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증식

검색결과 2,361건 처리시간 0.031초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림프아구양 B 세포주(BL2M3)의 autocrine 증식 (Autocrine Growth of Bovine Leukemia Virus Infected-Lymphoblastoid B-Cell Line, BL2M3)

  • 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89-798
    • /
    • 1995
  •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 세포주(BL2M3 및 BL312)의 배양상층액에 대한 자기세포들의 증식반응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자기세포인 BL2M3세포에 첨가했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현저한 증식을 유도하였다. 이것은 배양 4-5일차, 배양상층액의 첨가농도는 50-60%,세포수는 5x$10^4$-5x$10^{5}$ /ml에서 최적의 증식반응을 보였다. 우태아혈청(FBS) 무첨가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에 대해서도 BL2M3세포는 동일한 증식반응을 보였다. 한편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BL312세포에 첨가했을 때는 BL2M3세포의 경우에 비해 현저하지 않았다. 또한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은 말초혈액 림프구에 대해서도 pokeweed mitogen(PWM)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증식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PWM자극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배양상층액은 BL2M3 및 BL312세포에 대해서 전혀 증식을 유도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세포주 특히 BL2M3세포는 세포자신이 증식인자를 분비하고 그것과 반응하여 증식하는 소위 autocrine growth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콜라젠 기질(COLLAGEN MATRIX)과 마모된 치아표면에서의 치수세포 배양에 관한 연구 (Culturing the Human Dental Pulp cells in the Collagen Matrix and on the ground tooth surface)

  • 박상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5호
    • /
    • pp.419-424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원래의 치수조직과 유사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pulp tissue engineering의 한 방법으로 건전한 조직으로부터 배양된 치수세포와 쥐의 조섬유세포(NIH 3T3 cell)를 Rat tail type I collagen solution에서 3차원적으로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콜라젠 젤의 수축량과 세포의 증식 량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마모된 사람치아의 표면과 배양용기에서 두 세포의 증식 량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콜라젠 젤에 NIH 3T3 세포를 배양한 경우 그 수축량은 최소였으나, 치수세포를 배양한 경우 그 수축량은 현저하였다. 2. 서로 다른 수의 치수세포를 콜라젠 젤에서 배양시킨 경우 세포 수가 많을수록 수축량이 증가하였으며, 세포가 없는 콜라젠 젤은 수축하지 않았다. 3. 치수세포를 콜라젠 젤에서 18일간 배양시킨 후 세포의 증식은 거의 없는 반면, NIH 3T3 세포는 계속 증식하였다. 4. 마모된 사람 치아 표면과 배양 용기에서 치수세포와 NIH 3T3세포를 배양한 경우 NIH 3T3세포가 치수세포에 비해 빠르게 증식 하였으며 , 특히 사람 치아의 표면에서 NIH 3T3세포가 현저히 빠른 증식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치수세포를 type I collagen gel에서 3차원 적으로 배양 후 치수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는 pulp tissue engineering에 관한 연구에 발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isphenol A, Nonylphenol, Pentachlorophenol이 MCF-7 및 PC-3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sphenol A, Nonylphenol, Pentachlorophenol on the Proliferation of MCF-1 and PC-3 Cells)

  • 이수민;최형기;유경희
    • KSBB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424-428
    • /
    • 2003
  • 내분비계장애물질인 bisphenol A, nonylphenol, pentachlorophenol을 대상으로 여성 유방암세포 유래 MCF-7 세포주와 남성 전립선암세포 유래 PC-3 세포주에서 세포 증식효과를 MTT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MCF-7 세포주에 이들 세 종류의 내분비계장애물질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모두 세포증식을 촉진하는 결과를 보였다. $10^{-7}$ M에서 $10^{-6}$ M 농도 범위에서 MCF-7 세포의 최대증식효과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PC-3 세포주의 경우에는 세포증식에 bisphenol A, nonylphenol, pentachlorophenol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 세 종류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이 남성 전립선세포 유래인 PC-3 세포주의 증식에는 관여하지 않고 여성 유방암 세포에서 유래하고 에스트로젠 반응성인 MCF-7 세포주에만 증식효과를 갖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bisphenol A, nonylphenol, pentachlorophenol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료 중 크릴 분말이 살모넬라 LPS로 자극한 브로일러의 비장세포와 PBMC 증식에 미치는 영향

  • 임진택;박인경;김재환;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94-95
    • /
    • 2002
  • 본 연구는 사료 중 크릴밀이 브로일러의 비장세포와 PBMC의 증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주령 비장세포 증식도는 사료 중 크릴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나, LPS주입으로 감소하였다. 콘카나발린 A(Con A) 첨가는 급여사료나 LPS 자극에 관계없이 증식도를 증가시켰다. 21일령 브로일러 비장세포의 증식도는 사료 중 크릴의 함량에 따라 높아졌다. LPS 스트레스로부터 회복중인 브로일러 비장세포의 증식도는 낮았다. 21일령에 PBMC의 증식도는 사료 중 크릴의 영향이 없었으나, LPS 자극에서 회복중인 브로일러의 증식도는 높아졌다. Con A 첨가는 급여사료나 LPS 자극에 관계없이 PBMC의 증식도를 높였다. 본 성적은 사료 중 크릴밀 첨가가 브로일러 비장세포 및 PBMC 증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유청 단백질에서 유도되는 생리활성 펩타이드에 관한 연구

