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생존

검색결과 1,972건 처리시간 0.038초

발효 스쿠알렌을 함유한 마이크로좀의 제조 및 효능효과 (Effectiveness and Preparation of Microsome containing Fermented Squalene)

  • 김예진;김태현;조희경;성낙준;김인영;유광호;김영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59-117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개발한 발효 스쿠알렌의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마이크로좀-SQ20 (Microsome-SQ20)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물리적 거동 및 특성과 효능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마이크로좀-SQ20의 외관은 투명한 액체로 고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었다. 색상은 무색이고, 비중은 0.928, pH는 5.82 (20%용액)로 화장품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다. 스쿠알렌의 주성분 함량은 20.05%로 안정하게 봉입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이크로좀-SQ20을 0.1% 수용액화하여 측정한 입자크기는 134.8 nm로 bluish한 유화상을 얻었다. F-SQ(Fermented squalene)과 MF-SQ(Microsome squalene)의 DPPH라디칼에 의한 항산화 효과는 각각 80.72%, 81.5%로, L-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동등한 효과를 보였다. F-SQ 및 MF-SQ은 10 ppm에서 각각 150.3%, 129.9%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냈다. SQ, F-SQ, MF-SQ의 elastase 저해능은 10 ppm에서 각각 8.7%, 10.33%, 8.7%의 저해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MP-1 저해능력은 SQ, F-SQ, MF-SQ 모두 10 ppm에서 각각 1.55%, 41.44%, 31.79%를 나타내 F-SQ의 collagenase 저해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장수버섯 자실체의 열탕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약리적 효과 (Pharmacological Effects of Proteoglycans Extracted from Fruiting Bodies of Fomitella fraxinea)

  • 윤상홍;임재현;김양섭;김창한;조준형;황영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11-518
    • /
    • 1998
  • 국내에 자생하는 장수버섯(Fomitella fraxinea)의 자실체에서 분리한 수용성 다당체의 약리적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수버섯 자실체에서 추출한 수용성 다당체는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1종의 중성다당체(FF-NP)와 2종의 산성다당체(FF-AP1, FF-AP2)로 분리되었다. 3종의 다당체중 FF-AP1이 $20\;{\mu}g/ml$ 농도에서도 약리적으로 유효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었다. Clonogenic assay에 의한 9종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각 다당체의 저해효과검정에서, FF-AP1은 $500\;{\mu}g/ml$ 농도에서 인체 위암 세포주(Snu-1)에 대해 86%, FF-AP2는 동농도에서 인체 후두암(Hep-2)과 구피암(KB)에 대해 각각 71%와 77%의 생존억제율을 보여주었다. 장수버섯 자실체로부터 열수 추출한 조다당체에 대한 mouse의 급성독성 검정시험결과에서 반수치사량이 5000 mg/kg 이상이었으며, 육안이나 조직학적 관점에서 어떠한 이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유전자 재조합 대장균에 의한 5-Aminolevulinic Acid (ALA)의 생산 및 공정 모니터링 I. ALA의 생산 특성 (Production and Process Monitoring of 5-Aminolevulinic Acid (ALA) by Recombinant E. coli I. Characteristics of ALA Production)

