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고사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2초

해송림에 만연된 솔껍질깍지벌레 피해목의 물리 화학적 및 생물학적 구조변화에 관한 연구(III) (Biological and Physiochemical structure change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in coast area of Korea)

  • 김규진;김종완;임기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4-180
    • /
    • 1995
  •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의 수령에 따른 피해율은 7년이상 22년까지의 수령에서 피해율이 높았고, 피해목의 피해정도에 따른 자연부유균의 침해율에서 균사의 확대가 최대에 달하는 발병정도가 7정도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은 100% 고사목에서는 48일이, 80% 이상 고사목에서는 54일이, 40~50% 고사목에서는 약 75일이, 그러나 10% 이하 고사목과 무피해목에서는 80일 이상에서도 발병정도 3~4 정도였다. 피해목의 년륜폭은 무피해목 3.5cm 에 대하여 100% 고사목 0.77, 80% 고사목 0.88, 40~50% 고사목 1.22, 10% 이하 고사목은 1.37로 좁아졌고 피해정도에 따른 단위면적당 세포수도 피해가 심할수록 적어졌고, 함수율은 피해가 심할수록 높았으며, 휨강도는 낮아졌다. 또한 1% NaOH 추출물도 적었다.

  • PDF

가토 허혈-재관류 심근에서의 Bcl-2 단백의 발현 (Expression of Bcl-2 Protein in Ischemia-Reperfused Myocardium of Rabbit)

  • 류재욱;김삼현;서필원;박성식;최창휴;류경민;김영권;박이태;김성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24-927
    • /
    • 1998
  • 연구배경 : 심근의 허혈 또는 재관류에 의한 세포사에는 괴사 이외에 세포고사가 존재함이 알려져 있다. Bcl-2 단백은 세포질에 존재하는 단백으로 세포고사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며 정상심근에서는 발현되지 않으나 심근경색의 급성기에서 발현됨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가토 허혈-재관류 심근에서 Bcl-2 단백의 발현 여부와 재관류의 시간에 따른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 무게가 2.9Kg(1.5-4.8Kg)인 가토 39마리를 이용하였다. 허혈-재관류 모델의 각 실험동물에서 좌전하행지를 30분간 결찰한 다음 1, 4, 8, 12, 24시간, 3, 7일 동안 재관류시켰다. 이후 즉시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다음 심장을 적출하여 심근조직을 얻고 10% buffered formalin에 고정하였다. Bcl-2 단백의 발현은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에서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허혈-재관류 심근 중 12, 24시간, 3일 재관류군에서 Bcl-2 단백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24시간 재관류 심근에서 잘 관찰되었다. Bcl-2 양성염색의 심근세포는 위험부위의 구제심근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Bcl-2 단백은 심근의 허혈-재관류에서 급성기의 비교적 후기에 발현되며, 이는 재관류 초기에서 보다는 후기에서 세포고사를 억제하는데 일부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방사선 조사된 국내 야생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 장기무게 및 비장세포 세포고사 (Organ Weights and Splenocytic Apoptosis in γ-irradiated Korean Dark-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 주현진;최훈;양광희;금동권;김희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168-173
    • /
    • 2015
  • 이 연구에서 후쿠시마 원전 폭발과 같은 사고 발생 시 방사선이나 방사성 핵종에 의한 생물학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야생 동물지표로서 성축 등줄쥐(A. a. coreae)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야외 채집한 등줄쥐를 실험실에서 교배하고 생산된 새끼가 약 40주령이 되었을 때 털 색깔, 외부형태, 두개골, 치아 특성을 관찰하고 분류학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방사선에 대한 신체 반응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방사선 조사(0, 0.5, 1, 2 Gy) 24시간 후에 장기무게를 관찰한 결과 흉선만이 감소하였다. 방사선에 민감한 장기 가운데 하나인 비장 세포고사는 선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지만, 0.5 Gy 조사된 개체에서는 감소하였다. 앞으로 야생 등줄쥐 신체 장기별 방사선 민감도 차이를 세포 및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해석함으로써 방사선 피폭 사고시 신체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 도출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실험적 급성 신우신염이 유발된 이유기 백서에서 methylprednisolone이 TGF-${\beta}1$, 세포고사 및 신반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prednisolone on TGF-${\beta}1$, Apoptosis and Renal Scarring in Experimental Acute Pyelonephritic Weaning Rats)

