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

Search Result 26,640,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Bee Venom Inhibits PC-3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Bee Venom이 NF-${\kappa}B$의 불활성화에 의한 세포자멸사를 통해 PC-3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 Oh, Hyun-Ju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7 no.3
    • /
    • pp.1-13
    • /
    • 2010
  • 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과 그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억제와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PC-3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으며, PC-3에서 봉독이나 멜리틴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하여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PC-3 세포에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의 성장,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NF-${\kappa}B$의 활성, NF-${\kappa}B$의 p50, $IKK{\alpha}$, $IKK{\beta}$ 치환 후 NF-${\kappa}B$의 활성과 PC-3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3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고,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ARP, caspase-3, -9는 유의한 증가를, Bcl-2, XIAP, cXIAP2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2. PC-3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은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PC-3 세포에서 NF-${\kappa}B$의 p50, $IKK{\alpha}$, $IKK{\beta}$를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NF-${\kappa}B$의 활성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나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natomical Observ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in Oenanthe javanica ($B^{L}.$) DC. (미나리 체세포 배발생과정의 해부학적 관찰)

  • Gab Cheon KOH;Chang Soon AHN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2 no.6
    • /
    • pp.323-327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origin and developmental pattern of somatic embryos of Oenanthe javanica ($B^{L}.$) DC. The experiment included observation of embryogenic cells and their development stages by light microscop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embryogenic cells, which were smaller than non-embryogenic cells in size with expanded nucleus and dense cytoplasm. When stained with hematoxylin, the embryogenic cells were readily distinguished from the non-embryogenic cells of which cell walls were stained with safranin. It was observed at somatic embryos developed from single cells on the epidermis of developing embryos or in the surface or inside of embryogenic clumps by segmentation pattern. Observation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vealed that the embryogenic cells had dense cytoplasm expanded nucleus, small vacuoles, large amyloplasts containing starch grains, and abundant organelles including lipid bodies.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mbryogenic callus was shown to consist of very smaller cells than non-embryogenic cells in an orderly arrangement and covered with a net-like structure, while the non-embryogenic callus consisted of large cells, irregular in size and arrangement, and covered with a gelatin-like material.

  • PDF

New Isolation Technique and Culture System for Clinical Applications of Human Amniotic Epithelial Stem Cells (인간태반양막유래 상피줄기세포의 임상적용을 위한 새로운 세포분리 및 배양 기술)

  • Woo, Sang-Kyu;Jo, Jung-Yoon;Shin, Il-Seob;Kang, Sung-Keun;Ra, Jeong-Chan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13 no.4
    • /
    • pp.271-280
    • /
    • 2009
  • Human placenta is abundant source of adult stem cells. Especially, amniotic epithelial cells have stem cell characteristics, expressing surface markers normally present on embryonic stem cells and germ cells. However, culturing and expanding amniotic epithelial cells in vitro without feeder cells are difficult due to endogenous characteristics of epithelial cells. In the present study, amniotic epithelial cells are isolated and proliferated in several passages by applying dithiothreitol and a Rho-associated kinase inhibitor in culture media. The cultured amniotic epithelial cells showed the epithelial and stem cell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human placenta-derived amniotic epithelial stem cells can be a major source of stem cells for medical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without any controversial issues.

  • PDF

Ultrastructure on the Integumentary Epidermis of the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Teleostei: Pleuronectidae)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피부상피층의 미세구조)

  • Kim, Jae-Won;Chin, Pyung;Jin, Young-Guk;Lee, Jung-Sick
    • Applied Microscopy
    • /
    • v.32 no.2
    • /
    • pp.121-129
    • /
    • 2002
  • The structure of integumentary epidermis is studied in the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based on the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pidermal layer consists of supporting cells, unicellular glands and accessory cells. The supporting cells were classified into superficial cell, intermediated cell and basal cell. Superficial cell of epidermal layer is squamous or cuboidal and the surface is covered with numerous microridges. The supporting cells are connected to another cell with membrane interdigitations and desmosmes. And tonofilaments are developed in the cortical cytoplasm. Gland cells are classified into mucous cell and club cell. By the histochemical studies of the epidermal secretions the mucous materials are identified as neutral polysaccharides. Club cell has numerous vacuoles and microfilaments in the cytoplasm. Also chloride cells are observed in the epidermis, it cytoplasm is occupied numerous mitochondria.

