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성 면역

검색결과 1,485건 처리시간 0.027초

복분자 자죽염의 마우스 대식세포주 및 복강 대식세포에 대한 면역증진 효과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Purple Bamboo Salts Composed with Rubus coreanus in Raw264.7 Cells and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 박희전;김석호;정소희;박희란;김진형;송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06-31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기능성 식품이자 의약품으로 사용되었던 자죽염(PubS)과 복분자를 조합한 복분자 자죽염(PuBS-R)을 사용해 비특이적, 선천성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에서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PuBS-R은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서 $1,000{\mu}g/mL$ 농도처리 시 세포의 증식을 유발하였으며, 그에 반해 PuBS를 $1,000{\mu}g/mL$ 처리 시 유의하게 세포 증식률이 억제되었다. 이어서 면역 관련 사이토카인 $TNF-{\alpha}$, $IFN-{\gamma}$, IL-12, IL-10 등을 유전자 단계와 단백질 단계에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PuBS-R은 50, 100, $500{\mu}g/mL$에서 유의한 증가율을 보였고, 무엇보다 이것은 PuBS 군에 비해서도 월등한 증가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마우스의 복강에서 분리한 peritoneal macrophage에 PuBS-R을 처리 후 $TNF-{\alpha}$, $IFN-{\gamma}$, IL-12, IL-10, iNOs를 단백질 단계에서 평가한 결과, Raw264.7 세포에서 얻은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PuBS-R은 인체의 대식세포 활성의 증가를 통해 비특이적, 선천성 면역력을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실험동물을 이용한 in vivo 후속 연구를 통해 PuBS-R의 면역증강 기능성 식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세포에 의한 아메바성 수막뇌염에 대한 피동면역의 전달 (Passive Immunity by Splenocyte Transfer against Amebic Meningoeneephalitis in Mice)

  • 임경일;유재숙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3호
    • /
    • pp.169-174
    • /
    • 1988
  • Naegleria fowleri로 면역된 마우스 비장세포를 이입(이입)함으로써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 뇌염의 발생을 방어할 수 있는지 즉 방어면역을 피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무균 배양한 N. fowleri, ITMAP 359 영 양형 7×l04개를 생후 6주된 ICR 마우스에 감염시켰다. 살아있는 N. fowleri 영양형 106개씩을 1주일 간격으로 3회 복강내로 주입시켜 면역시켰다. 면역시킨 마우스의 비장을 적출하여 107개의 비장세포가 함유된 부유액을 마우스 복강내로 주입시키고 3일 후 N, fowleri를 감염시켰다. 비장세포에 Con. A와 lipopolysaccharide(LPS)를 처리한 후 배자발생 정도를 methyl-[3H]-thymidin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 fowleri를 감염시킨 마우스의 사망률을 보면 정상 비장세포를 주입시킨 실험대조군에서 84%, 면역 비장세포를 주입시킨 실험군에서 72%로서, 정상 대조군에서의 사망률 100%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면역된 비장세포를 주입시킨 실험군에서 LPS를 처리한 비장세포의 배자발생정도는 감염 7일 후 실험대조군이나 정상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고, Con. A처리에 의한 배자발생 정도도 감염 7일 후 증가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혈청내 항체가는 감염 12일 후 정상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과 실험대조군에서 높았다.

  • PDF

13종 허브추출물의 수퍼옥사이드 소거능과 세포독성 및 면역증강 효과의 in vitro계 검색 (In vitro Studies on the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the Cytotoxic and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irteen Kinds of Herbal Extracts)

  • 정하열;김현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99-705
    • /
    • 2000
  • 인간의 체내에서 과량으로 생성된 활성산소가 자체 방어기전에 의해서 분해 혹은 소거되지 않는 경우에 이는 생체 조직 내 세포와 면역체계에 관련된 효소들을 손상시켜 암이나 면역질환과 같은 퇴행성 질환을 야기 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대 이집트 시대이래 지금까지 서구에서 약초 혹은 향초로서 사용되어온 13종 허브추출물에 대해서 유해산소 소거능을 검색하고 SRB assay 방법에 따라 두가지 암세포주(Hepa-lclc7, KB-3-1)와 정상세포주(L-929)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에 의한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같은 면역체계의 증강 유도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NO test에 따라 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13종류의 허브추출물에서 일반적으로 medicinal 허브로 분류되고 있는 eucalyptus, peppermint, mate, sage, thyme, yarrow 등의 수퍼옥사이드 소거능이 다른 허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Hepa-1c1c7, KB-3-1과 같은 암세포주 및 L-929와 같은 정상세포주에 대하여도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이때 각각의 허브추출물에 의해 측정된 암세포주에 대한 $IC_{50}$ 값들은 정상세포주에 대한 $IC_{50}$ 값들보다 크거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암세포주에만 선택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면역증강 활성실험에 있어서는 수퍼옥사이드 소거능이 다른 허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6종류의 허브추출물 중에서 sage 만이 표준시료의 37%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어 각 시료의 수퍼옥사이드 소거능과 면역증강 활성과의 연관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양이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의 유주활성에 있어서 계난백유래물질의 면역증강 효과 (Immunostimulating Effect of Chickent Egg White Derivatives on Chemotactic Activity of Feline Peripheral Blood Polymorphonuclear Cells)