  • 황수자;성순희;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6권1호
    • /
    • pp.75-84
    • /
    • 2002
  • 목 적 :성장기 신장에서의 급성신우신염은 신반흔으로 진행된다. 신반흔의 형성에는 세균자체보다도 숙주의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의 산물인 TGF-${\beta}1$이 세포 고사를 증가시키고 세포증식을 억제함으로서 섬유화를 촉진한다고 하였다. 이에 저자는 항염증제인 methyl-prednisolone (MP)이 실험적으로 급성신우신염을 일으킨 이유기 백서에서 신반흔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생후 3주(체중 50-60g)된 이유기 Sprague-Dawley 백서의 방광에 삽입된 16 guage의 실리콘 도관내로 107/mL 농도의 E coli (ATCC No. 25922, pili형)를 5 mL씩 주입하여 급성신우신염을 유발하였다. 실험군은 1군 (ceftriaxone 단독투여, n=31)과 2군 (MP와 ceftriaxone투여, n=28)으로 나누었고 대조군 (n=43)에는 약제를 투여하지 않았다. 실험 1주와 3주에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병리 조직학적 소견상 염증점수, 세포고사 지수와 TGF-${\beta}1$ 발현점수 및 섬유화 점수를 관찰하였다. 결 과 : 사망률은 II군이 $21.4\%$였으나 대조군 $41.9\%$, I군 $32.3\%$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염증 점수는 실험 1주에 II군에서 $0.8{\pm}0.87$로 대조군의 $2.3{\pm}0.87$, I군의 $1.7{\pm}0.79$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세포고사 지수는 실험 1주에 II군에서 $2.9{\pm}2.15$로 대조군의 $10.0{\pm}1.95$, I군의 $8.3{\pm}2.53$에 비하여 유의 하게 낮았다 (P<0.05). TGF-${\beta}1$발현도 실험 1주에 II군에서 $0.8{\pm}0.72$로 대조군의 $1.90{\pm}67$, I군의 $1.8{\pm}0.60$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섬유화 지수는 실험 3주에 II군에서 $0.8{\pm}0.63$로 대조군의 $1.8{\pm}0.83$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P<0.05) 결 론 : 성장기 백서의 실험적 급성 신우신염에서 MP는 ceftriaxone단독 투여에 비하여 염증 반응, 세포고사, TGF-${\beta}1$발현, 섬유화를 모두 감소 시켰다. 즉 항생제 외에 항염증제의 병용투여가 신반흔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치료지연등 신반흔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에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단구에서 분비되는 S100A8과 S100A9의 Lyn/Akt/ERK 경로를 통한 정상인과 천식질환 호중구의 세포고사 억제 효과 (S100A8 and S100A9 Secreted by Allergens in Monocytes Inhibit Spontaneous Apoptosis of Normal and Asthmatic Neutrophils via the Lyn/Akt/ERK Pathway)

  • 김인식;이지숙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8-134
    • /
    • 2017
  • Der p 1과 Der p 2는 알레르기 질환과 관련된 집먼지 진드기의 핵심적인 알러젠이다. 본 연구에서는 Der p 1과 Der p 2가 단구에서 S100A8과 S10A9을 분비시키는지를 확인하였고, 분비된 S100A8과 S10A9이 호중구의 세포고사 조절기전에 작용하는지를 연구하였다. Der p 1과 Der p 2는 정상인의 단구에서 S100A8과 S10A9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S100A8과 S10A9은 정상인과 알레르기 질환 호중구의 자발적 세포고사를 억제 시켰다. 호중구의 Lyn, Akt, ERK는 S100A8과 S10A9을 시간별로 처리하였을 때 활성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단구와 호중구에서 Der p 1과 Der p 2의 역할을 규명하였고, 나아가 관련된 알레르기 병인기전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의 인간 유방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 of Guichulpajing-Tang extract on MCF-7 cells)

