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 자멸사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19초

봉독의 세포자멸사를 통한 LNCaP 세포증식 억제 (Bee Venom Inhibits LNCaP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 이홍선;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59-74
    • /
    • 2008
  • 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과 그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억제와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주인 LNCaP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LNCaP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으며, LNCaP에서 봉독이나 멜리틴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 시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LNCaP 세포에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의 성장,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NF-{\kappa}B$의 활성, $NF-{\kappa}B$의 p50 치환 후 $NF-{\kappa}B$의 활성과 LNCaP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LNCaP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고,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ARP, caspase-9, Bax는 유의한 증가를, Bcl-2, p-Akt, MMP 13, XIAP, cXIAP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2. LNCaP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LNCaP 세포에서 $NF-{\kappa}B$ p50를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나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LNCaP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그 기전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은 기존연구와 달리 $NF-{\kappa}B$ p50의 작용기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을 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므로 심화 연구를 요한다.

  • PDF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이 Bcl-2와 $Bcl-_{XL}$ 발현 억제를 통해 유방암 세포의 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Corydalis Tuber Induces Apoptosis in MCF-7 Cells, Via Inhibition of Bcl-2 and $Bcl-_{XL}$ Expression)

  • 박영애;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0-103
    • /
    • 2008
  • 목적 : 본 연구는 현호색의 메탄올 추출물(Corydalis Tuber Extract:CTE)이 인간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의 자멸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로 인간유방암에서 유래된 MCF-7 세포를 처리하였다. CTE의 세포자멸사 유도 효과는 MTT, FACS, TUNEL, DNA laddering and immunoblot assay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은 MCF-7 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CTE로 처리한 MCF-7 세포는 용량에 따라 세포 자멸사 과정이 증가했다. CTE에 노출하였을 때 Bcl-2와 $Bcl-_{XL}$의 발현을 억제하고,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세포질로 cytochrome-c를 방출하며, caspase와 PARP의 절단을 유발하여 세포자멸사가 증가했다.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성분중에서 coptisine이 세포 활성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실험결과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이 유방암의 임상 치료에 있어 가능성 있는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elittin이 NF-${\kappa}$B의 불활성화를 통한 DU-145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 및 세포자멸사 유도에 미치는 영향 (Melittin Inhibits DU -145 Human Refractory Prostate Cancer Cell Growth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 최철훈;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39-48
    • /
    • 2009
  • 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억제를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멜리틴의 NF-${\kappa}$B 활성억제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멜리틴을 처리한 후 DU-145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 사의 관찰에는 DAPI stairung assay를 통한 세포형태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염증관련유전자 발현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와 luciferase assay를 시행하였으며, DU-145에서 멜리틴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 시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DU-145 세포에 멜리틴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의 성장, 세포자멸사의 유발, 염중관련유전자 발현 및 NF-${\kappa}$B의 활성, NF-${\kappa}$B의 p50 치환 후 NF-${\kappa}$B의 활성과 DU-145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U-145 세포에서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DU-145 세포에서 멜리틴을 처리한 후 염증관련유전자 발현 및 NF-${\kappa}$B의 활성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DU-145 세포에서 NF-${\kappa}$B의 p50와 IKK들을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멜리틴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세포활성 및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Methylcholanthrene 유도 섬유육종세포주에서 Doxorubicin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과 자멸사의 변화 (Cytotoxicity and Apoptosi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Doxorubicin in Methylcholanthrene- induced Rat Fibrosarcoma(MCA) Cells)