Immunocytochemical Study of the Nerve Growth Factor Receptor in the Nucleus Basalis of Meynert of the Growth Receptorn in the Nucleus Basalis of Meynert of the Postnatal Rat BASAL Forebrain (출생후 발생에 따른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 긴저칙에서의 신경성장인자 수용체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 Jeong, Yeong-Hwa;Hong, Yeong-Ho;Sin, Bo-Cheol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6 no.4
    • /
    • pp.562-579
    • /
    • 1993
  • 출생후 발생에 따른 흰쥐 전뇌 기저부의 Mevnert 기저핵(nucleus basalis of Mevnert)에서 신경성장인자 수용체(nerve growth factor receptor, NGFr)를 함유하는 신경세포의 면역반응성 및 분포, 세포형의 분류, 각 형별 출현율 및 세포 크기 그리고 세포소기관과 NGFr 면역반응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출생후 초기 발생에서 세포질 뿐만 아니라 원형질 막에서도 면역반응을 보였으나, 성체에서는 세포질에서만이 면역반응을 보였다.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는 형태학적 특징인 세포체의 모양과 장·단축의 비를 기준으로 5가지 형, 즉 1) 원형, 2) 난형, 3) 세장형. 4) 방추형, 5) 삼각형(또는 다각형)세포로 구분되었다 원형과 난형 세포는 출생후 0일에서 각각 15.4%. 50.7%의 높은 출현율을 보였으나, 발생이 진행되면서 점차 감소하여 성체에서 각각 7.8%, 28.6%의 출현율을 보였다 반면, 세장형, 방추형 및 삼각형세포는 출생후 0일에서 각각 22%, 2.6% 9.2%의 낮은 출현율을 보였으나, 발생이 진행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성체에서는 각각 29 9%, 5.2%, 28.5%의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출생후 0일에서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매우 작았으나(1,642mm3), 발생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14일, 21일에서는 성체에서보다 매우 컸다(각각 6.745, 6,755mm3) 원형 및 난형세포체의 부피는 21일에서(각각 7 955. 7.020mm3), 세장형 방추형 그리고 삼각형세포체의 부피는 14일에서 제일 컸다(각각 7,067, 6,237, 7,748 mm3) 대체적으로 삼각형세포체의 부피가 제일 컸으며, 방추형세포체의 부피가 제일 작았다. 출생후 순일에서의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세포소기관중 조면소포체, Golgi체, multivesicular body 그리고 세포표면 원형질막이 강한 NGFr 면역반응을 보였다. 위의 결과들로 미루어 MGFr은 출생후 흰쥐 전뇌 기저부 Meynert 기저핵 신경세포의 분화 및 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Ultrastructural and Histochemical Studies on the Epithelial Cell of Korean Terrestrial Slug (Incilaria frubstorferi) (한국산 육생 민달팽이(Incilaria fruhstorferi)의 표피상피세포에 관한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적 연구)

  • 장남섭;임연숙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2 no.2
    • /
    • pp.93-106
    • /
    • 1989
  • The species of the slug used in this experiment is the Korean terrestrial slug (Incilaria fruhstorferi), which is examined for the cy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research on the mucous granule-producing cells and the epithelial cells. I. Epidermal tissue According to the part of the epidermal tissue of this slug, the epidermal tissue is divided into the mantle, the foot and the dorsal epidermis. These epidennal tissue are composed of the irregular simple columnar epithelium, which are formed into the sensory epithelial cells, the supporting epithelial cells, the mucous granule-producing cells, and the clear epithelial cells are similar to the sensory epithelial cells. Both the sensory epithelial cells and the supporting epithelial cells are observed between the mantle and the foot epidermis, but the clear epithelial cells are only seen in the dorsal epidermis. II.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 acid mucous granule-producing cells and the neutral mucous granule producing cells are observed between the irregular simple columnar epithelium of the mantle, the foot and the dorsal epidermis. According to the part of the epidermal tissue, the number of these mucous granule-producing epithelial cells are differently distributed between the epidermis respectively.