  • 조성희;박경미;반혜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5-165
    • /
    • 2006
  • 이 연구는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의 증식억제효과 세포독성효과 세포사 유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F12 (DMEM/F12)에 10% fetal bovine serum(FBS;Gibco) 와 항생제를 가하여 만든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고, MCPF-7 세포를 96- well plate에 접종한 후 다양한 농도(0~2000g/ml)의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이 든 배지로 처리하고 다양한 시간(48, 96, 192)동안 배양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각각 MTS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은 Sulforhodamine B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고 세포사 과정에서 MCF-7세포에서의 caspase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여 poly ADP ribose polymerase(PARP)의 절단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에 의한 세포성장 및 독성효과는 시간 및 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포고사과정에서 작용하는 caspase의 전 기질인 PARP 절단량이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처리 농도와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이것은 caspase-3가 MCF-7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서 유방암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 PDF

Berberine에 의한 HepG2 세포의 사멸과정에서 활성기산소와 p38 MAP kinase의 역할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ROS and p38 MAP kinase in Berberine-Induced Apoptosis on Human Hepatoma HepG2 Cells)

  • 현미선;우원홍;허정무;김동호;문연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2호
    • /
    • pp.129-135
    • /
    • 2008
  • Berberine은 전통적인 중의약재로 이용되어지는 isoquinoline alkaloid로 황련, 황백과 같은 식물에서 주로 추출되며, 약리효과로는 항암, 항염, 항균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간암세포에서 berberine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사멸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람의 간암세포인 HepG2 세포에서 berberien의 세포사멸기전에 reactive oxygen species(ROS)와 MAP kinase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Berberine은 HepG2 세포에서 처리 시간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독성효과를 보였으며, $LD_{50}$은 berberine(50 ${\mu}M$) 처리 후 48시간에서 관찰 되었고, 세포고사의 특징인 핵의 응축 및 분절, DNA의 분절이 확인되었다. 또한 berberine에 의해 caspase-3, p53, p38 그리고 Bax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된 반면, anti-apoptotic 신호기전인 Bc1-2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이와 더불어 세포 내 nitric oxide(NO)와 ROS의 생성도 증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 HepG2 세포에서 berberine은 산화적 스트레스인 ROS와 NO의 생성을 유발하고 p38 MAP kinase와 p53의 인산화를 유도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에서 Bcl-2의 감소와 bax의 증가, caspase-3의 활성을 경유하여 DNA의 손상을 통한 세포고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폐암세포주에서 Heme Oxygenase-1의 역할 (The Role of Heme Oxygenase-1 in Lung Cancer Cells)

  • 정종훈;김학렬;김은정;황기은;김소영;박정현;김휘정;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3호
    • /
    • pp.304-313
    • /
    • 2006
  • 연구배경 : Heme oxygenase-1 (HO-1)은 heme의 분해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유도성 효소로 heme을 분해하여 biliverdin, free iron, 및 일산화탄소 등을 생성시킨다. HO-1의 발현은 다양한 스트레스성 자극에 반응하여 생체방어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세포성장이나 세포사 특히 세포고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 신장암, 전립선암, 간암, 육종 등의 고형암에서 발현됨이 알려져 있고, 실제 HO-1 억제제를 투여했을 때 암성장이 억제됨이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폐암세포주들에서 HO-1의 발현유무와 그 역할을 규명하고 나아가 HO-1 억제제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비소세포폐암세포주인 A549, H23, NCI-H157, NCI-H460을 이용하였다. 세포독성은 MTT 방법으로 구하였고, HO-1의 발현은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하였다. HO의 효소활성은 시간당 세포단백질의 mg당 형성된 빌리루빈의 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H_2O_2$의 생성은 horse radish peroxidase(HRP)와 형광물질인 2',7'-dichlorofluorescein(DCF)를 이용한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A549세포에 HO-1 small interfering RNA(siRNA)을 주입하여 유식세포 분석과 caspase-3에 대한 Western blotting을 통하여 세포고사유무를 확인하였다. 결 과 : 비처리 상태에서 다른 세포주에 비해 A549세포의 HO-1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HO-1 활성억제제인 ZnPP를 처리하였을 때 생존율의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소견과 일치하여 ZnPP는 용량의존적으로 HO 의 효소활성 감소와 세포 내 $H_2O_2$ 생성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또한 HO-1 siRNA로 주입된 A549세포는 세포고사를 유도하였다. 결 론 : HO-1은 폐암의 치료에 있어서 새로운 분자생물학적 기전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HO-1에 대한 표적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