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성 면역

Search Result 1,48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mmunomodulating Effects of Red Ginseng on the Regulation of Cytokine Release in vivo (홍삼의 생체 내 사이토카인 분비에 대한 면역조절효과)

  • Sohn, Eun-Hwa;Yoon, Jae Woong;Koo, Hyun Jung;Park, Dae Won;Jeong, Yong Joon;NamKoong, Seung;Han, Hyo-Sang;Kang, Se Cha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5 no.5
    • /
    • pp.578-585
    • /
    • 2012
  • Cytokines released from innate immune cells play key roles in the regulation of the immune response. Red Ginseng (RG, steamed and dried root of Panax ginseng C.A. Meyer) is known to show different pharmacological effects by changed composition of saponins compared with Panax Ginseng.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RG on the regulation of cytokine release in mice. RG was injected i.p at doses of 0.5, 5 and 50 mg/kg for 6 weeks. We assessed that the weight index of immune organs such as thymus, and spleen, and the mitogen blastogenesis of splenocytes. We also determined the levels of circulating cytokines in serum from RG-treated mice using ELISA assay. The weight index of thymus and spleen, and proliferation of mitogen response of splenocytes have increased in the RG-injected groups. In addition, the levels of IFN-${\gamma}$, TNF-${\alpha}$, IL-6, IL-12 and IL-2 concentration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erum of RG-treated mice, but that of IL-10 has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RG has immune stimulating effects and could be useful as a immunoregulator of circulating cytokine release in vivo.

Identification of Calretinin-immunoreactive AII Amacrine Cells in the Brazilian Opossum (Monodelphis domestica) (브라질산 주머니쥐(Monodelphis domestica) 망막 내에서의 calretinin 면역반응성을 가지는 AII 무축삭세포의 동정)

  • Jeong, Se-Jin;Jeon, Chang-Ji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9 no.2
    • /
    • pp.271-27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unoreactivity of calretinin in Brazilian opossum (Monodelphis domestica) retina. Calcium-binding protein calretinin is known to play a key role in calcium-mediated signal transduction. Methods: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by standard immunocytochemical techniques on retina of the Brazilian opossum. Results: Calretinin-immunoreactivity was exhibited within the horizontal subpopulations, AII amacrine and ganglion cell subpopulations in the Brazilian opossum retina. Especially, all calretinin-immunoreactive AII amacrine cells also expressed parvalbumin. Conclusions: Similar to other mammalian retinas, calretinin-immunoreactivity was also observed within the AII amacrine cells in the Brazilian opossum retina. Thus, calretinin can be a marker of AII amacrine cells in the Brazilian opossum retina.

Respiratory Viral Infection and Bronchial Asthma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과 기관지 천식)

  • Hwang, Young-Sil;Lee, Jong-Deo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9 no.1
    • /
    • pp.18-29
    • /
    • 2000
  •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은 모든 연령층의 천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데 영아에서 RSV는 천명을 야기하고 대부분 일시적이나 재발성 일수도 있다. 어릴 때 바이러스 감염은 면역체계 형성에 영향를 미쳐 알러지와 천식의 위험을 완하할 수있다고 한다. 또한 소아와 성인 천식에서 RV같은 감기 바이러스는 천식의 급성 증상을 유발한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이, 기관지로 부터 바이러스 제거 기능외에 기도수축과 호흡기 증상에 관여한다고 한다.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는 기전은 호흡기 바이러스가 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과 매개체 생성을 유도하는 능력과 연관성이 있는 것 같고 이들이 상하기도 호흡기 증상 및 기도반응 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을 요약하면 바이러스 감염으로 상피세포, 내피세포, 과립백혈구가 활성화되며, 상피세포는 사이토카인, 키모카인, 매개체들을 분비하여 항 면역 반응를 주도하다. 이와 같은 상피세포와 다른 기관지 세포들의 조기 활성화로 내피 세포에 유착분자 표현을 증가시켜 백혈구 동원 증가 및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켜 부종과 분비물을 증가시킨다.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유발 사이토카인에 의해 활성화된 과립 백혈구, 대식세포, T세포들도 기도염증 증가, 기도폐쇄를 야기하고 기도반응을 증가시킨다. 세포독성 임파구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세포의 분해, TGF-$\beta$ IL-10 같은 사이토카인에 의해 부분적으로 염증억제, 기도 remoldeling에 의한 기도구조의 재생등이 바이러스 감염후 기관지 기능의 지속적 변화를 결정한다. 끝으로 천식환자에서 RV 감염의 병인에 관한 기본적 문제는 RV감염이 정상인에서는 경한 증상을 나타내는 데 천식환자에서는 왜 심한 임상증상을 나타내는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항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이 천식환자에서 손상되었는지 또는 천식환자에서 RV감염에 의한 중증의 임상증상은 어떤 다른 세포가 관여하는지? 이들에 대한 답은 기도염증이 천식에서 어떻게 조절되는지 또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악화된 증상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줄 것이다.