  • 정진용;왕영필;나석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47-453
    • /
    • 2001
  • 배경: 연부조직 육종의 폐전이의 표준치료법은 폐절제술이지만, 대부분의 폐전이육종은 항암제 투여를 필요로 한다. 항암제 투여는 치료용량에 도달하기전에 발생하는 전신독성으로 인하여 그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다. 연부조직 육종의 항암제로 많이 사용하는 doxorubicin을 폐조직에 직접 투여하면 전신투여시에 비하여 전신독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폐에서 10~25배 높은 doxorubicin 농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농도 doxorubicin의 암세포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불명확하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methylcholanthrene유도 섬유육종세포주(methylcholanthrene-induced rat fibrosarcoma cell line, MCA 세포)를 여러 농도의 doxorubicin에 24시간 노출한 후 세포독성과 자멸사(apoptosis) 유전자(Fas, FasL, Bax, caspase 1, caspase 2, caspase 8, Bcl-2, Bcl-xL, Bcl-xS) 발현을 살펴보았다. 결과: MCA 세포에 대한 doxorubicin(1-100 $\mu$M)의 세포독성은 용량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나, 자멸사의 최고치는 5 $\mu$M의 doxorubicin에서 나타났다. 자멸사와 연관된 유전자의 모든 mRNA는 1 $\mu$M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한 후 doxorubicin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caspase 8은 5 $\mu$M의 doxorubicin에서도 대조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자멸사와 연관된 단백질은 1 $\mu$M의 doxorubicin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낸 후 doxorubicin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Bax와 Bcl-xL 단백질은 모든 용량의 doxorubicin에서 대조군과 같거나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저농도(1-5 $\mu$M)의 doxorubicin에서 자멸사는 MCA세포를 사멸시키는 주된 작용기전이고, 이때에 자멸사와 연관된 유전자 인 Bax, caspase 8, Bcl-xL이 관여되는 것으로 보이며, 그보다 높은 농도의 doxorubicin에서는 자멸사는 억제되지만 MCA 세포에 대한 강력한 세포독성을 보여, 자멸사 이외의 다른 기전이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위샘종과 위샘암종에서의 세포자멸사와 세포증식 (Apoptosis and Cell Proliferation in Gastric Adenoma and Adenocarcinoma)

  • 이동수;강상범;이승우;남순우;유영경;한석원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2호
    • /
    • pp.91-96
    • /
    • 2006
  • 목적: 일반적으로 DNA가 손상된 세포들은 사멸되거나 적절히 손상된 부위를 복구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거나, 손상된 DNA를 가지고 계속 증식하여 결국 암으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세포자멸사와 세포증식의 균형의 변화는 조직 항상성 및 암 발생의 중요한 조절기전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위샘종 또는 위샘암종 조직을 대상으로 세포 사멸 및 세포증식의 정도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시경적으로 절제된 위샘종 41예, 외과 수술로 절제된 위샘암종 100예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Ki-67 labelling 지수를 구하고, TUNEL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자멸사 지수를 구하여 위샘종에서의 이형성 정도에 따른 발현도의 차이 및 위샘암종에서의 조직분류 및 병기에 따른 발현도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결과: Ki-67 labelling 지수는 위샘종 $51.90{\pm}1.45$, 위샘암종 $55.33{\pm}0.94$로서 위샘암종에서 의의 있게 높았다(P<0.05). 세포자멸사 지수는 위샘종 $53.27{\pm}2.67$, 위샘암종 $42.41{\pm}1.32$로서 위샘종에서 의의 있게 높았다(P<0.05). 위샘종에서 이형성에 따른 Ki-67 labelling 지수 및 세포자멸사 지수는 차이가 없었다. 위샘암종에서 Ki-67 labelling 지수 및 세포자멸사 지수는 Lauren 분류법에 의한 장형과 미만형,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 림프절 전이 유무, TNM 분류에 따른 각 군 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샘암종에서의 세포자멸사 지수와 Ki-67 labelling 지수에 대한 연구에서 위샘종은 위샘암종보다 좀 더 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위암발생에서는 세포증식이 중요한 역할을 하나 이 두 지수가 위암의 조직학적 분류 및 병기에 따른 예후와는 관련이 없었다.