  • 이종일;정상윤;서국화;한경아;조성효;백경환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17-2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ALA의 생산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재조합 플라스미드, pFLS45를 도입한 재조합 대장균의 성장과 ALA 생산 특성을 조사하였다 30 mM 숙신산과 15 mM 글리신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균체 성장이 원활하고 높은 ALA 생산성을 보였다. 그리고 LA는 균체성장이 거의 다 이루어진 정지기에 첨가될 때 균체 성장에 저해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ALA 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세포내 효소 ALAD의 활성은 30 mM LA가 첨가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조합 대장균은 pH 조절을 위한 산이나 알칼리 첨가에 민감하여 pH를 조절하지 않은 경우에 균체의 성장이 가장 원활하였고 ALA 생산성도 높았다. 3$0^{\circ}C$에서 배양한 경우 균체의 성장은 원활하였지만 ALA의 생산성이 매우 낮았다. 그리고 일반적인 pET 계열의 재조합 대장균의 발현 양상과 달리 유도 발현하지 않고 LA만을 첨가했을 때 ALA 생산 농도는 800 mg/L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7L급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MS8 배지에 기질 (포도당, 숙신산, 글리신) 및 LA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여 균체 성장 및 ALA 생산 특성을 살펴보았다. 균체량은 높지 않았지만 기질첨가 이후 ALA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여 기존의 ALA 생산량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1300mg/L 정도 생산되었으며 ALAD의 활성은 다른 실험결과와 비교할 때 30% 정도 낮았다. 한편, LA 및 숙신산의 첨가 이후 낮아진 배양액의 pH는 균체 성장을 저해하였는데 발효 중 기질을 첨가한 후 pH를 잘 제어하면서 유가식 또는 연속식 발효를 수행하면 ALA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고농도의 ALA 생산은 균체 생존에 영향을 주므로(37) 생산된 ALA를 적절히 분리하는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부탄올 내성 미생물의 분리, 동정 및 변이주의 개발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Mutant Development of Butanol Tolerance Bacterium)

  • 정혜숙;이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6-32
    • /
    • 2013
  • 부탄올 용매에서 생존하는 부탄올 내성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들의 세포성장은 부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그 중에서 BRS02가 12.5 g/L에서 가장 높은 내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UV를 이용하여 BRS02균의 변이를 유도하여 고농도 부탄올 내성균 BRS251을 개발하였다. 부탄올 생산 모델균주로 대장균과 함께 부탄올, 프로판올 및 펜탄올에 대한 내성도를 비교한 결과, 대장균은 7.5 g/L 부탄올과 20 g/L 프로판올, 2 g/L 펜탄올 농도까지 생육이 가능한 반편, BRS251은 더 고농도인 17.5 g/L 부탄올과 32.5 g/L 프로판올, 6 g/L 펜탄올 농도까지 생육이 가능하였다. 분리된 세균을 동정하기 위해서 그람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그람양성의 구균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6.5% NaCl에서 생육이 가능하였다.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arginine dihydrolase, ${\alpha}$-glucosidase, urease 효소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호기적인 조건에서 D-galactose, Dmaltose, D-mannitol, D-mannose, methyl-${\beta}$-D-glucopyranoside, D-ribose, sucrose, D-trehalose를 탄소원으로 자화하여 산을 생성할 수 있었으며, bacitracin, vibriostatic agent O/129 및 optochin에 대한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었다.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결정하고 계통발생도 분석을 통해 BRS02는 최종적으로 Staphylococcus sp.임을 동정하였다.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에서 발효된 콩의 돌돔에 대한 이리도바이러스 및 병원성균에 대한 예방효과 (Soybeans Fermented with Bacillus po/yfermenticus KJS-2 Protects Oplegnathus fasciatus from Iridovirus and Pathogenic Bacterial Infection)

  • 김강민;나해춘;박정희;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20-727
    • /
    • 2009
  •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B. polyfermenticus KJS-2)를 이용하여 발효된 콩(BP2FS)은 8가지의 병원성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졌다. BP2FS는 돌돔의 배양에 있어 사료첨가제로 사용되었다. 돌돔의 배양시 BP2FS를 투여한 군($6{\times}10^{4}$ cfu $g^{-1}$ 사료)과 투여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었으며, 투여한 군은 120일 동안 하루에 두 번씩 투여 하였다. 120일 후에 투여한 군의 돌돔의 몸무게는 67.29${\pm}$12.62 g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군의 몸무게는 56.56${\pm}$8.21 g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은 투여한 군(80%)과 투여하지 않은 군(40%)이었다. 폐사한 돌돔의 축적된 양은 투여한 군(18.95%)과 투여하지 않은 군(60.98%)이었다. BP2FS를 투여한 군에서 B. polyfermenticus KJS-2를 돌돔의 장내에서 검출한 결과 $1.04{\times}10^{4}$ cfu $g^{-1}$으로 나타났다. BP2FS를 투여 하지 않은 군의 돌돔에서는 iridovirus에 감염되었을 경우 나타나는 전형적인 증상인 비장과 간에서 비대세포가 관찰 되었다. 이 결과들은 BP2FS는 돌돔의 이리도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시 예방효과를 가져온다 할 수 있다.