  • PDF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onoclonal Antibody for Human Serum Albumin (사람 혈청 알부민에 대한 단서포군 항체의 제조와 특성 연구)

  • 태건식;안혜진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243-244
    • /
    • 2000
  • Serum albumin은 혈청 단백질 중 50-60%를 차지한다. 알부민은 순환계 내에서 삼투압을 유지시켜 세포내외의 체액을 유지 및 지용성 물질치 이동에 관여한다. 신사구체와 기저막의 투과성이 증가하거나 세뇨관의 흡수감소 등으로 단백질의 요배설량이 하루에 150mmg 이상되는 단백뇨는 신장내의 병변이 있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러한 단백뇨는 크게 사구체성 단백뇨, 세뇨관성 단백뇨, 혼합성 단백뇨로 나눌수 있는데 이중 사구체 기저막의 손상으로 발생되는 사구체성 단백뇨는 알부민과 같은 고분자량의 단백질이 소변 내로 배설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알부민이 정상치 이상으로 소변을 통하여 배설되는 것을 'microalbuminuria'라고 하며 당뇨병으로 인한 신장병변을 예견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알려져 있다. Microalbuminuria는 방사 면역확산법, 방사성 면역측정법, 면역혼탁측정법, 비탁측정법, 효소결합면역측정법(ELISA) 등으로 검출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안전하면서도 민감도가 높고 측정이 용이한 방법인 ELISA를 이용한 면역분석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면역특이성이 떨어지는 다세포군 항체를 사용한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세포융합기술을 이용한 단세포군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를 개발하였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세포융합기술을 도입하여 개발된 인간 혈청 알부민에 대한 단세포군항체는 glycohemoglobin에 대한 단세포군항체와 더불어 당뇨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키트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The effect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lipopolysaccharide on rat periodontal tissues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가 백서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