  • PDF

인간 백혈병 세포에서 Psuedomonas aeruginosa exotoxin A에 대한 세포독성과 세포자멸사 효과 (The Cytotoxic and Apoptotic Effect of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 on Human Leukemia K-562 Cells)

  • Chang, Jeong-Hyun;Kwon, Heun-Young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8-75
    • /
    • 2007
  • 약 100년 전에 박테리아가 암을 억제한다는 보고를 바탕으로 다양한 미생물이 항암효과를 가지는 백신 개발에 이용되거나 또는 미생물의 세포 밖 독소 단백질을 찾아내고 있다. Psuedomonas aeruginosa exotoxin A(ETA)는 암세포에서 세포성장을 억제하고 세포 죽음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ETA가 세포 자멸사를 유도하는 정확한 기전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포자멸사의 유도를 확인하기 위해 K562 cell을 이용하여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 세포독성, Annexin-V binding assay 그리고 세포주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로 ETA는 K-562세포에서의 세포증식과 성장을 억제하였고, 세포자멸사 기작을 통한 K-562 암세포의 사멸을 일으켰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flow cytometric analysis에서는 ETA가 세포주기 중 특히 sub-G1 기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ETA가 인간 백혈병 K-562 암세포의 세포성장을 억제하고 sub-G1 기를 정지시킴으로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유생기 상피 세포사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Epithelial Apoptosis in the Anuran Tadpole Rana nigromaculata)

  • 이혜원;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81-88
    • /
    • 2010
  • 변태중인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유생의 상피에서 세포자멸사가 초래된 세포를 확인하고 이들의 핵과 세포질에서 나타나는 퇴행과정의 미세구조 변화를 TUNEL 염색법과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꼬리의 퇴화가 진행되는 Shumway 발생단계 31기부터 33기까지의 유생 상피는 다층의 입방형세포로 이루어져 있었고, TUNEL 염색으로 관찰한 결과, 상피 전역에 걸쳐 광범위한 세포자멸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멸사에 의해 초래되는 상피세포의 초기 변형은 먼저 핵에서 관찰되었는데, 염색질이 응축되어 핵막 주변부로 편재되었고 핵의 분절과 세포질의 응축, 그리고 세포막의 변형이 뒤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서 세포질의 분절에 의해 자멸소체가 형성되었는데 막으로 둘러싸인 소체 내부에서는 비교적 잘 보존된 형태의 세포소기관들이 관찰되었다. 자멸사가 초래된 세포들은 상피내 대식세포(intraepithelial macrophage)로 추정되는 인접 세포들에 의해 탐식되어 잔여소체를 형성하였으며, 급속한 퇴화과정을 거쳐 층판구조를 지닌 소포의 형태로 변형된 후 세포질에서 소멸됨이 확인되었다.

ATP-Induced Apoptosis of Human Luteinized Granulosa Cells: a Role of Mitochondria

  • 김미란;박동욱;김영아;조태섭;황경주;민철기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
    • pp.32-36
    • /
    • 2001
  • 난소의 재형성 과정은 난소 내 여러 조절인자들에 의해 조절되는 성장 및 퇴행 과정을 반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황체는 주기적 성장과 퇴행을 보이며 과립세포의 세포자멸사 (apoptosis)를 통해 황체의 퇴행이 일어나게 된다지. 이러한 세포자멸사 과정은 난소의 정상 생리에 매우 중요하다. ATP 는 자율신경으로부터 세포외 유출을 통해 분비되어 근육 수축, 신경전달체계, 외분비 및 내분비 호르몬의 분비, 면역반응, 염증, 혈소판 응집, 동통 및 심장기능의 조절 등 매우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작용은 세포 표변에 존재하는 purinoceptor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TP는 일반적으로 세포 내에서는 에너지원으로서 작용하나 세포외부에 존재하는 ATP의 경우에는 조절물질로 작용하여 어떤 세포에 있어서는 세포용해를 일으키기도 하며, 어떤 세포에서는 세포자멸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세포 내에 존재하는 ATP는 세포의 주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살아있는 세포에서는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반면 세포 외에 존재하는 ATP는 말초신경계 혹은 중추신경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고 있다. (중략)