  • PDF

Integumentary Ultrastructure of the Blenny, Pholis nebulosa (Teleostei: Pholidae) (베도라치 (Pholis nebulosa) 피부계의 미세구조)

  • LEE Jung Sick;An Cheul Min;HUH Sung-Hoi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3 no.2
    • /
    • pp.148-152
    • /
    • 2000
  •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integumentary system of the blenny, Pholis nebulosa, ultrastructures of epidermal and dermal layer were examined by means of the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skin of the blenny consisted of epidermal and dermal layer. Epidermal layer consisted of supporting cell and unicellular gland. The supporting cells were classified into superficial cell, intermediated cell and basal cell, and the gland cells were classified into mucous secretory cell and club cell. The cytoplasm of supporting cells was divided into cortex and medullar part. In the cortex and medullar part, microfilaments and cell organelles were well developed, respectively. Superficial cell of epidermal layer was cuboidal and contained nucleus of horseshoe shape. Intermediated cell had a nucleus of irregular form and the electron density was higher than the other supporting cells, Basal cell was columnar, but nucleus was situated in the upper cytoplasm. Cell organelles of the basal cell were poor than the other supporting cells, but membrane interdigitations were well developed. The cytoplasm of mucous secretory cell had a well-developed ovoid secretory granules, which reacted to red with AB-PAS reaction. The club cell had a we31-developed round secretory granules and endoplasmic reticulum. figment cell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 The one contained pigment granules of electron dense, and the other contained reflecting platelets. The cytoplasm of fibrocyte had n well develope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 PDF

The role of nitric oxide as an effector of macrophage-mediated cytotoxicity against Trichomonas vaginalis (질편모충에 대한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에 있어서 NO의 역할)

  • Park, Geon-Chae;Ryu, Jae-Suk;Min, Deuk-Ye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5 no.3
    • /
    • pp.189-19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nitric oxide is involved in the extracellular killing of Trichomoncs uasinalis by mouse (BALB/c) peritoneal macrophages and RAW264.7 cells activated with LPS or rIFN-γ and also to observe the effects of various chemicals which affect the production of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 (RNl) in the cytotoxicity against T. vnginnlis. The cytotoxicity was measured by counting the release of (3H)-thymidine from labelled protozoa and NOa was assayed by Griess reaction. Nemonomethyl-L-arginine (L-NMHA), Nenitro-L-arginine methyl ester (NAME) and arginase inhibited cytotoxicity to T. vaginnlis and nitrite production by activated mouse perioneal macrophagrs and RAW 264.7 cells. The addition of excess L-arginine competitively restored trichomonacidal activity of macrophages. Exogenous addition of FeSO4 inhibited cytotoxicity to T. vaginaLis and nitric products of macrophages. From above results, it is assumed that nitric oxid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host defense mechanism of macrophages against T ucfinalis.

  • PDF

Effect of aging on expression of nitric oxide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노화가 사람 치은섬유아세포의 nitric oxide와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에 끼치는 영향)