  • Kim, Chong-Cheol;Cui, De-Zhe;Kim, Young-Jo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7 no.sup2
    • /
    • pp.297-310
    • /
    • 2007
  • 치조골 흡수는 파골세포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에 의한 골의 무기질과 유기질의 파괴로 일어나는 과정이다. 세균성 산물, 주로 내독소는 치은조직 내에서 염증세포의 유주, 사이토카인 생산, 조직파괴 효소 분비 및 파골세포 활성 등의 국소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A. actinomycetemcomitans는 급진성 치주염의 원인 균주중 하나로 그 내독소는 치조골의 흡수와 관련된다. MMP-13은 세균성 산물이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자극에 의해 분비되며,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MMP-13이 치주질환의 진행과 골 흡수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나,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와 MMP-13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에 의한 MMP-13의 발현과 파골세포 형성을 세포배양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백서 구개부 치은에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를 주입하여 흡수가 진행되고 있는 치조골에서 파골세포의 분화와 MMP-13의 발현을 TRAP 염색, 면역조직화학적 방법 등을 통해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MP-13 mPNA의 발현은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 (1ug/ml)로 24시간 자극한 마우스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서 생리식염수로 자극한 세포에 비하여 약 2.6배 증가하였으며 마우스 대식세포에서는 TRAP 양성 세포가 대조군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를 주입한 백서 치주조직에서는 대조군보다 더 심한 골소실을 보였다. TRAP-양성 다핵 파골세포 유사세포는 치주염군과 대조군 모두 치조골에서 관찰되었다. TRAP-양성 다핵 파골세포 유사세포는 치주염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숫자가 관찰되었으며, 치주염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숫자가 관찰되었다. MMP-13 면역양성 반응은 치주염군에서 거친 골연을 갖는 치조골상에 배열된 조골세포와 그 인접한 치주인대에서 관찰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MMP-13 면역 양성 반응이 치조골 표면에서만 일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속가 MMP-13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파골세포의 활성을 통하여 치조골의 흡수를 유도함을 시사한다. 또한 A. actinomycetemcomitans 내독소 투여에 의한 실험적 모델은 백서에서 중등도의 골 소실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모델로 향후 치주질환 치료제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Cordyceps militaris in Immunocompromised Mice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에탄올 추출물의 면역억제 마우스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 Kim, Hye-Ju;Lee, Tae-Ho;Kwon, Yong-Sam;Son, Mi-Won;Kim, Chae-K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1 no.4
    • /
    • pp.494-500
    • /
    • 2012
  • In order to determine the functional benefits of $Cordyceps$ $militaris$ in the immune system, we examined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ordyceps$ $militaris$ in an immunocompromised C57BL/6 mice model. Mice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an immunosuppressive drug, cyclophosphamide, and then administered orally with 3%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or 30, 100, and 300 mg/kg of 50% ethanol extract of $Cordyceps$ $militaris$ (CM 30, CM 100, and CM 300, respectively) for 12 days. Mice treated with CM displayed significantly increased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compared to immunosuppressed control mice (p<0.05). The spleen cells isolated from mice treated with CM also displayed increased production of Th1 cytokines, including IL-2, IL-12, IFN-${\gamma}$ and TNF-${\alpha}$, suggesting enhanced cellular immunity in response to CM. However, C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duction of IL-4 and IL-1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rdyceps$ $militaris$ enhances immune function by promoting immune cell proliferation and Th1 cytokine production.

The Effects of New Nonspecific Immunostimulators in Pig (면역기능 증강성 신물질에 대한 돼지에서의 면역 증강성 실험)

  • Jung Ji-Youn;Ahn Nam-Shik;Park Joon-Suk;Jo Eun-Hye;Hwang Jae-Woong;Park Jung-Ran;Kim Sun-Jung;Lee Yong-Geon;Jeong Yun-Hyeok;Chung Ji-Hye;Lee Seung-Ho;Park Young-Seok;Park Byung-Kwo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1 no.2
    • /
    • pp.113-117
    • /
    • 2006
  • New nonspecific immunostimulators (Koko enterprise Co., Ltd., Korea) were evaluated for its effectiveness as a nonspecific immunostimulator in pigs. The effects of new nonspecific immunostimulators were determined by analysis of cytokines using ELISA and blood-chemistry. IFN-r which is one of the cell mediated immune cytokin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R-vitamineral 0.2% group posttreatment 4 weeks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IMF 0.2%, DIR-vita 0.1% and DIR-vitamineral 0.2% groups than control group in 3 months. DIR-vitamineral 0.2% had a most strong effectiveness as a nonspecific immunostimulator in our treatment materials in pigs. IMF 0.2% and DIR-vita 0.1% were seen that there had effectiveness of a nonspecific immunostimulator in posttreatment 3 months. IgG IgM and Total Ig which were humoral immune globulin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posttreatment 4 weeks and 3 month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new nonspecific immunostimulators had an immunostimulatory effect on pigs through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

