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간극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velopment of the Exocarp and Occurrence of Micro-cracking in 'Jinmi' Peaches (복숭아 '진미'의 외과피 발달과 미세균열)

  • Ma, Kyeong-Bok;Chun, Jong-Pil;Kim, Jung-Bae;Do, Kyung-Ran;Cho, Kwang-Sik;Choi, Jin-Ho;Hwang, Hae-Sung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1
    • /
    • pp.1-5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cause of micro-cracking in the exocarp of 'Jinmi' peach (Prunus persica). through the microscopic observation of fruit skin development in 4 varieties such as 'Jinmi', 'Kanoiwa Hakuto', 'Kawanakajima Hakuto', and 'Yumyeong'. Micro-cracking was noted in 59.1% of 'Jinmi', 30.6% of 'Kanoiwa Hakuto', 21.5% 'Kawanakajima Hakuto' and 6.4% of 'Yumyeong', respectively. The development of intercellular spaces, which increased rapidly with the fruit development, was easily observed at 69 days after full bloom. Histological studie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outer epiderm cell layers of 'Jinmi'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three cultivars, and thinner than the 'Kawanakajima Hakuto' and 'Yumyeong'. Moreover, 'Jinmi' exhibited smaller and flatter shapes in the sub-epidermal cell layer than those of the 'Kawanakajima Hakuto' and 'Yumyeong' at harvest season.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cro-cracking of 'Jinmi' fruit skin was due to poor-developed outer epidermis and well-developed intercellular spaces just under exocarp as compared with other varieties.

What are the Possible Roles of CO2 on Stomatal Mechanism? (기공 메커니즘에 대한 CO2의 역할은 무엇인가?)

  • Lee, Joon Sa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0 no.1
    • /
    • pp.130-134
    • /
    • 2016
  • How does $CO_2$ affect on the stomatal mechanism? The mechanism of stomatal opening by $CO_2$ is not clear as it is difficult to see $CO_2$ effect on light-induced stomatal opening. Furthermore, stomata may reac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O_2$. The significance of the possible endogenous rhythms must consider to understand on $CO_2$-related response. It is clear that $CO_2$ has an effect on the accumulation of osmotic materials which determines the degree of stomatal apertures because it is known that stomata open in the condition of the reduced $CO_2$ concentration. However, it is not fully understood how $CO_2$ leads to the stomatal opening. It has been thought that $CO_2$ can not affect on the ion fluxes which determines the increase of osmotic potential in guard cells. However,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guard cell membrane permeability by $CO_2$ have been focused on. There are many reports that $CO_2$ related reactions are dominant when the leaf is exposed to certain a mount of $CO_2$. The hypothesis of the stomatal opening by light is based on the increase of osmotic materials in guard cells including $K^+$, $Cl^-$, sucrose and $malate^{2-}$. It was reported that $CO_2$ induced a big hyperpolarization indicating that $H^+$ was extruded to the cell outside. It was also found that $CO_2$ caused guard cell membrane hyperpolarization in the intact leaf up to 3 or 4 times higher than that of light induced membrane hyperpolarization.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CO_2$ can affect on the change of physic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s on the change of the membrane permeability.

The Change of Podocyte ${\beta}$-Catenin by Puromycin Aminonucleoside (Puromycin aminonucleoside 투여에 따른 사구체 족세포 ${\beta}$-catenin의 변화)

  • Choi, Ji-Young;Ahn, Eun-Mi;Park, Hye-Young;Shin, Jae-Il;Ha, Tae-Su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v.15 no.2
    • /
    • pp.138-145
    • /
    • 2011
  • Purpose : To test whether the expression of ${\beta}$-catenin, a component of podocyte as a filtration molecule, would be altered by puromycin aminonucleoside (PAN) in the cultured podocyte in vitro. Methods : We cultured rat glomerular epithelial cells (GEpC)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AN and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beta}$-catenin by confocal microscope and measured the change of ${\beta}$-catenin expression by Western blotting and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We found that ${\beta}$-catenin relocalized from peripheral cytoplasm to inner cytoplasm, therefore, intercellular separations were seen in confluently cultured cells by high concentrations of PAN in immunofluorescence views. In Western blotting of GEpC, PAN ($50{\mu}g/mL$) decreased ${\beta}$-catenin expression by 34.9% at 24 hrs and 34.3% at 48 hrs, compared to those in without PAN condition (P<0.05). In RT-PCR, high concentrations ($50{\mu}g/mL$) of PAN also decreased ${\beta}$-catenin mRNA expression similar to protein suppression by 25.4% at 24 hrs and 51.8% at 48 hrs (P<0.05). Conclusion : Exposure of podocytes to PAN in vitro relocates ${\beta}$-catenin internally and reduces ${\beta}$-catenin mRNA and protein expression, which could explain the development of proteinuria in experimental PAN-induced nephropathy.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Anatomical Comparisons of Compression, Opposite, and Lateral Woods in New Zealand Radiata Pine(Pinus radiata D. Don) (뉴질랜드산(産) 라디아타소나무의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비교(比較))