  • 윤승섭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1996년도 추계 제43회 유가공 심포지움
    • /
    • pp.18-29
    • /
    • 1996
  • 1. CWPC중의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의 검색 Mouse 임파세포의 증식효과를 지표로 하는 면역기능을 검토하여 CWPC중의 면역 부활작용을 갖는 새로운 성분의 검색을 실시하였다. CWPC를 여러 가지 분획법으로 분획하여 mouse 임파세포의 증식효과를 지표로 면역 활성성분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gel filtration, 음이온교환법을 사용하여 분획한 당을 다량 포함한 부분에 강한 면역부활담당세포에 대하여 증식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발견하였다. 이 물질은 SDS-PAGE상에서 분자량이 약 16kDa에 위치하여 Ca, P 및 당쇄를 포함한 물질이며, 이것을 GPP로 하였다. GPP에는 우유케이신의 trypsin분해물이며 Ca와 무기인을 풍부하게 포함하는 ${\beta}$-CPP와 유사한 phosphoserin 영역을 갖는 성분과 갖지 않는 성분의 2종류가 존재하며, 각각의 면역 부활활성이 인정되었다. 각 성분의 아미노산 분석, 당 분석의 결과에서 지금까지 보고된 우유중의 면역 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을 갖는 물질과는 상이한 성분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이 활성물질 (GPP)은 PP cell에서도 동등한 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CWPC중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면역 부활물질이 존재하며, 그 성분에는 CPP와 유사한 phophoserine 영역이 존재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N-글리코실 결합의 당쇄가 존재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이 성분은 전신면역의 지표인 비장세포에 대해서만이 아니고, 장관면역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PP cell에서도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전신 및 국부적인 면역기능의 부활성분으로서 응용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2. GPP의 면역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의 메카니즘의 검토 CWPC중의 GPP의 면역담당세포증식활성의 메카니즘을 해명하기 위해 먼저 이 성분중의 어느 부분이 활성에 관여하는지를 pronase 분해 및 phophoserine 영역을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pronase 분해처리에서도 활성의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활성에는 당이 필수 불가결하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또한 phosphoserine 영역을 인식하는 항체에 의해서도 활성은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phosphoserine 영역이 세포증식활성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분획한 면역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 성분의 표적면역담당세포를 동정하여, B세포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증식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도파민의 위암세포증식에서의 역할 (Roles of Dopamine in Proliferation of Gastric-Cancer Cells)

  • 정희준;박기호;채현동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3호
    • /
    • pp.132-138
    • /
    • 2006
  • 목적: 도파민은 중추신경전달물질이지만 위장관에서 도파민수용체와 결합하여 점막상피세포 증식, 상피세포의 보호, 위암 세포증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에서 기원한 세포주를 이용하여 도파민과 각각의 도파민 수용체가 위암 세포 증식과 억제에 작용하는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위암세포기원에서 각각 유래한 세포주인 SNU601과 KCU-C2를 이용하여 RNA 추출 후 RT-PCR 시행 후 도파민수용체 D1, D2L과 D2S 각각에 대한 primer로 PCR을 시행하여 수용체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도파민과 Dl 수용체의 대항제인 SCH 23390과 D2 수용체 대항제인 raclopride를 사용하여 약물처리에 따른 위암세포주에서 세포 증식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결과: KCU-C2 세포주에서 D1과 D2L과 D2S 유전자 mRNA의 상대적인 발현정도는 모두 높은 발현을 보였지만, SNU 601 세포주에는 mRNA의 발현이 모두 낮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D2L mRNA는 발현되고 있지 않았다. 약물처리에 따른 위암세포주에서 세포증식에 대한 분석에서는 D1과 D2S 수용체를 통한 도파민의 신호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고 D2L 수용체를 통한 도파민의 신호는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파민이 위암의 세포증식과 억제에 관여하며, 도파민의 이러한 효과는 도파민의 신호가 어느 수용체를 통해 전달되었느냐에 따라 위암세포의 증식과 억제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열수 추출물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aricus blazei Murill Water Extract on Immune Response in BALB/c Mice)

