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벽

Search Result 82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ietary value of yeast on nauplius of Artemia and Mytilus edulis (Artemia와 진주담치 유생에 대한 효모의 먹이효율)

  • 김해영;김중균;허성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84-85
    • /
    • 2003
  • 조개류의 먹이생물인 미세조류를 대체할 수 있는 효모를 개발하기 위하여 빵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utilis, Klyveromyces fragilis 3종류의 효모를 대상으로 그 먹이효율을 실험하였다. 이들 3종류의 효모를 세포벽을 75, 50, 25% 제거한 것과 세포벽을 제거하지 않은 효모로 구분하여 Artemia를 대상으로 먹이효율을 조사한 후 가장 좋은 먹이효율을 보인 C. utilis를 조개류의 대표적 먹이생물인 Isoch교sis galbana 와 함께 진주담치 유생을 대상으로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Artemia 실험결과 빵효모보다 C. utilis, K. fragilis가 높은 생존율과 성장을 보였으며 세포벽을 제거한 것이 제거하지 않은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Artemia의 생존율은 75%와 50% 세포벽을 제거한 것이 25%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성장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세포벽을 많이 제거할수록 성장과 생존율은 높은 경향이었다. 이와같이 Artemia의 경우는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가 더 좋은 먹이효율을 보인 것은 Artemia는 효모의 세포벽을 소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진주담치 유생의 먹이로 C. utilis를 공급한 경우 성장에 있어서 세포벽을 제거한 효모를 50% 대체한 실험구의 먹이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세포벽을 벗기지 않은 효모의 경우 I. galbana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진주담치 유생에 있어서도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를 공급한 것은 대조구인 I. galbana와 생존율에 있어 유의성이 없었다. 그리고 25% 세포벽을 제거한 것을 공급한 실험구는 유의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각장 성장의 경우 75% 세포벽을 제거한 것은 대조구인 I. galbana와 유의성이 없었다.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와 I. galbana를 1:1로 혼합하여 공급한 실험의 경우 생존율에 있어서는 세포벽을 50%, 75% 제거한 C. utilis를 50% 첨가한 실험구는 대조구인 I. galbana 100%를 공급한 것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장의 경우는 I. galbana 에 세모벽을 75% 제거한 C. utilis를 1:1로 혼합한 실험구에서 각장 179.3 $\mu\textrm{m}$, 각고 150.3 $\mu\textrm{m}$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인 I. galbana 100%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 PDF

Changes in the Cell Wall Components and Cell Structure of Tomato Fruits during Maturation (토마토 과실의 성숙중 세포벽 성분 및 조직의 변화)

  • 신승렬;문광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2
    • /
    • pp.274-278
    • /
    • 1996
  • 토마토 과실의 연화현상의 주 원인으로 판단되는 세포벽의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성숙 단계별로 취하여 과실의 경도, 세포벽 구성 성분의 변화 및 세포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육의 경도는 적숙기 이후부터 급셕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세포벽 함량은 성숙 중에 감소하였고 가용성 펙틴의 증가와 불용성 펙틴의 감소는 적숙기와 식용 적기 사이에서 가장 현저했으며, 총 펙텐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성숙에 따른 토마토 과육의 세포 및 세포벽의 형태적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수확기까지의 토마토에서는 middle lamella와 세포내 기관들이 잘 관찰되었으나, 연화가 진행됨에 따라 식용 적기의 토마토에는 middle lamella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과숙기 에서는 middle lamella의 가용화와 함께 세포벽의 부분적인 분해와 세포분리현상이 관찰되었다.

  • PDF

Changes of the Cell Wall Structures during Maturation of Jujube Fruits (성숙 중 대추의 세포벽 조직 변화)

  • 신승렬;손미애;김주남;김광수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5 no.4
    • /
    • pp.342-345
    • /
    • 1998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the structure of cell wall during maturation for the research of softening of jujube fruits. Cell was hardly combined with each other untill turning stage, but middle lamella of cell wall was splited at mature stage and was observed splited cell. The middle lamella of cell wall was not observed at green mature stage, but was observed at turning stage. Cell wall was degraded at mature stage. It was observed mitochondria, endoplasmic reticulum et. at in jujube fruit of green mature stage, but cytoplasm and organelle was attached on cell wall as vacuole was grown up after turning stage.

