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벽물질

Search Result 20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tructural Features of Various Trichomes in Vitex negundo during Development (방향성 좀목형(Vitex negundo)모용의 구조적 분화발달)

  • Lee, Seung-Hee;Kim, In-Sun
    • Applied Microscopy
    • /
    • v.36 no.1
    • /
    • pp.35-45
    • /
    • 2006
  • Plants of Vitex negundo are known to develop numerous trichomes throughout their body, where certain trichome types have been believed to be one of the plausible structures for the unique scents. In the current study. structural aspects of the trichomes have been examined in leaves and stems of Vitex negundo using TEM and SEM. Trichome types as well as structural changes that occurred in certain trichomes during secretion have been mainly focused. Three type of glandular trichomes and two types of non-glandular trichomes were developed in the epidermis of young and mature Vitex negundo plants. The glandular trichomes included the peltate type (Type 1), the capitate type (Type 2), and degraded capitate type (Type 3), whereas the non-glandular warty trichomes contained the multicellular (Types 4) and unicellular type (Type 5). Type 1 and 2 consisted of head and stalk cells, but their number and size were different. One secretory cavity was formed from the four head cells in the former, but only two head cells were involved in the latter. The cytoplasmic density in the head cell was quite high and in particular, sER and Golgi bodies were well developed. At initiation of their development, the cuticle layer of the head cells separated from the outer tangential wall to form a secretory cavity. Subsequently the cavity expanded acropetally and a large number of secretory vesicles continuously produced from the head cells until they filled the entire cavity. The cavity contained materials that would be soon discharged into intercellular spaces and/or into the air. The cavity began to decrease the volume by contracting at initial secretion but degrade rapidly within short time.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mode of secretion in V. negundo is probably the eccrine secretion, since no break or rupture of the cavity has been observed during examination. Contrastingly Type 3 exhibited deterioration of the head cell at early stage. Type 4 was about $110{\sim}190{\mu}m$ long, consisting of $2{\sim}3$ cells, and distributed more in the adaxial epidermis compared to the abaxial surface. However, $20{\sim}30{\mu}m$ long Type 5 was extremely dense in both epidermis. Among several trichome types, Type 1 and 2 probably play an important role in discharging unique aromatic scents in plants of V. negundo.

Treatment Technology for Harvested Tomatoes Using Light Irradiation (광 조사에 의한 토마토의 수확 후 처리기술)

  • 이귀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4 no.6
    • /
    • pp.547-552
    • /
    • 1999
  • 원예 생산물은 수확한 후에도 호흡 등의 생명현상을 지속한다. 즉, 원예 생산물의 수확 후 생명현상의 유지를 위한 주된 생리 및 생화학적 변화는 호흡의 증가, 에틸렌 합성 및 작용, 세포벽 붕괴에 의한 조직의 연화, 색소의 파괴 및 합성, 당과 유기산의 함량 변화, 방향물질의 생산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수확된 원예 생산물은 영양분의 공급이 중단되어 자체내의 저장 양분을 기질로 소모함으로써 품질의 변화를 가져온다. 또한, 원예 생산물은 수확 시기에 에틸렌이 많이 발생하여 숙성과 노화가 촉진된다.(중략)

  • PDF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Preparation of Hot Water Extracts of Dandelion Leaves to Increase Anti-inflammatory Activity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민들레 잎의 열수 추출물 제조조건 설정)

  • Koh, Yoon-Jeoung;Park, Yong-Kon;Kim, Yoon-Sook;Cha, Dong-Soo;Choi, Hee-D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3
    • /
    • pp.391-395
    • /
    • 2009
  • To materialize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dandelion leaves, we studied optimal conditions of hot water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extracts on various temperatures between 60 and $90^{\circ}C$. Extraction yields at $60^{\circ}C$ were the highest at $39.2{\pm}1.3%$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by heating. Howeve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remarkably decreased by increas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that the highest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 extract were demonstrated at $60^{\circ}C$, cell wall degrading enzyme treatment was carried out to increase extraction yield of anti-inflammatory compounds. The enzyme treatment resulted in increased yields and flavonoids from dandelion leaves of 1.5-fold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not decreased. Also, column chromatography was used for concentration of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extract of dandelion leaves treated with enzym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dsorbed compounds on Amberlite XAD-2 and Sepabeads SP-85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yields of adsorbed compounds were increased over two-folds on Sepabeads SP-850 compared to Amberlite XAD-2. Thus Sepabeads SP-850 was more effective than Amberlite XAD-2 to concentrate the anti-inflammatory compounds of dandelion leaves.

