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이동

검색결과 1,181건 처리시간 0.025초

포유동물 난자-난구 복합체의 Metabolic cooperativity (Studies on the Metabolic Cooperativity between Ooccte and Cumulus Cells in Mammalian Oocyte Cumulus Complexes in vitro)

  • 고선근;나철호;권혁방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1-86
    • /
    • 1988
  • 생쥐혹은 돼지의 난자-난구 복합체를 인공배양하면서 뇌하수체호르몬 혹은 세포내 cAMP의 농도를 높이는 시약을 사용하여 난자의 성숙과 난구세포의 분산을 조절하고 이 때 두 세토들 사이에 상호협력(metabolic cooperativity)관계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조사하여 보았다. 생귀와 돼지의 난구세포들은 뇌하수체호르몬이나 cAMP의 증가에 의해 분산이 유도됨과 동시에 배양액 내에서 있는 uridine의 흡수가 크게 촉진되었다. (대조군의 약 4배). 그러나 난구세포에 흡수된 uridine이 난자로 전달되는 물질이동율(transfer ratio)은 대조군과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cAMP의 영향도 거의 받지 않았다. 또한 물질이동율의 감소는 난구세포의 부산여부나 난자의 성숙(핵붕괴)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단지 생쥐의 경우 호르몬에 의해 물질이동율의 감소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우를 볼수 있었다. 따라서 물질이동율의 변화가 난구세포의 분산이나 난자의 성숙과 직접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여지며 두 세포들 사이의 metabolic cooperativity가 난자의 성숙조절에 중요한 요인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 PDF

노랑초파리의 난자형성에 따른 난실 내의 단백질 합성에 대한 자기방사적 연구 (Autoradiographic Studies on the Protein Synthesis in the egg chamber during Oogenesis of Drosophila melanogaster)

  • 박성순;이양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5-152
    • /
    • 1995
  • 노랑초파리의 난실에서의 단백질 합성을 난자형성과정의 단계별로 자기방사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단백질은 영양세포에서 난자형성 초기에 미약한 정도로 함성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가장 활발하게 합성되는 세포는 여포세포이다. 난모세포와 영양세포에서는 단백질이 거의 합성되지 않고 있다. 여포세포에서 합성된 단백질은 Stage 10 이후의 단계에서만 난모세포로 이동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난모세포에 괸만하게 분포된 은입자는 난자 형성을 위한 다양한 목적을 위해 여포세포로 부터 이입된 단백질로 짐작된다. 특히 난황립의 형성에 여포세포의 단백질이 최소한도 부분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3,3'-Diindolylmethane (DIM)이 인체 전립선암 세포의 부착, 이동 및 침윤성에 미치는 영향 (3,3'-Diindolylmethane (DIM) decrease adhesion, migration and invasion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 김현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6
    • /
    • 2015
  • 본 연구는 3,3'-diindolylmethane(DIM)이 인간전립선암 세포인 PC3 세포와 DU145 세포의 부착, 이동, 침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DIM은 PC3와 DU145 세포의 부착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24시간동안 DIM으로 PC3 세포를 전 처리한 후 부착실험을 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암세포가 부착 시 DIM의 암세포 부착 억제가 전처리에 의한 부착 억제보다 효과적이었다. DIM은 인간 전립선암세포의 이동과 침윤도 억제하였으며 24시간 동안 PC3 세포를 DIM으로 전처리를 했을 때도 침윤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DIM의 억제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 PC3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가 DU145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보다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DIM은 $150{\mu}M$ 까지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 DIM은 세포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인간 전립선암 세포인 PC3와 DU145 세포의 부착, 이동,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전립선암 전이 억제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흰깨 추출물과 β-Sitosterol이 H1299 폐암세포의 성장, 이동, 부착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hite Sesame Seed Extract and β-Sitosterol on Growth, Migration, and Adhesion of H1299 Human Lung Cancer Cells)