  • 양만표;이재권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1-27
    • /
    • 2000
  • 고양이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 (PMN)의 유주활성에 있어서 계난백유래물질 (EWD)의 면역증강 효과를 검토하였다. PMN의 유주활성은 EWD 그 자체 및 EWD로 배양한 PMN의 배양상층액에서는 활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EWD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에서는 PMN에 대한 유주활성이 증가되었다. 본 활성은 checkerboard assay를 통해 진성 유주활성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고양이 PMN 유주활성은 human recombinant interleukin-8(hr IL-8)에 의해서도 증가되었다. IL-8의 또 다른 특성인 세포 형태변형 실험에서도 EWD로 배양한 MNC의 배양상층액과 hr IL-8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세포 형태변형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EWD로 배양한 MNC의 배양상층액과 hr IL-8 모두에서 증가된 PMN의 유주활성 및 세포변형효과는 anti-human IL-8mAb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EWD는 고양이 PMN의 유주활성에 있어서 면역증강 효과가 있으며, 이것은 EWD에의해 활성화된 MNC에서 분비되는 IL-8양 유주성 인자에 의해 PMN의 유주활성 증가 및 세포 형태 변형이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저온 초음파 추출에 의한 Spirulina maxima 면역활성 증진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y of Spirulina maxima by Low Temperatur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 오성호;한재건;하지혜;김영;정명훈;김승섭;정향숙;최근표;박욱연;강도형;이현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13-319
    • /
    • 2009
  • 본 실험은 해수에서 배양된 Spirulina maxima를 $100^{\circ}C$와 초음파 병행 $60^{\circ}C$ 물 추출물, $80^{\circ}C$ EtOH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AOAC법에 의한 일반 조성 및 무기질, 아미노산 조성 분석결과 조 단백질과 무기질 중 나트륨이 각각 56, 60%의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다양한 균주의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중 피부와 관련된 leucine의 함량이 9.83%로 상대적으로 풍부하여 S. maxima 피부면역 활성 증진에 효율적인 소재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면역과 인체 면역과의 밀접한 상관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T 세포와 B 세포의 생육증진 및 cytokine의 분비량 측정과 NK 세포의 활성 및 항염증 효과인 hyaluronidase 저해 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정상세포(HEK293)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 인체에 큰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S. maxima를 추출조건에 따른 면역 증진 효과를 비교한 결과 $60^{\circ}C$ 초음파 병행 물 추출물이 면역 B세포와 T세포에서 각각 $11.3{\times}10^4$ cells/mL, $12.8{\times}10^4$ cells/mL으로 6일째 가장 높은 생육도를 보였다, 이러한 면역 세포들이 분비하는 cytokine(IL-6, TNF-${\alpha}$)의 분비량은 가장 높은 생육도를 보인 $60^{\circ}C$ 초음파 병행 물 추출물을 첨가한 B세포, T세포의 경우 IL-6와 TNF-${\alpha}$는 유의적으로 증가된 분비량을 보이며, 면역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B세포에 각 시료를 첨가하여 배양 후 그 배양액을 NK 세포에 첨가하였을 때, 6일 동안 생육도를 관찰하였는데 시료에 대한 생육도가 증가하며, 6일째 $12.40{\times}10^4$ cells/mL를 나타내어 $11.49{\times}10^4$ cells/mL를 나타낸 대조군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로써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항염증 효과의 hyaluronidase 저해 활성 효과에서 $60^{\circ}C$ 초음파 병행 물 추출물이 1.0 mg/mL 농도일 때 62.4%의 저해 활성을 보여 $100^{\circ}C$ 이상의 고온 추출에서 야기되는 단백질이나 미립자 활성 물질의 파괴가 최소화되고 저온 초음파 추출 시 유용성분들의 용출량 증가와 새로운 물질들의 생산 혹은 활성변형에 의한 추출을 통해 인체면역과 피부면역 활성 증진에 활용이 가능한 효율적인 소재화가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이로써, 본 연구 논문은 S. maxima의 물질 분리보다 피부면역관련 활성을 통한 소재로서의 탐색이 주목적이므로 향후 이 추출물의 분리, 동정을 통해 피부 면역 활성도에 따라 물질의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를 보이고자 한다.