  • PDF

Comparative Studies of Invertase Isozymes Produced by Rhodotorula glutinis K-24 (Rhodotorula glutinis K-24가 생산하는 Invertase Isozymes군에 관한 비교 연구)

  • Lee, Tae-Ho;Kim, Chul;Lee, Sang-Ok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17 no.4
    • /
    • pp.313-320
    • /
    • 1989
  • Rhodotorula glutinis K-24 was found to produce internal, cell wall bound, and external invertase. Internal invertase was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hies on DEAE-Sephadex A-50, Sp-sephadex C-50, gel filtration on Sephadex G-200 and isoelectric focusing. Cell wall bound invertase was partially purified by the following procedures; column chromatography on DEAE-Sephadex A-50 and gel filtration on Sephadex G-100.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enzymatic activities of internal and cell wall bound invertase were pH 3.0 and 6$0^{\circ}C$, respectively. Both enzymes were inhibited by HgC1$_2$, AgNO$_3$, MnSO$_4$, and sodium dodecylsulfate. The molecular weights of internal and cell wall bound invertases were estimated to be 310,000 and 61,000, respectively. Oth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both enzymes were similar.

  • PDF

Effects of benzyladenine on the cell wall regeneration of soybean(Glycine max) protoplasts (대두(Glycine max) protoplast의 세포벽재생에 대한 benzyladenine의 영향)

  • Riu, Key-Zung;Park, Chang-Kyu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5 no.6
    • /
    • pp.507-512
    • /
    • 1992
  • A ${\beta}-1,3-glucanase$ of soybean (Glycine max) was isolated, and the effects of benzyladenine(BA) on celluar levels of the enzyme content and activity were studied. The effects of BA on callose content in cell wall and wall regeneration of protoplasts were also studied to show promoting effect of cytokinin in cell wall regeneration and to elucidate action mode of cytokinin. The polypeptide of 21 kD was identified as ${\beta}-1,3-glucanase$, and the cellular content and activity of this polypeptide were decreased by BA treatment. The callose content in cell wall of callus and the wall regeneration of protoplasts were increased by BA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ytokinin promotes cell wall regeneration by inhibition of callose degradation via decreasing ${\beta}-1,3-glucanase$ level in cell.

  • PDF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Mouse Uterine Wall using Monoclonal anti $\beta$-hCG (생쥐 자궁벽에 있어서 $\beta$-hCG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 오선희;최임순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4
    • /
    • pp.448-455
    • /
    • 1992
  • 생쥐에 hCG를 투여한 후 자궁벽에서 hCG와 결합하는 세포의 종류를 판별하고, 그 세포가 hCG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하of 면역세포화학적 염색을 수행하였다. p-hCG에 대한 단일크론항체에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세포는 주로 자궁벽의 자궁근막 삼각과 자궁내막 기저층에 분포하였으며, 세포질에서 양성반응을 일으킨 것으미 관찰되었다. hOG를 투여하고 3, 6, 24시간 후에 각각 자궁벽라 자궁근막에서 양성반응세포를 관찰한 결과, 양성반응세포의 이동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즉, 자궁근막에서 보면, 3시간 후에는 자궁근막의 혈관내부와 주변에서 다수가 관찰되었으며, 6시간 후에는 소수가 관찰되었고, 24시간 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동일 시간에 적출된 자궁벽에서는 6시간에서 가장 많은 수의 양성세포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자궁벽과 자궁근막에서 관찰되는 양성반응세포의 수 사이에는 반비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편, 난소를 적출한 생쥐의 자궁에서는 양성반응세포의 수가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hematoxvlin-eosln 염색 결과 양성반응세포로 추정되는 세포의 세포질에서 호산성과림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양성세포는 GMG(granulated metrial gland) 세포로 판단되었으며, 이 세포의 이동은 스테로이드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인삼 종자 배란의 Cellulase 국재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 김우갑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37 no.4
    • /
    • pp.435-439
    • /
    • 1994
  • 채종 후 성숙한 인삼 종자 배유에서 cellulase의 국재를 rabbit anti-cellulase와 protein A-gold를 사용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Cellulase의 immunogold particle이 전자밀도가 높은 단백질체와 배유세포벽 주변부에 나타났다. 또한 금입자가 세포벽에 균일하게 분포하였고, 제형층에 접한 분해과정 중의 배유세포벽을 따라 나타났다. 그러나 세포벽의 섬유성 물질과 배유세포의 분해물질로 구성된 제형층에서는 금입자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Effect of Mutation in α-COP, A Subunit of the COPI Vesicle, on Cell Wall Biogenesis in Fungi (COPI 소낭 구성체인 α-COP의 돌연변이가 균류 세포벽 합성에 미치는 영향)