  • Eom, Young-Geun;Butterfield, Brian 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2
    • /
    • pp.88-99
    • /
    • 1997
  • 뉴질랜드산(産) 라디아타소나무의 수간(樹幹) 및 지재(枝材)에 발달(發達)되어 있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을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 주사전자현미경(走射電子顯微鏡) 그리고 투과전자현미경(透過電子顯微鏡)을 이용하여 조직학적(組織學的) 및 구성요소(構成要素)의 수량적(數量的) 측면(側面)에서 비교(比較), 검토(檢討) 하였다. 조직학적(組織學的)인 면(面)에서 볼 때 춘재(春材)로부터 추재(秋材)로의 가도관(假導管) 이행(移行)은 대응재(對應材)나 측면재(側面材)보다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훨씬 더 점진적(漸進的)이었다. 편심생장(偏心生長)으로 인해 연륜폭(年輪幅)은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가장 컸고 그 다음이 측면재(側面材) 및 대응재(對應材)의 순이었으며 추재솔(秋材率) 역시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보다 컸다. 횡단면상(橫斷面上) 가도관(假導管) 형상면(形狀面)에서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원형(圓形)을 나타내는 반면 대응재(對應材)와 측면재(側面材)는 각형(角形)을 띠고 있었다. 또한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에서만 가도관(假導管)의 세포벽(細胞壁)에 나선강(螺旋腔)과 나선열(螺旋裂) (helical cavity and check), 슬릿(slit)형(形) 벽공구(壁孔口)가 존재(存在)하였으나 $S_3$층(層)이 결여(缺如)되어 있었으며 굴곡(屈曲)된 선단(先端)과 불규칙(不規則)한 형상(形狀)의 가도관(假導管) 및 세포간극(細胞間隙)이 자주 관찰(觀察)되었다. 직교분야(直交分野) 벽공(壁孔)은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가문비나무형(型) 그리고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는 소나무형(型) 벽공(壁孔)을 나타냈다. 수량적(數量的) 특성(特性) 면에서 볼 때 가도관(假導管)의 길이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가장 짧고 측면재(側面材)가 가장 길었으며 가도관(假導管)의 벽(壁) 두께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대응재(對應材)나 측면재(側面材)보다 두꺼웠다. 수직수지구(垂直樹脂溝)는 대응재(對應材)가 그리고 수평수지구(水平樹脂溝)(방추형(紡錐形) 방사조직(放射祖織))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쪽이 많았다. 결론적(結論的)으로 보면 라디아타소나무의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는 근본적으로 대응재(對應材)나 측면재(側面材)와는 상이(相異)한 특성(特性)을 지녔으나 대응재(對應材)와 측면재(側面材)는 거의 유사(類似)한 특성(特性)을 공유(共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Effect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on Lipid Metabolism in Orotic Acid Model Rats (발효당귀가 Orotic acid 유발 흰쥐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 Ahn, Hee-Young;Park, Kyu-Rim;Cho, Young-S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4 no.7
    • /
    • pp.743-749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A. gigas) on lipid metabolism in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model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dietary groups (n=6 per group): a normal (N) group fed a standard diet only, OA control, OA acid plus 5% (w/w) A. gigas (OAG), and OA plus 5% (w/w) fermented A. gigas (OFAG). OA treatment induced enlargement of the liver and accumulation of hepatic triglycerides. The consum ption of fermented A. gigas reduce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the liver and increased the serum lipid concentrations to normal levels. Furthermore, OA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triglyc eride concentrations without diminishing mRNA expression of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 n (MTP) and protein disulfide isomerase (PDI). Hepatic MTP mRNA expression increased 1.08-fold in response to OA treatment, despite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the liver relative to that of the normal group. OFAG administration was slightly lower as compared to the OA treatm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MTP mRNA expression is not always correlated with hepatic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the OA-induced fatty liver model. However, PDI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OAG and OFAG groups (1.62-fold and 1.63-fold,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The hepatocytes in the OA group contained numerous large fat droplets. These were slightly reduced in the OFAG group.

Immunolocalization of Wound-Inducible Insoluble Acid Invertases in Pea (Pisum sativum L) (완두콩(Pisum sativum L.) 상처에서 유도되는 불용성 산성 인버타제의 면역조직화)