  • PDF

U2OS 골육종 세포주의 세포자멸사에서 MMP억제제와 Doxorubicin 작용의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f MMP Inhibitors' and Doxorubicin's Effects on the Apoptosis of U2OS Osteosarcoma Cell Line)

  • 문정석;염범우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8-95
    • /
    • 2007
  • 목적: wild-type p53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 U2OS 인간 골육종 세포주의 세포자멸사에서 MMP억제제와 doxorubicin의 작용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배양한U2OS 세포주에 Doxorubicin, MMP억제제(MMPI III)를 따로 투여한 것과 두 약물을 동시에 투여한 것을 비교하였다. 또한 Doxorubicin의 작용이 Fas/FasL 경로를 통해 유발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Fas 중화항체를 doxorubicin과 함께 투여하였다. 약물을 처리하여 배양한 세포에서 발생한 세포자멸사와 세포괴사를 확인하기 위해서 유세포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Doxorubicin을 처리한 세포가 처리하지 않은 세포보다 약물 농도에서 더 많은 세포괴사(p=0.000)를 보였다. 이에 반해 MMPI III를 처리한 세포는 약물 농도와 반응시간에 따른 세포자멸사 및 세포괴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약물을 동시에 투여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세포 자멸사 및 세포괴사에서 차이가 없었다. Doxorubicin에 Fas 중화항체를 추가한 군과 doxorubicin 단독 투여 군 사이에 세포자멸사 및 세포괴사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론: Doxorubicin과 같이 MMP 억제제를 골육종 치료에 사용하려면 wild-type p53 뿐만 아니라 wild-type p14를 가지고 있는 골육종 세포에 대한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T-26 대장암 세포에서 Dominant Negative ATM 유전자에 의하여 유도되는 세포자멸사의 경로 (Apoptotic Pathway Induced by Dominant Negative ATM Gene in CT-26 Colon Cancer Cells)

  • 이정창;이호근;김선영;이대열;황평한;박진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7호
    • /
    • pp.679-686
    • /
    • 2003
  • 목 적 : AT는 드물게 발생하는 상염색체성 열성질환으로, 소뇌의 퇴화에 의한 운동장애와, 암 발생의 소인이 증가하는 등 많은 임상적 징후가 보인다. AT 질환을 유발하는 ATM 유전자는 DNA 손상시 세포주기 정지를 유도시키지 못하며, 방사선 조사 후 세포 생존력을 유지시키지 못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암세포에 DN-ATM 유전자를 발현시켜 AT 세포의 표현형으로 변화시킨다면, 이러한 암세포는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멸사가 훨씬 더 증가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ATM 세포에서 방사선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자멸사 경로는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DN-ATM이 발현되는 CT-26 대장암 세포를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 후에 유도되는 세포자 멸사 경로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DN-ATM 아데노바이러스(Ad/DN-ATM)와 표식 유전자 GFP만을 함유한 대조 아데노바이러스(Ad/GFP)를 제작하여 CT-26 세포에 감염시켰다. DN-ATM이 발현되는 CT-26세포에서 방사선 조사로 유도되는 세포자멸사 경로는 [$^3H$]-thymidine assay, DNA fragmentation, 및 Western immunoblot analysis으로 실험하였다. 결 과 : 실험 결과에서 방사선 조사 후 세포의 성장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CT-26 대장암 세포가 AT 환자에서 보여지는 표현형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었다. 방사선 조사 후 시간이 지날수록 Bcl-2의 발현이 감소되고, Bax의 발현이 증가하며, caspase 9, caspase 3 및 PARP가 활성화되었다. 결 론: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DN-ATM이 발현되고 있는 CT-26 세포에서 방사선 조사 후 야기되는 세포자멸사 경로는 미토콘드리아를 통하여 caspase 9, caspase 3와 PARP의 활성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자멸사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