성을 확인한다. 하지만 실시간 환경을 통한 다양한 상황의 실험이 부족하여, 이 논문에서는 기존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과 앱 프로파일 기반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실시간 환경에 맞춰 구축하고 실험 및 평가한다.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Sensor Registry System based on Sensor Metadata Reusability and Scoping (센서 메타데이터 영역화 및 재사용성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성능 향상 방법)

  • Jeong, Dongwo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6
    • /
    • pp.75-82
    • /
    • 2012
  • The sensor registry system has been proposed to interpret and process semantics of sensor data independently of heterogeneous sensor networks. However, the existing sensor registry system provides the static processing method. In other words, the existing system reduces the overall performance because it executes unnecessary operations and does not consider data scope to be used.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sensor registry system, this paper proposes a performance enhancement model based on sensor metadata reusability and scoping. The proposed model in this paper provides a function that can decide a proper scope of sensor metadata from the sensor registry system. The proposed model improves the overall performance by providing reusability of sensor metadata. This paper also shows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model through the comparative performance evaluation.

  • PDF

A Path Prediction-Based Sensor Registry System for Stable Use of Sensor Information (센서 정보의 안정적인 이용을 위한 경로 예측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 Jeong, Dongwon;Doo, Migyeong
    • Journal of KIISE
    • /
    • v.42 no.2
    • /
    • pp.255-263
    • /
    • 2015
  • The sensor registry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instant use and seamless interpretation of sensor data in a heterogeneous sensor network environment. However, the existing sensor registry system cannot provide information for interpretation of the sensor data in situations in which the network is unstable. This limitation causes several problems such as sensor data loss, inaccuracy of processed results, and low service quality. A method to resolve such problems in the aspect of software is presented herein. In other words, an extended sensor registry system is proposed to enable the stable use of sensor information, even under conditions of unstable network connection, by providing sensor information with a mobile device in advance through the user path predic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s and evaluation are also presented. The extended sensor registry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enhances the stable usability of sensor information as well as improves the quality of sensor-based servic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nsor Registry Data Model for IoT Environment (IoT 환경을 위한 센서 레지스트리 데이터 모델의 설계 및 구현)

  • Lee, Sukhoon;Jeong, Dongwon;Jung, Hyunjun;Baik, Doo-Kw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5
    • /
    • pp.221-230
    • /
    • 2016
  • With emerg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paradigm, the sensor network and sensor platform technologies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exploding amount of sensors. Sensor Registry System (SRS) as a sensor platform is a system that registers and manages sensor metadata for consistent semantic interpretation in heterogeneous sensor networks. However, the SRS is unsuitable for the IoT environmen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sensor registry data model to register and manager sensor information in the IoT environment. We analyze Semantic Sensor Network Ontology (SSNO) for improving the existed SRS, and design metamode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We also build tables in a relational database using the designed metamodel, then implement SRS as a web application. This paper applies the SSNO and sensor ontology examples with translating into the proposed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sensor registry data model. As the evaluation result, the proposed model shows abundant expression of semantics by comparison with existed models.

Extending Sensor Registry System Using Network Coverage Information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이용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확장)

  • Jung, Hyunjun;Jeong, Dongwon;Lee, Sukhoon;Baik, Doo-Kw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4 no.9
    • /
    • pp.425-430
    • /
    • 2015
  • The Sensor Registry System(SRS) provides sensor metadata to a user for instant use and seamless interpretation of sensor data in a heterogeneous sensor network environment. The existing sensor registry system cannot provide sensor metadata in case that the network connection is not available or is unstable. To resolve the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n extension of sensor registry system using network coverage information. The extended system sends a set of sensor metadata to the user by using network coverage open data (mobile vendors, signal strength, communication type). The extended SRS proposed in this paper supports a safer sensor metadata provision than the existing SRS, and it thus improves the quality of application service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Sensor Registry System based on Mobile App Profiles (모바일 앱 프로파일 기반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구현 및 평가)

  • Choi, Hojin;Yoo, Hyunseok;Jeong, Dongwon;Jeon, Keu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945-948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기존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의 처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모바일 앱 프로파일 기반 센서 필터링 기법을 실험하고 평가한다.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은 센서 메타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센서 정보의 의미 처리를 즉시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불필요한 센서 메타데이터까지 처리하여 전체적인 처리 속도를 저하시킨다.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모바일 앱 프로파일 기반 센서 필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모바일 앱 프로파일을 활용하여 센서 데이터의 유효성을 식별 후 모바일 기기에 센서 메타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된 정보를 재사용하여 불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필터링 한다. 불필요한 센서 데이터를 처리 하지 않고, 센서 메타 데이터의 요청 횟수를 줄여 전체적인 센서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킨다. 기존 방법과 제안 방법을 구현 하고 실험하여 제안 방법의 전체적인 처리 속도가 향상됨을 확인한다.

Extending Sensor Registry System Using Network Coverage Information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이용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확장)

  • Jung, Hyunjun;Jeong, Dongwon;Lee, Sukho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323-326
    • /
    • 2015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Sensor Registry System, SRS)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의 즉각적 활용 및 끊김 없는 해석을 위해 사용자에게 센서 정보를 제공한다. 불안정한 네트워크 상황에서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이동 경로 예측기반 SRS가 연구되었다. 하지만 네트워크가 지원되지 않거나 신호가 약한 지역에서는 여전히 센서 정보의 끊임 없는 제공이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정보를 이용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확장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예측한 경로와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대한 오픈 데이터(지역 통신사 정보, 통신 대역폭, 신호 강도, 통신 타입)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불안정한 네트워크 지역에 도착하기 전에 해당 지역의 센서 정보를 추가로 송신한다. 기존의 경로 예측기반 SRS의 센서 정보 송신보다 추가 오버헤드가 발생하지만, 사용자는 끊김 없는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 센서 응용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