치료용 레이저를 이용한 대상포진 (Herpes Zoster)치료 19례에 대한 보고

  • 배성동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권1호
    • /
    • pp.123-125
    • /
    • 1990
  • 문헌에 의하면 대상포진의 원인은 바이러스에 대한 세포성 면역이 저하될 때, 또는 악성종양 등으로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아서 2차적으로 면역이 저하될 때 체내에 잠재해 있던 바이러스가 재활되어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본 저자도 이에 대하여 의견을 같이하고 있는데 노령층의 $60\~70$대 여자환자수가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점과, $20\~39$세 사이의 청${\cdot}$장년층에서는 단1명의 대상자가 없다는 점뿐 아니라, 본 대상자중 11세의 소녀는 7세때 뇌종양 수술을 2차례에 걸쳐 실시한 후 면역제제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있는 점 등은 문헌의 발병원인과 상당히 일치하였다. <전파 양식> 비말 감염 (droplet infection)으로 전파되며, 수두와 달리 전염성이 높지 않다. <잠복기>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가 언제 재활할지 알 수 없으므로 불명이다. 그러나 본조사에서는 대상포진에 대한 병력을 가진 사람이 없었고, 발생 원인을 본인 자신도 모르고 있었다. <합병증> Ramsay Hunt의 증후에 의하면 합병증은 외이도의 수포, 안면신경마비, 혀의 2/3부분의 미각상실, 간혹 청각 및 평행장애를 일으킨다고 한다. <치료> 대상포진의 대증요법으로 calamine lotion Burrow solution의 wet dressing 진통제 및 cytosine arabinoside나 adenosine arabinoside와 같은 항히스타인제, 최근에는 Acyclovir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PDF

바이러스 질환 필요처방의 선정을 위한 수종 한방 처방의 효능연구 (Screening for Various Herb Medicines Extracts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 Herpes simplex virus type I and Herpes simplex virus type II)

  • 임성우;안덕균;우은란;박호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26-336
    • /
    • 1998
  • 면역 결핍 바이러스와 허피즈 바이러스 -1,2에 대한 한약의 항바이러스 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세포 바이러스 검색에 초기 독성과 감염 바이러스의 생존 세포 수를 비교적 단기간내 볼 수 있는 96-well plate를 이용한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예비 실험 단계에서 사용된 총 85가지의 한약중 단미제 6가지와 복합처방 44가지를 선정하였으며 복합처방은 유사한 치법으로 분류하였고 한약의 시료 추출은 순수하게 물로 전탕하여 여과하였다. 실험 결과 파두와 맥아가 면액 결핍 바이러스에 대해 감염초기 유의성이 있었으며 호장근, 갈근우방자탕과 형방패독산이 허피즈 바이러스-1,2에 대해 감염초기 유의성이 있었으나 실험의 시간 경과에 따른 지속적인 약효 안정성을 보이지는 못하였다. 이 실험을 통하여 한약을 이용한 우수한 바이러스 치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단미제나 복합 처방에서 항바이러스 작용이 큰 유효성분의 대량 분리와 세포 실험에 있어서 오차를 줄 일 수 있는 세포면역학적 실험의 도입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동종동맥판 보존용액중 우혈청의 항원효과에 관한 연구 (Antigenicity of Fetal Calf Serum as Preserving Solution for Aortic Allograft)

  • 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2호
    • /
    • pp.1293-1298
    • /
    • 1996
  • 동종동맥판의 보존용액에 흔히 첨가되는 우혈청(Fetal Calrserum)의 항원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쥐를 이용한 실험을 하였다 동종동맥 판을 2개의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은 우릴청을 첨가하지 않은 보존용액을 사용하여 보존처리하고, 실험군은 우혈청을 첨가한 보존용액을 사용하여 보존처리하였다. 14일간에 걸친 냉장보존(4$^{\circ}C$) 및 냉동보존후 혈관내피세포를 분리하여 면역화학적 검사를 통한 면역표현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때 면역표현정도의 검사로써 MHC class I 항체, MHC class II항체, ICAM-1 항체를 측정하였다. 실험의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MHC class I 표현: p=0.524, MHC class 표현: p=0.897, ICAM 1 표현: p=0.1305).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동종동맥판의 보존처리를 할 때 세포의 생육성보존효과를 갖고있는 우혈청을 보존용액에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