  • Ji, Suk;Kook, Jung-Ki;Park, Joo-Cheol;Kim, Heung-Joong;Jang, Hyun-Seon;Kim, Chong-Kwan;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2
    • /
    • pp.361-373
    • /
    • 2006
  • 치주질환의 진행이 나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으나 노화에 따른 치주조직 세포의 기능적인 변화에 관한 사실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노화에 따른 세포의 노화가 치주질환의 진행에 어떠한 여향을 끼치는가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염증 상태에서 nitric oxide (NO)는 조직 파괴에 관여하는 인자로 작용하여 치주질환의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람의 치은에서 배양된 치은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의 노화에 따른 NO와 이의 합성효소인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의 발현을 알아봄으로써 세포의 노화가 치주질환의 진행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10세의 환자와 55세의 환자에서 각각 채취한 치은에서 배양된 세포와 10세의 환자에서 채취한 세포를 계속적인 계대배양을 통해 얻은 실험실 상 노화된 세포를 포함하여 총 3 종류의 치은섬유세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Hot phenol-water extraction을 통해 추출된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 33277 lipopolysaccharide (LPS)와 재조합 $IFN-{\gamma}$ 를 세포에 적용시켜 Griess assay를 통해 조건화된 배지에서 NO를 측정하였다. 20세와 55세의 환자에서 채취된 치은 조직과 총 3 종류의 배양된 세포에 NOS-II 항체를 적용시켜 iNOS 단백질 발현을 관찰하였다. Total RNA를 추출하여 RT-PCR를 통해 iNOS mRNA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치은섬유아세포에서 NO는 자발적으로 발생되었고, 이러한 발현은 젊은 세포보다 노화된 세포에서 강하였다. P, gingivalis LPS와 제조합 $IFN-{\gamma}$는 치은섬유아세포에서 NO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이러한 발현은 젊은 세포보다 노화된 세포에서 강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 iNOS 단백질은 젊은 사람과 노화된 사람의 치은 조직 모두에서 치은섬유아세포와 상피의 기저층 세포와 염증세포에서 발현되었으나 노화에 따른 발현의 차이를 구별할 수는 없었다. 세포의 면역염색에서 iNOS 단백질은 노화된 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이러한 발현은 LPS와 $IFN-{\gamma}$ 에 의해 강화되었다. LPS와 $INF-{\gamma}$ 의 조건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iNOS mRNA는 젊은 세포에서보다 노화된 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세포의 노화가 NO와 iNOS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서 치주질환의 진행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Metabolic Brain Disease : Leukodystrophy (대사성 뇌 질환)

  • 김인원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1999.04a
    • /
    • pp.99-108
    • /
    • 1999
  • 선천성 대사 이상은 다양한 뇌질환으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 질환들은 하나 또는 둘이상의 대사경로에 대한 생화학적 이상에 원인이 있다. 정상적 생화학적 산물의 결핍이나 비정상적 산물의 축적에 의한 뇌기능 이상에 의해 임상증상이 나타내게 되는데 그 증상은 대개 경기, 경직성, 발육지연 등으로 비특이적이고 영상소견도 마찬가지로 비특이적이다. 대사 이상에 있어서의 신경병변은 일부 뇌백질을 주로 침범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뇌백질을 침범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일차성 뇌백질 질환이 대사성 뇌질환을 일컫는다고 할 수가 있다. 뇌백질 질환은 뇌백질의 구성원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수초(myelin)를 침범하는 질환을 일컫는다. 중추신경계의 백질은 수초로 싸여있는 축삭(axon)과 선경교세포 (neuroglial cell) 및 혈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대부분을 수초가 차지하고 이 수초로 인하여 정상 뇌백질이 흰색을 나타낸다. 백질내의 신경교세포로는 성상세포 (astrocyte) 와 핍지세포 (oligodendrocyte)가 있으며 신 경교세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핍지세포에 의한 축삭의 외피화 (ensheathment) 즉, 수초이다. 수초는 핍지세포의 세포질 돌기 (cytoplasmic process)의 일부이며 따라서 수초의 생존과 대사는 핍지세포와 운명을 같이한다. 일반적으로 세포의 생존, 대사와 가장 관련있는 기능은 세포질내에 함유되어 있는 구조물인 소기관(organelle)에 의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비록 모든 소기관들이 백질 질환을 이르키는데 직접 연관되어 있지는 않더라도 수초의 생존과 대사에는 핍지세포의 소기관들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세포질내 중요한 소기관으로는 세포 막, 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endoplasmic reticulum, Golgi 체, lysosome, peroxisome 그리고 세포질등이 있으며, 이들중에서 lysosomes, peroxisomes,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특정한 유전성 백질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질환들은 최소한 각 소기관에 의한 질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