  • Lee, Hwan-Hee;Park, Hee-Moon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35 no.1
    • /
    • pp.1-10
    • /
    • 2007
  • The cell wall is essential for the survival and osmotic integrity of fungal cells. It is the framework to which biologically active proteins such as cell adhesion molecules and hydrolytic enzymes are attached or within which they act. Recently it was shown that mutations in ${\alpha}-COP$, a subunit of COPI vesicle, is responsible for the thermo-sensitive osmo-fragile phenotype of fungi, such a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Aspergillus nidulans, and suggested that ${\alpha}-COP$ may play a crucial role in translocation of protein(s) of the ${\beta}-1,3-gulcan$ synthase complex and cell wall proteins, thus may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cell wall integrity.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a-cellular protein translocation machinery, especially the ${\alpha}-COP$ of COPI vesicle, and cell wall biogenesis in fungi. We also discussed potential use of secretory mutants in basic and applied research of the fungal cell walls.

Plant Cell Wall as an Inducer of Pectate Lyase of Erwinia rhapontice (Erwinia rhapontici의 Pectate Lyase를 유도하는 식물 세포벽)

  • 최재을;한광섭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1
    • /
    • pp.129-131
    • /
    • 1996
  • Pecatate lyase(Pel)는 펙틴과 펙틴산을 분해하며, 기주식물의 감염에 관여한다. Erwinia rhapontici에 있어서 기주와 병원균이 병원성과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pectate lyase(Pel) 활성에 미치는 식물체 추출물과 세포벽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균은 glycerol이 포함된 minimal salts(MSG) 배지와 식물체 추출물이 첨가된 MSP 배지에서는 Pel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배추, 상추 잎, 감자 괴경, 셀러리 잎자루, 양파 인경, 당근 뿌리의 세포벽이 첨가된 MSP 배지에서는 Pel의 활성이 검출되었다. Pel을 유도하는 식물 인자는 불용성이고, 열처리에 불안전하였다.

  • PDF

Ultrastructure of Cell Wall in the Suppressor Mutant of Null Pigmentation (SU-NPG) of Aspergillus nidulans (Aspergillus nidulans 색소결핍 억제돌연변이주의 세포벽 미세구조)

  • 정윤신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4 no.1
    • /
    • pp.45-50
    • /
    • 200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ell wall on the pigmentation and branching in Aspergillus nidulans, ultrastructure of cell wall in suppressor mutant of the null pigmentation (SU-NPG, SU602) has been examined. Scanning electron microgrphs (SEM) revealed that the most outer layer of conidia wall peeled off in SU-NPG on day 6 from the complete conidiation. They also showed that hyphal growth and branching were not well developed in SU-NPG.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s (TEM) showed that the plasma membrane was not crenulated and the hyphal wall was thick in SU-NP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ultrastructure of cell wall in SU-NPC might be modified. Cyt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cell wall in SU-NPG was differentiated into Cl, C3, C2 and C4 layer in conidia and H1, H3, H2 and H4 layer in hyphae. C3 layer and H3 layer existed in SU-NPG. The increment of the diameter in SU-NPG hyphae might be caused by the thickness of H3 lay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NPG may have an immature but the differentiated structure for the pigmentation in cell w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