Modified Kranz Structure in Leaves of Salsola collina (Salsola collina 엽육조직내 변형된 크란츠구조)

  • Kim, In-Sun
    • Applied Microscopy
    • /
    • v.31 no.2
    • /
    • pp.207-214
    • /
    • 2001
  • Anatomy and ultrastructure of the modifeid Krana pattern have been studied in succulent Salsola collina Pall. Cylindrical leaves exhibited the Salsoloid Kranz type containing two layers of peripheral chlorenchyma that surrounded the water storage cells and vascular tissues. Small veins were also peripherally arranged, but mostly embedded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chlorenchma without the orderly arrangement of the concentric layering of bundle sheath and mesophyll cells. The current study mainly focused on the chlorenchyma tissue abutting such minor veins. The outer columnar layer exhibited features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palisade mesophyll cells, while the inner cuboid layer to the bundle sheath cells of a typical $C_4$ Kranz pattern. Cellular components of the inner chlorenchyma were centripetal and numerous, but starch-laden chloroplasts were rudimentary in the thylakoidal system. The outer chlorenchyma demonstrated normally developed chloroplasts having well-stacked thylakoids and plastoglobuli. Branched and complicated plasmodesmata frequently occurred in thick interfaces of the two layers, implying the active movement of the photosynthates between them. The present data were mostly congruent with one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4 subtypes , NADP-ME type, reported in the $C_4$ pattern. The Kranz pattern encountered in this Salsola probably has been directly related to the structural modification that occurred during a functional adaptation to the $C_4$ photosynthesis.

  • PDF

Histological and Ultrastructural Studies on the Lingual Papillae and the Taste Buds of the Pre-and Postnatal Mice (마우스의 출생전 .후 발생단계에서 설유두와 미뢰에 대한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

  • 신보철;정영화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2
    • /
    • pp.182-202
    • /
    • 1994
  • 마우스(ICR mouse)의 줄생전 ·후 발생에 따른 설점막에서 설유두와 미뢰의 발생, 미뢰를 구성하는 미각세포들의 각 형별 미세구조적인 특징 및 미각세포와 신경종말과의 관계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유곽유두는 임신 17일 심상유두와 엽상유두는 출생 후 0일, 사상유두는 출생후 1일에 출현하였으며, 유곽유두와 심상유두에서의 미뢰는 출생 후 0일, 엽상유두에서의 미뢰는 출생후 1일에 관찰되었다. 유곽유두에서는 유두벽 상피 뿐만 아니라 유두 표면상피에서도 성체에서와는 다르게 미뢰가 출현하였다. 출생후 7일과 15일에서 유곽유두의 미뢰에 대한 미세구조적 관찰에서 미각세포는 중간형 세포. 암세포, 명세포, 기저세포 및 주변세포로 구분되었다 중간형 세포는 암세포와 명세포의 중간정도의 전자밀도를 보이는 세포로서 세포질에서는 활면 및 조면소포체가 다수 관찰되었고. 세포질 및 핵질내에서 다소포성소체와 유사한 구조물들이 관찰되었다. 암세포는 전자밀도가 높아 어둡게 보였고. 핵막은 깊은 함입을 보였다 이 세포의 핵주변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 섬유상 물질, 조면소포체 및 폴리솜들이 다수 관찰되었으며, 첨부 세포질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아 어둡게 보이는 과립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명세포는 전자밀도가 낮아 밝게 보였고, 크고 등근 핵을 갖고 있었으며. 세포질내에서 활면소포체, 폴리솜 그리고 크고 작은 공포들이 다수, 조면소포체들은 소수 관찰되었다. 기저세포는 핵질이 풍부한 난원형의 핵을 갖고 있었으며, 전자밀도가 낮아 밝게 보였고, 유리리보솜들은 많았으나, 활면 및 조면소포체들은 소수 관찰되었다 주변세포는 비교적 긴 방추형의 세포로 얕은 핵막 함입들을 보였고, 대부분의 세포소기 관들은 미약하였으나 유리리보솜들은 다소 많이 관찰되었다. 출생후 7일에는 명세포, 15일에는 중간형 세포들이 다른 세포에 비하여 다수 출현하였다 출생후 미각세포들의 형태적 특징 및 세포소기 관들의 분화들로 미루어 암세포 주변세포 및 기저세포는 미성숙세포, 중간형 세포는 미각기능이 활발한 성숙한 세포 그리고 명세포는 퇴행성 세포로 생각된다.

