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벽

검색결과 828건 처리시간 0.029초

인삼과실의 과피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tructure of Pericarp i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Fruit)

  • 유성철;정병갑;김우갑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71-78
    • /
    • 1989
  • 인삼과실의 발달에 따른 과피의 구조적 변화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인삼과피는 크게 외과피, 중과피 및 내과피로 구분되었으며 외과피는 큐티클로 덮혀있는 단층표피와 하표피층으로 구성되었다. 외과피와 중과피층은 세포질의 대부분을 액포가 차지하고 있었고 세포의 배열이 불규칙적이었으며 분화가 진행될수록 세포벽의 용해가 일어나는 등 세포의 퇴화현상이 관찰되었다. 내과피 세포는 이차세포벽의 비후와 목질화 현상으로 다른 층과 쉽게 구별이 되었으며 이는 기계적인 보강조직으로의 분화라고 사료된다. Golgi comples와 조면소포체에서 생성되는 분비물질들을 세포벽에 축적되는데 이는 내과피가 종피로 분화될 때 종피의 주요 구성물질을 이루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삼 융단조직의 프로그램 세포사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f Programmed Cell Death of Tapetum In Panax ginseng)

  • 정병갑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16-1022
    • /
    • 2009
  • 융단조직은 약실 내에서 발달하는 소포자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퇴화되는 조직으로써, 소포자 4분자 시기에 최대로 발달하고 화분벽에 포분질에 축적된 후 프로그램 세포사가 일어남으로써 세포가 죽게 되고 융단조직 전체가 퇴화된다. 액포가 융합되므로써 프로그램 세포사가 시작되고 세포질응축, 핵질 분절 등이 뒤따라 일어난다. 지질 덩어리는 비교적 늦은 시기에 퇴화되며 orbicular body는 가장 늦게까지 남아 있게 된다. 융단세포의 프로그램세포사 전 과정 중에서 세포벽은 액포에서 기원하는 가수분해 효소에 비교적 안정적이므로 가장 늦게 퇴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재래종 호박 완숙과의 섬유질, 단백질 및 아미노산 함량 비교분석 (Content Analyses of Fiber, Protein and Amino Acids of Fully Ripe Fruits of Korea Native Squash, Cucurbita moschata Poir)

  • 윤선주;전하준;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403-408
    • /
    • 2004
  • 한국산 재래종 호박 완숙과의 총세포벽 물질, 펙틴, 총단백질,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비교 조사하였다. 과육의 단백질 함량은 ‘제주 2’가 $2,830\;{\mu}g/g$으로 가장 높았고 '상주'는 $1,319\;{\mu}g/g$으로 가장 낮았다. 세포벽물질은 ‘강화’가 2,961 mg%로 가장 높았고, '남해'는 1,582 mg%로 가장 낮았다. 또한 세포벽 물질 내 펙틴의 함량은 ‘강화'(2,198 mg%), '제주 2'(2,178 mg%) 및 ’제주 1'(1,461 mg%)의 순서로 높았다. 또한 세포벽 물질 내 펙틴은 수용성과 불용성 펙틴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산 함량조성은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및 valine이 주를 이루어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특이하게도 '제주 2'는 aspartic acid와 threonine이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완숙과 호박의 과육 내 유리 아미노산은 8종의 필수아미노산(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methionine, threonine 및 valine)을 비롯해 총 34종류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aspartic acid와 asparagine의 함량이 전체 유리아미노산 중 5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이뇨작용과 관련된 ornithine, citrulline, arginine이 모든 품종에서 검출되었으며 ornithine과 citrulline은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arginine은 ‘남해’가 4.3 mg%이었으며, ‘태안’이 29.34 mg%로 품종간에 7배의 큰 차이를 보였다.

Streptanthus tortus 조직배양 세포에서 사부 영역과 사공의 형성 (Formation of Sieve Element Area and Sieve Pore in Suspension Cultures of Streptanthus tortus)

  • 조봉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9-112
    • /
    • 2001
  • 사부에서 사부영역 또는 사공은 원형질 연락사로부터 형성된다. 사공의 형성은 원형질 연락사에 작은 소포체의 융합 또는 새로 형성된 세포벽의 특정한 장소가 먼저 분해된 후 소포체와 세포벽의 융합으로 형성되었거나, 또는 세포질에서 여러개의 작은 소포체들이 원형으로 모여 서로 융합되면서 형성되었다. 소포체들은 세포 내에 산재해 있는 인이나 이질염 색질에서 합성되었다. 조직배양 세포로부터 유도된 사부나 사공은 일반 식물에 존재하는 사부와 마찬가지로 원통모양이었다. 사공이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되며, 사공형성에 필요한 재료는 소포체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효모의 세포벽에 대한 $Glucanex^{(R)}$ 200G의 영향 (Effect of $Glucanex^{(R)}$ 200G on Yeast Cell Wall)

  • 김광석;장정은;윤현식
    • KSBB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288-290
    • /
    • 2004
  • 효모의 종류에 따라 세포벽의 composition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유전자은행 (KCTC)과 한국미생물 보존센터 (KCCM)에서 구입한 15종류의 효모를 $Glucanex^{(R)}$ 200G로 처리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상대적인 저항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Trigonopsis variabilis나 Sporidiobolus pararoseus는 $\beta$-glucanase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으며 Pichia stiptis나 Filibasidium cpasuligenum은 $\beta$-glucanase에 대한 저항성이 낮았다. $\beta$-glucan의 함량이 높은 세포는 높은 농도의 $\beta$-glucanase 농도에서도 저항성을 가지므로 이를 바탕으로 여러 효모의 세포벽의 상대적인 $\beta$-glucan 함량을 추정할 수 있다.