  • Kim, Donggiun;Lee, Taek-K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9
    • /
    • pp.6425-6431
    • /
    • 2015
  • Invertase, that hydrolyzes sucrose into glucose and fructose, plays a great role in carbohydrate reallocation between the photosynthetic source tissue and various sink tissues. Invertase also occurs in a variety of isoforms for various functions in plants. Insoluble invertases were extracted only in buffer solution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salt. Within these classes, acid invertase has an optimum activity at acidic pH (pH 4-5). Induction of insoluble acid invertase (INAC-INV) in leaf, stem, and root tissues in response to physical wounding has been investigated. To detect the localization of INAC-INV within the plant, immunolocalization has been performed. In this study, the accumulation of INAC-INV was noticeable to reach maximum levels on 72 hr after mechanical injuries. INAC-INV was induced in wounded leaves 3 times more than control leaves. Immunolocalization results showed that INAC-INV accumulated in wall appositions and intercellular spaces. INAC-INV was also localized at sieve cell walls in phloem tissues close to the site of wounding.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ed that INAC-INV induction upon wounding injuries can play a role on responses to the high energy demand for wound healing process.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hyllostachys pubescens by Age (국내산 맹종죽의 죽령별 해부학적 특성)

  • Jeon, Woo-Seok;Byeon, Hee-Seop;Kim, Nam-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6 no.3
    • /
    • pp.231-240
    • /
    • 2018
  • Bamboo is one of the major biomass resources that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fast growing, easy cultivation, short rotation, and a relatively lower price. In this study,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Moso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by age from one-year-old to five-year-old were examined by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lso, the crystalline properties such as relative crystallinity and crystallite width were investigated by an X-ray diffraction method. In one-year-old bamboo xylem, a few vascular bundles showed missing bundle sheath in near the intercellular space. Moreover, one-year-old bamboo had the shortest fiber length and the smallest values in vessel diameter, width of vascular bundle, and thickness of inner layer. One-year-old bamboo also showed the smallest values in the crystallinity and crystallite width. Near epidermis samples had longer fiber length and greater vascular bundle spacing than near pith samples. Relative crystallinity and crystallite width near the epidermis were also higher than near the pith. This stud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to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one-year-old and two-year- or more old Moso bamboos. It is concluded that the structural differences by bamboo age can be used to differentiate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and mature bamboo.

THE EARLY EFFECTS OF SODIUM FLUORIDE ON THE RAPID PALATAL EXPANSION IN GROWING DOGS (유성견의 정중구개봉합 급속확대시 투여된 불화나트륨의 초기 효과에 관한 연구)

  • Lee, Hyun-Kyung;Chung, Kyu-Rhim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8 no.1 s.66
    • /
    • pp.85-9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sodium fluoride on the bony repair and regeneration processes after the rapid palatal expansion in the growing dogs. Eighteen dog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y were in the late mixed dentition. The rapid Palatal expansion was undertaken in all the animals($180^{\circ}$ turn/day) for ten day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on 0, 15 and 45 days after the finish of expansion. One mg NaF/kg of body weight/day were given orally to the experimental group. Blood samples were drawn before and after expansion and the se겨m calcium, phosphate and alkaline phosphatase level were measured. The undecalcified bone section of midpalatal suture area was made, and observed under the light microsco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ay after expansion,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ere prominent and the new bone formation started at the edges of the two palatal plates bodering the midpalatal suture in both groups. Especially, the newly formed osteoid were very extensive and the osteoblasts lining the osteoid were very active in the experimental group. 2. At fifteen days after expansion, the active osteoblasts lining the osteold at the surface of trabecular bony spicules and active new bone formation were observed in the both groups. However, the cellular activity and new bone formation were more promin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3. At forty five days after expansion, the continuous osteoid and new bone formation and active osteoblast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se phenomena were not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In the control group, the numerous osteoclasts were adjacent midpalatal suture and the bony remodeling process was begun.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level was maintained highly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decreased in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author reached the conclusion that sodium fluoride has the stimulation effects on the osteoid production of the osteoblasts during the healing process after the rapid Palatal expansion more continuously.

  • PDF

Comparison of Protective Effects of Young and Ripened Persimmon Extracts against Inflammatory Stress Induced by Deoxycholic Acid in Small Intestinal Cells (Deoxycholic Acid 유도 장세포 염증성 손상에 대한 어린감과 성숙감 추출물들의 보호 효과 비교)

  • Kim, Leeseon;Kwon, Oran;Kim, Ji 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4 no.10
    • /
    • pp.1583-1587
    • /
    • 2015
  • Bile acids are endogenous metabolites that aid in the digestion and absorption of ingested fat and fat-soluble vitamins. However, high concentrations of deoxycholic acid (DCA) in the colon are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colorectal cancer. In the present study, the binding of persimmon extracts to DCA in order to decrease inflammatory stress induced by DCA in a small intestinal epithelial cell line, Caco-2, was investigated. Young and ripened persimmons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DW), ethanol, and acidic ethanol. Further, DW extract residue was re-extracted with acidic ethanol. Of the obtained extracts, acidic ethanol extract of young persimmon showed the highest bile-acid binding capacity. Moreover, acidic ethanol extract of young persimmon significantly inhibit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Caco-2 cells stimulated with DCA and prevented significant reduction of trans-epithelial electric resistance. Based on these results, acidic ethanol extract of young persimmon can be used as a functional ingredient to enhance gastrointestin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