구강 설 편평 상피 세포암의 임상적, 치료적 고찰 (Clinical and Therapeutic Aspect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Oral Tongue)

  • 류삼열;이창걸;박인규;서창옥;김귀언;노준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05-110
    • /
    • 1987
  • 구강 내 설암은 설의 전방 삼분의 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근치적 요법으로는 수술과 방사선 치료가 그 근간을 이루어 왔으며, 같은 병기에서 두 요법간의 완치율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조기병소(T1, T2)에서는 이 두 요법간에 비슷한 국소 퇴치율을 보이므로 치료법의 선택에는 그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기능적 손상 및 미용적 결손을 최소화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큰 기능적 손상 없이 용이하게 절제할 수 있는 첨단부 및 배부의 작은 병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조기병소는 방사선 요법으로 정상적인 발성 및 연하작용을 유지하며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진행된 병소(late T2, T3) 중 하부 침윤이 심하지 않으면 방사선 치료만으로 완치될 수 있으며 수술은 방사선 치료 후 재발암의 구원요법으로 유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방사선 치료의 방법으로는 외부 조사법 외에 자입요법 등이 있으나 최대의 국소 퇴치를 위해서는 자입요법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입요법으로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고 투여되는 선량을 증가시킴으로서 국소 퇴치율의 향상을 기대하고 나아가 생존율을 높일 수 가 있을 것이다.

  • PDF

지리오가피 (Acanthopanax chiisanensis) 체세포배의 건조처리를 통한 식물체 증식 (Plant Production from Desiccated Somatic Embryos of Acanthopanax chiisanensis)

  • 이강섭;방극수;최용의;안병룡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81-385
    • /
    • 2003
  • 지리오가피의 체세포배로부터 식물체재생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하였다. 체세포배의 형태형성에 미치는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접합자 배 유래의 배발생 세포를 MS배지에 현탁배양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자엽시기의 배를 배양접시에서 건조처리 (0∼72 h)한 후, NAA, BA, GA$_3$(0∼0.5mg/L)가 첨가된 MS배지에 배양하였다. 그 결과, 체세포배를 72시간 동안 배양접시에서 건조처리 후에 0.5mg/L NAA, 0.5mg/L BA 또는 0.5mg/L NAA, 0.5mg/L BA 0.5mg/L GA$_3$가 첨가된 MS배지에 6주간 배양하였을 때, multiple shoot가 100%로서 가장 높게 유도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가장 높은 식물체의 재생율 (29.1%)은 체세포배를 72시간 건조처리 후에,0.1mg/L NAA, 0.1mg/L BA그리고 0.1mg/L GA$_3$가 첨가된 MS배지에 6주간 이식한 후, 이를 다시 1.0mg/L GA$_3$가 첨가된 1/3MS배지에 6주간 배양하였을 때 이루어졌다. 유식물체를 vermiculite와 sand가 1:1로 첨가된 plastic pot 이식하였을 때 생존율은 약 70%로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지리오가피의 계량생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99m}Tc$-HMPAO 및 $^{99m}Tc$-ECD 뇌 SPECT: 증례보고 (Brain SPECT Using $^{99m}Tc$-HMPAO and $^{99m}Tc$-ECD in Subacute Cerebral Infarction: Case Report)