  • PDF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Cell Wall Regeneration of Culture Panax ginseng Callus Protoplast (인삼 캘러스 원형질체의 배양에 따른 세포벽 재생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 박종범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5 no.6
    • /
    • pp.495-500
    • /
    • 1998
  •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isolated and cultured protoplasts from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callus were studies with electron microscopy. In the 3-day-cultured protoplasts, the cell organelles such as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ibosome, Golgi complex, mitochondria, proplastid increased in number and observed microtubules. Many vesicles derived from the Golgi complex were evenly distributed in the cytoplasm. Some of such vesicles protruded the outer surface of the plasmalemma, and formed the protuberances. Vacuole derived from endoplasmic reticulum included Golgi vesicles by the invagination of vacuoles. These vacuoles migrated toward the plasmalemma by a fusion process (exocytosis), after fusing the plasmalemma the cell wall materials relea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lasmalemma, and lastly deposited on the plasmalemma. Proplastids containing many starch grains, and microtubules parallel to the plasmalemma were observed near the plasmalemma. Connected fibrils which were observ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3-day-cultured protoplast were interpreted as the component of cellulose.

  • PDF

Foliar ultrastructure of Korean Orostachys species (한국산(韓國産) 바위솔속(屬) 엽육조직(葉肉組織)의 미세구조(微細構造))

  • Kim, In-Sun;Pak, Jae-Hong;Seo, Bong-Bo;Song, Seung-Dal
    • Applied Microscopy
    • /
    • v.25 no.4
    • /
    • pp.52-61
    • /
    • 1995
  •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with leaves of three species, O. japonicus A. Berger, O. malacophyllus Fisch., and O. sikokianus Owhi that probably have CAM mode. The mesophyll cells of these Orostachys possessed vacuoles with precipitates, myelin-like figures, and plasmalemmasomes, along with typical chloroplasts, microbodies and darkly stained bodies in their thin peripheral cytoplasm. Separation of the plasmalemma from the cell wall, leaving a space between them, was a common phenomenon in these species. A complex array of small to large vacuoles which contain small, membrane-bounded vesicles or vacuole-like structures were frequently found. A well-developed thylakoid system was observed in the chloroplasts and this indicates that the photosynthetic capacity of these mesophyll cells is probably active. A peculiar configuration of cytoplasm, especially around the chloroplasts, was also encountered. The variety of cytoplasmic constituents and vacuoles suggest the water-storing mesophyll cells may be complex in function. Some cellular features detected in this study strongly suggest the possible occurrence of CAM mode in Orostachys species.

  • PDF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Cell Wall in Persimmon Fruits with Ethylene Treatment (에틸렌 처리에 의한 감 과실 세포벽성분의 변화)

  • 강인규;장경호;변재균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5 no.3
    • /
    • pp.247-255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flesh firmness, evolution of ethylene, cell wall components, and degradation and solubilization of polyuronide(PU) and polysaccharide(PS) in green(GP) and mature persimmon(MP) fruits according to testing time of ethylene(50${\mu}\ell$ㆍL$^{-1}$ ). When ethylene was treated in GP and MP, flesh firmness rapidly decreased and it was decreased more GP than MP. When ethylene were treated for 12 hours in GP, production of ethylene began after 3 days. The amount of ethylene product was maximum 16,000 ${\mu}\ell$ㆍL$^{-1}$ at 24 hours of ethylene treatment. However, ethylene was not producted until 7 days after 24 hours ethylene treatment at MP. The content of pectic substances decreased in the distilled- water, 0.05M $Na_2$CO$_3$,4M and 8M KOH-soluble fractions during softening according to increasing time of ethylene treatment. Arabinose and galactose were the major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in the 0.05M CDTA and 0.05M $Na_2$CO$_3$-soluble pectic fractions. Glucose, galactose and xylose were the major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in the 4M KOH- soluble hemicellulosic fraction. High molecular of PU and PS were degraded and solubilized in the distilled-water, 0.05M CDTA 0.05M $Na_2$CO$_3$ and 4M KOH-soluble fractions during time of ethylene treatment.

  • PDF

Anatomical Observ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in Oenanthe javanica ($B^{L}.$) DC. (미나리 체세포 배발생과정의 해부학적 관찰)

  • Gab Cheon KOH;Chang Soon AHN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2 no.6
    • /
    • pp.323-327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origin and developmental pattern of somatic embryos of Oenanthe javanica ($B^{L}.$) DC. The experiment included observation of embryogenic cells and their development stages by light microscop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embryogenic cells, which were smaller than non-embryogenic cells in size with expanded nucleus and dense cytoplasm. When stained with hematoxylin, the embryogenic cells were readily distinguished from the non-embryogenic cells of which cell walls were stained with safranin. It was observed at somatic embryos developed from single cells on the epidermis of developing embryos or in the surface or inside of embryogenic clumps by segmentation pattern. Observation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vealed that the embryogenic cells had dense cytoplasm expanded nucleus, small vacuoles, large amyloplasts containing starch grains, and abundant organelles including lipid bodies.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mbryogenic callus was shown to consist of very smaller cells than non-embryogenic cells in an orderly arrangement and covered with a net-like structure, while the non-embryogenic callus consisted of large cells, irregular in size and arrangement, and covered with a gelatin-like materi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