인삼 종자 배란의 Cellulase 국재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 김우갑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37 no.4
    • /
    • pp.435-439
    • /
    • 1994
  • 채종 후 성숙한 인삼 종자 배유에서 cellulase의 국재를 rabbit anti-cellulase와 protein A-gold를 사용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Cellulase의 immunogold particle이 전자밀도가 높은 단백질체와 배유세포벽 주변부에 나타났다. 또한 금입자가 세포벽에 균일하게 분포하였고, 제형층에 접한 분해과정 중의 배유세포벽을 따라 나타났다. 그러나 세포벽의 섬유성 물질과 배유세포의 분해물질로 구성된 제형층에서는 금입자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pancreatic poly-peptide-immunoreactive cells in the pancreas of the Korean native goat (Capra hircus) during developmental stages (발생단계에 따른 한국재래산양 췌장에서 pancreatic polypeptide 면역반응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Ham, Tae-su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40 no.3
    • /
    • pp.421-430
    • /
    • 2000
  •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the pancreatic polypeptide (PP)-immunoreactive cells in the pancreas of the Korean native goat (Capra hircus) were studi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PAP methods) using specific antisera against to PP during developmental stage, fetus, neonate, 1-month-old, 6-month-old and adult. The different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PP-immunoreactive cells in the pancreas of Korean native goat were observed during development. In the exocrine portions, they were detected in the all ages and distributed in the interacinar regions. PP-immunoreactive cells were increased from neonate to 1-month-old but thereafter decreased with developmental stage. In the pancreatic duct, PP-immunoreactive cells were demonstrated from 1-month-old but they were decreased with developmental stages in these regions. These cells were observed in the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of the pancreatic duct with a few frequencies in 1-and 6-month-old. However, they were located in the interepithelial cells of the pancreatic duct in the adult with rare frequency. In the endocrine portion (pancreatic islets), PP-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from neonate,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PP-immunoreactive cells from 1-month-old was divided into two patterns : dispersed 1) in the marginal regions of the pancreatic islets with moderate or a few frequencies, and 2) in the whole pancreatic islets (in a case of 1-month-old) or in the central cores (in a case of 6-month-old and adult) with numerous frequency. In conclusion, the different regional distribution and relative frequency of PP-immunoreactive cells in the pancreas of the Korean native goat were observed during development. It is suggested that the changing of feeding habits and physiological conditions during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may cause these differences.

  • PDF

경구면역관용(經口免疫寬容)과 식이항원(食餌抗原)에 대한 면역의 조절

  • 김우호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2 no.1
    • /
    • pp.43-51
    • /
    • 1996
  • 경구적으로 투여된 항원에 대해서 특이적으로 T세포의 기능과 항체산생이 억제되는 현상이 경구면역관용(oral tolerance)인 것이다. 지금까지 해석이 곤란하였던 이 현상에 대해서 최근 분자생물학적인 기법이 적용되기 시작한 결과, 이 현상에 관여하는 세포가 주로 $CD8^+$ T세포에의한 억제 혹은 $CD4^+$T세포의 불응답(unresponsiveness)에 기인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각종 cytokine중 IFN$\gamma$, TGF$\beta$, IL-10 등이 이 현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사실 경구면역관용은 말초면역관용을 야기한다는 것이 오래전부터 알려진 한 방도이다. 경구적으로 투여된 항원이 관용을 야기하는 일차적인 기전은 능동적인 억제의 발생 혹은 clone성 anergy(과민증에 대한 무감증)에 의거하는 것이다. 낮은 량의 경구투여항원은 능동적인 억제를 야기하기 쉬우나 반대로 높은 양의 경구투여항원은 clone성 anergy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능동적인 억제를 매개하는 조절세포는 경구면역관용에 의해서 격발된 후 TGF$\beta$및 IL-4와 같은 억제성 cytokine의 분비에 의해서 능동적 억제작용을 한다. 더구나 GALT(gut-associated lymphoid tissue)를 선별적으로 자극하는 항원은 Th2형 세포반응을 발생한다. 또한 이와같은 유도기구의 해석과 동시에 사람에서 면역반응의 이상으로 야기되는 관절 rheumatism이나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그리고 각종 allergy도 이 경구면역관용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