  • 안병철;이동수;윤병우;소영;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0-575
    • /
    • 1996
  • 우리는 혈전 용해요법을 시행한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과잉관류가 발생한 아급성기에 $^{99m}Tc$-HMPAO SPECT와 $^{99m}Tc$-ECD SPECT를 같은 날 실시하여 $^{99m}Tc$-HMPAO SPECT에서는 과잉관류 소견이 보이나, $^{99m}Tc$-ECD SPECT 에서는 결손으로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이 환자는 임상적으로 신경학적 이상에 호전이 없이 증상 발생 42일째 사망하였다. 문헌을 검토하여 종합하고 우리 환자예를 분석한 결과 $^{99m}Tc$-HMPAO SPECT가 뇌혈류를 반영하여 관류회복과 과잉관류상태를 나타내었고, $^{99m}Tc$-ECD SPECT는 뇌세포의 대사 및 생존여부를 반영하여 뇌세포 손상이 넓고 심각함을 나타내었다고 보았다.

  • PDF

영지버섯 균주별 균사체 추출물의 항염,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능 비교 분석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allergic effects of Ganoderma species mycelial extracts)

  • 박영진;남재영;윤대은;권오철;김홍일;유영복;공원식;이창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1-115
    • /
    • 2013
  • 본 연구는 다양한 영지버섯 균주의 균사체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G. species ASI-7150 (흑영지), G. lucidum ATCC46755 (Canada), G. species ASI-7151 (흑룡), G. lucidum ATCC64251(Taiwan), G. neo-japonicum ASI-7032, 및 G. lucidum ASI-7071 (영지2호)의 균사체 추출물 항산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 G. species ASI-7150 (흑영지) 의 균사체추출물에서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가장 높았다. 항염활성 분석에서는 G. lucidum ATCC64251 (Taiwan)의 균사체 추출물을 처리하였때 NO 생성 저해능이 가장 좋았다. 또한 G. lucidum ATCC64251 (Taiwan)의 균사체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beta}$-hexosaminidase 생성억제율이 가장 좋았다. MTT assay를 통하여 각 영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세포 생존율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러한 선행 연구결과는 추후에 국내 및 국외 품종 등 다양한 영지버섯 균사체의 약리효과 분석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Flavimonas oryzihabitans KU21의 원형질체 생성, 재생 및 융합 (Spheroplast Formation, Regeneration and Fusion of Flavimonas oryzihabitans KU21)

  • 이수연;임영복;박용근;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8-325
    • /
    • 1993
  • 아닐린 분해균주 Flavimonas oryzihabitans KU21 의 원형질체 생성, 재생, 그리고 융합 등의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세포를 37.deg.C 로 prewarming 시킨 0.2 M Tris-Hcl(pH8.0) 완총액으로 현탁시킹후 0.5% 이상 원형질체로 전환되었으며, 이때 효소처리는 37.deg.C 에서 진탕하지 않고 처리했을 때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MgCl/sub 2/ 와 CaCl/sub 2/ 수용액은 원형질체의 안정성을 높였고 완층액에 0.8% BSA 를 첨가함으로써 상온에서 4시간 까지 원형질체의 생존력을 80% 까지 유지할 수 있었다. 원형질체의 재생은 overlaying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어서 3.8% 의 재생을 보였다. Rich regeneration medium 에 20 mM CaCl/sub 2/ 를 첨가하였을 때 재생율이 약 3.5배 증가하였고 완충액에 0.8% BSA 를 첨가했을 때는 4.5배의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삼투안정제로 0.5 M sucrose 를 첨가한 rich regeneration medium 에서 F. oryzihabitans 의 원형질체는 top plating 하여 6시나 이후부터 재생되기 시작하여 11 시간까지 80% 의 재생이 이루어졌다. 융합원으로 40.deg. PEC6000 과 CaCl/sub 2/ 를 사용하여 F, oryzihabitans 의 종내 원형질체 융합을 유도하였을때 recombinants 의 생성율은 2.0 * 10/sup -5/-3.6 * oryzihabitans 의 종내 원형질체 융합을 유도하였을때 recombinants 의 셍성율은 2.0 * 10/sup -5/-3.6 * 10/sup -5/ 이었으며 recombinants 들은 여러 세대 후에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