Penicillium oxalicum(HCLF-34)으로부터 분비되는 Anabaena cylindrica 세포벽 분해효소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Cell Wall Lytic Enzyme of Anabaena cylindrica from Penicillium oxalicum(HCLF-34))

  • 현성희;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1-236
    • /
    • 1999
  • Penicillium oxalicum 으로부터 세포외로 분비되는 Anabaena cylindrica 분해효소의 분자량은 renaturation SDS-PAGE에서 약 22kDa 으로 확인되었으며, 분해 효소의 농축은 ultrafiltration cut off fraction 중 30-10 kDa 구간에서 수획하였다. 최적 활성조건의 측정 결과 적정 pH는 3.5-4.0, 적정반응 온도는 $20^{\circ}C$, 그리고 온도 안정성은 $4^{\circ}C$ 이하에서 100% 이상, 20-$90^{\circ}C$ 범위에서는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금속이온 및 효소안정제의 영향에서는 $Na^+$,$K^+$, $Ba^(2+)$, $Mg^(2+)$, $Mn^(2+)$의 양이온과 BSA는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반면, $Ca^(2+)$, $Cu^(2+)$의 양이온과 EDTA, PMSF 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였다. 이러한 금속이온과 안정제의 영향에서 1가, 2가 양이온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고, $Fe^(3+)$, $Ca^(2+)$, $Cu^(2+)$의 양이온에 의해서는 활성이 감소하는 결과는 대부분의 세포벽 분해효소가 갖는 특성과 유사한 결과였다. 분해효소는 A. cylindrica 과 Micrococcus. luteus 의 세포벽을 기질로 사용한 효소의 활성 반응에서 반응 시작 후 1시간에서 5시간 사이에 반응 산물로 환원당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 PDF

미역과 다시마를 주원료로 한 묵 제조 2. 묵 제조 과정중 칼슘 함량 및 조직학적 변화 (Preparation of Mook with Sea Mustard and Sea Tangle 2. Calcium Contents and Histochemical Changes during Processing Mooks)

  • 정용현;국중렬;장수현;김종배;최선남;강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4-169
    • /
    • 1994
  • 해조묵제조 과정에서 묵중 $Ca^{++}$함량 및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겔화한 동안 미역이 다사마 보다 $Ca^{++}$함량증가가 빠르면, 겔형성 후 수침시 유출되는 $Ca^{++}$량도 미역이 다시마 보다 많았다. 알칼리용해 및 여과는 묵 수침시 $Ca^{++}$유출량을 감소시켰다. 미역은 불규칙하고 긴 세포벽을, 다시마는 비교적 규칙적인 세포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알긴산은 세포벽 주위에 주로 존재하였다. 가열, 알칼리 용해 및 묵제조에 딸 알긴산은 점차적으로 용해되었으나 사상세포는 다시마인 경우 미세하게 절단되었으나 미역인 경우는 상당부분 묵 중에 잔존하였다.

  • PDF

Algicidal Effect of Glycolipid on Dinoflagellate

  • 백승학;이성규;김은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82-585
    • /
    • 2001
  • Yeast 유래의 미생물 생리활성물질(GL)에 대한 살조특성은 다음과 같다. C. polykrikoides 및 3종의 와편모조류에 대한 운동성 저해는 $MT_{50}$은 S. trochoidea 는 5${\mu}g/ml$에서 5분 이내에, P. minimum 및 H. akashiwo는 30 ${\mu}g/ml$에서, C. polykrikoides는 200${\mu}g/ml$에서 5분 전후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저농도에서 와편모조류의 저해가 가능했다. 와편모조류의 사멸효과는 최종농도 10${\mu}g/ml$ 이상에서 와편모조류의 대부분의 살조가 나타났으며, 살조유형을 조사한 결과, GL이 와편모조류의 세포벽을 직접적으로 공격함으로써 세포벽의 파괴를 야기함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Single Cell Protein 의 이용과 연구동향

  • 이철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9년도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43.1-243
    • /
    • 1979
  • 단세포 단백(SCP)은 토지나 천후조건에 의존하지 않고 대량생산할 수 있는 식량자원이라는 점에서 앞으로 예상되는 지구상의 식량난을 타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되고 있다. 단세포 단백을 사료로 이용하는 이외에 식품에 직접 사용하려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서구에서는 식용단세포단백의 생산가공이 시작되고 있다. 단세포 단백를 식용으포 직접 이용하기 위하여서는 위생성은 물론 소화성과 기능성은 향상시켜아 하는데 이 목적을 위한 세포벽 파괴의 단백질 추출기술에 관한 연주가 앞서야 한다. 최근 MIT에시는 Yeast의 세포벽 파괴와 단백질 추출 mechanisln을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ape) 등을 이용한 형태학적 연구로 규명하였다. 식품재료로서의 단세포 단백의 물성과 기능에 대하여 앞으로 연구 할 점이 많으며 이 분야의 연구결과를 검토하여 본다.

  • PDF

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한 효모의 세포벽 제거 (The Disruption Yeast Cell Wall by chemical Treatment)

  • 문정혜;김중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97-202
    • /
    • 1998
  • 효모를 먹이로 하는 filter-feeder들의 소화력을 높이고자, algae의 대용물로서 가치가 있는 Kluyveromuces fragilis효모를 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해 세포벽을 바괴시켰다. 화학적 처리방법의 최적조건은 0.2 M Tris-buffer에 용해시켜 만든 1M 의 $Na_2EDTA$와 0.3 M의 2-mercaptoethanol을 처리한 후 $30{\circ}C$배양기에서 1시간 배양하는 조건에서 얻어졌다. 이때, 약 30%의 protoplast yeast를 실시함으로써, 그 생성률을 약 2배이상 올릴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