  • 이중재;김서윤;주지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279-128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흰깨의 에탄올 추출물이 폐암세포의 성장, 이동, 부착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인체유래 폐암 세포주인 H1299 세포를 이용하여 in vitro 수준에서 조사하고, 이러한 흰깨 추출물의 효과를 흰깨의 주요 활성 성분 중 하나인 ${\beta}-sitosterol$의 효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흰깨 추출물 ($150{\sim}600{\mu}g/mL$)과 ${\beta}-sitosterol$ ($3.125{\sim}25{\mu}M$)은 H1299 세포의 성장을 각각 대조구 대비 51.5~82.6%와 27.5~49.0%로 억제하는 농도 의존적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흰깨 추출물과 ${\beta}-sitosterol$의 세포 성장 억제 활성은 부분적으로 apoptosis 유도 활성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흰깨 추출물($150{\sim}600{\mu}g/mL$)은 H1299 세포의 이동과 부착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beta}-sitosterol$$3.125{\sim}25{\mu}M$ 농도에서 세포 이동을 대조구 대비 80.8~86.2%로, $6.25{\sim}25{\mu}M$ 농도에서 세포 부착을 대조구 대비 21.5~37.4%로 각각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H1299 폐암세포의 성장, 이동, 부착 등을 억제하는 데에는 흰깨의 추출물보다는 단일성분인 ${\beta}-sitosterol$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in vivo 수준에서 재현되는지 여부를 검증하고 관련 기전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랑초파리 난자 형성과정 동안의 경계세포의 분화 (Differentiation of Border Cells During Oogenesis in Drosophila melanogaster)

  • 계명찬;조경상;이정주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45-52
    • /
    • 1998
  • 강화인자 검출법을 이용 X염색체에 P[1ArB]이 형질전환되어 극세포 및 경게세포에서 표시유전자 lacZ를 발현하는 노랑초파리 (EDL 149)를 이용하여 난자형성과정 동안의 경계새포의 분화 및 이동을 조사하였다. 경계세포는 9기 난포의 선단에 위치한 난포 세포로부터 분화하여 9기와 10기에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난소내 \beta -galactosidase의 활성은 우화 후 처음 4일간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시기는 난포 내에서 경계세포가 분화하는 시기와 일치하였다. EDL149의 P[1ArB]삽입의 동형접합체의 난포 내에서 일부 경계세포의 불완전한 이동 또는 지연이 관찰되었다. 감수분열을 진행중인 정소내 세포 및 더듬이에서 확인된 lacZ 유전자의 발현양상은 P[1ArB]의 삽입부위가 난소특이 유전자부위가 아니지만 경계세포 이동의 조절에 역할을 하는 유전자임을 암시한다. 이 형질전환초파리 및 삽입위치 부근의 유전자는 발생중 진행되는 세포이동의 연구에 좋은 모델로 생각된다.

  • PDF

U-251-MG 세포에서 PSA 경로에 작용하는 Hepatocyte Growth Factor의 효과 (Effects of Hepatocyte Growth Factor on the PSA Signaling Pathway of U-251-MG Cells)

  • 김환규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25-43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U-251-MG 세포를 이용하여 증식, 이동, 침윤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분비에 미치는 PSA와 HGF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PSA siRNA에 의해 U-251-MG 세포의 증식은 약 37%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 (10 ng/mL)에 의해 증식이 약 1.4배 증가되었다. PSA siRNA에 의한 U-251-MG 세포의 이동은 약 60%가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에 의해 이동이 약 1.3배 증가되었다. 또한, PSA siRNA에 의해 U-251-MG 세포의 침윤이 약 67%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에 의해 세포의 침윤이 약 4.3배 증가되었다. PSA siRNA처리에 의해 MMP-2의 분비는 약 25%, MMP-9의 분비는 약 20% 억제되었으며, HGF에 의해 PSA siRNA에 의해 억제된 MMP-2 및 MMP-9의 분비가 약 2.8배 및 3.5배 증가되었다. HGF 처리에 의해 플라스민의 분비량은 약 14배 증가되었고, PSA를 억제한 U-251-MG 세포에 HGF를 처리한 결과, 플라스민의 분비가 약 1.6배 증가하였다. 또한, PSA siRNA에 의해 MMP-2의 발현은 유의할만한 변화가 없었으나, MMP-9의 발현은 약 85% 억제되었다. PSA를 억제시킨 U-251-MG 세포에 HGF를 처리한 결과, MMP-2의 발현은 약 5.7배, MMP-9의 발현은 약 6.3배 증가되었다. 한편, MMPs의 광범위 억제제인 BB-94 처리에 의해 U-251-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이 유의할만하게 억제 된 것은 MMP-2 및 MMP-9이 U-251-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에 관여할 것임을 시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