  • 강인순;김랑이;김광섭;김나리;신중엽;김채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29-16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신령버섯의 면역기능 개선 효과를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모델에서 면역기관의 무게와 세포증식, 자연살해세포 활성,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측정하고 대식세포 증식과 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BALB/c 마우스에 저(4 mg/kg), 중(20 mg/kg), 고(100 mg/kg) 농도의 신령버섯을 21일간 경구로 투여하였다. 마우스를 희생하여 체중 및 면역장기 무게, 비장세포의 증식과 사이토카인 생성,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령버섯은 마우스의 체중, 간, 비장, 흉선의 무게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비장세포의 증식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또한 비장세포의 IL-4과 IL-12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마우스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한 in vitro 실험에서는 신령버섯 $5{\sim}100{\mu}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비장세포의 증식과 $IFN-{\gamma}$ 생성을 증가시켰다. 신령버섯은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을 $100{\mu}g/mL$ 농도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대식세포에 의한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신령버섯을 마우스에 3주간 투여하면 동물의 체중, 면역장기의 무게와 면역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70% 가량 증가시키며 IL-4와 IL-12의 생성을 억제한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하면 세포증식과 $IFN-{\gamma}$ 분비가 증가되고,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과 NO 생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신령버섯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죽이는 자연살해세포와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반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Salmonella typhimurium lipid A를 처리한 식세포 존재 조건에서 mitogen에 유도되는 이자 세포의 증식억제 (Lipid A of Salmonella typhimurium Suppressed T-cell Mitogen-Induced Proliferation of Murine spleen Cells in the Presence of Macrophage)

  • 강경숙;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38
    • /
    • 2007
  • 사람의 장티푸스 연구는 생쥐에 감염되는 Salmonella typhimurium를 모델로 연구되고 있으며, 생쥐에 있어서 S. typhimurium의 감염은 이자세포의 증식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 typhimurium lipid A의 처리가 T세포 mitogen에 의한 이자 세포의 증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 가를 in vitro와 ex vivo조건에서 알아 보았다. Lipid A 단독 처리는 이자 세포의 증식을 보였으나, lipid A 처리 후 T 세포 mitogen인 concanavalin A (Con A)와 phytohemagglutinin (PHA)에 의한 in vitro와 ex vivo 조건에서의 이차 처리는 오히려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 Lipid A를 주사한 생쥐로부터 분리한 이자 세포에서 대식세포를 제거하였을 조건에서는 T 세포 mitogen에 의한 증식 효과가 유지되었으나 대식세포를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T세포 mitogen에 의한 증식 효과가 억제되었다. Lipid A를 주사한 생쥐에서 얻은 대식세포를 포함한 이자세포의 숫자를 증가하면서 Lipid A를 주사하지 않은 생쥐에서 얻은 이자세포와 혼합 배양하였을 때 Lipid A를 주사한 생쥐에서 얻은 대식세포를 포함한 이자세포의 숫자가 높을수록 Con A와 PHA에 의한 증식억제가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on A와 PHA의 이자세포 증식 기능이 lipid A의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직접적인 접촉 작용으로 억제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억제에 관여하는 대식세포 표면분자를 밝히는 것이 사람의 장티푸스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증식속도와 단일클론 항체의 생산 (The Effect of Hybridoma Growth Rate on the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 최태부;조보연
    • KSBB Journal
    • /
    • 제4권1호
    • /
    • pp.31-33
    • /
    • 1989
  • 하이브리도마의 회분식 배양에서 세포증식 속도가 기질의 소비 속도나 단일클론 항체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의 증식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다음 3가지를 이용하여다. 1)배양액내 혈청의 농도를 낮추는 방법, 2) 배양온도를 낮추는 방법, 3)세포증식 억제제를 첨가하는 방법, 실험결과에 따르면 위의 세가지 방법에 의해 세포증식 속도가 20~50% 감소하는 동안 기질의 소비속도와 암모니아의 생성 속도는 40%까지 감소하였다. 반면에 단일클론 항체의 최종농도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증식이 저해되지 않았을 경우데 비해 10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결과는 하이브리도마 배양에서 단일크론 항체 생산의 증가에 유용한 방법으로 이용 될 수 있다.

  • PDF

사람세포의 노화와 불사화 ((Ageing and lifespan of human somatic cells))

  • 김진경
    • 한국동물학회:뉴스레터
    • /
    • 제18권1호
    • /
    • pp.10-15
    • /
    • 2001
  • 사람의 체세포가 분열수명에 한계가 있다는 것은 1960년대 초기에 보고되었으며 이것은 artifact가 아니며 세포자신이 가지는 프로그램에 의한 것임이 보고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 안에 체세포가 실지로 증식을 정지하는 시기, 모든 세포노화의 타이밍이 어떻게 설정되는가\ulcorner 에 대해서는 아직 알 수 없다. 한편 노화세포가 왜 증식할 수 없는가\ulcorner 에 대해서는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유전자에 관한 최근의 연구에 의해 상당부분 밝혀졌다. 또한 분열회수를 인식하는 분열시계의 진행은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여 증식을 정지시킨다. 분열시계를 정지시킨 세포는 기본적으로 무한히 분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열시계를 정지시키는 주역은 telomerase이다. 정상 세포에서는 생식소(生殖巢)에 존재한다. 대부분의 정상체세포, 세포조직에는 없으나 대부분의 암에서 존재한다. 본 논단에서는 전반부에 노화를 후반부에 암에 관해서 분자세포생물학 차원에서 최근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