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종실록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funeral of Ui-Kyoung Princ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the Joseon dynasty (조선(朝鮮) 세조대(世祖代) 의경세자(懿敬世子) 상장례(喪葬禮) 구성과 특징)

  • Cho, yong cheol
    •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Folklife
    • /
    • no.45
    • /
    • pp.127-160
    • /
    • 2014
  • 조선은 의례를 국가통치수단으로 적극 활용한 국가였으며, 이는 "세종실록" "오례" 와 "국조오례의"로 대표된다. 그런데, "세종실록" "오례" 와 "국조오례의"에서 국왕 상장례 절차는 모두 수록하고 있는 반면 세자의 상장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조선의 세자 상장례는 조선 최초의 세자 상장례인 의경세자 상장례를 참고하여 진행되었다. 의경세자 상장례의 기본 절차는 국왕 상장례를 따르고 있었으나, 같은 국상이라 하더라도 세자는 왕위계승자의 신분이었기 때문에 국왕과 차별을 두어야 했다. 따라서 세자 상장례는 국왕 상장례에서 한 등급 낮추어 진행되었다. 의경세자의 상장례는 비록 국상 차원에서 이루어졌지만 그 절차 속에 일반 종친 혹은 대부 상장례의 요소들이 확인된다. 이것은 세자의 지위가 사망을 통해 변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국왕과 세자의 차별을 부각시켜왔던 세조대의 고민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소규표에 관한 연구

  • Min, Byeong-Hui;Kim, Sang-Hyeok;Lee, Gi-Won;An, Yeong-Su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25.1-25.1
    • /
    • 2011
  • 우리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소규표의 크기와 설치 위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종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40척의 규표(이하 대규표)는 1432년(세종 14)과 1437년(세종 19) 사이에 제작되어 간의대 서쪽 옆에 세웠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반면 소규표에 대해서는 그동안 잘 알려진 바가 없었다. 그러나 이순지의 <제가역상집>과 기타 여러 문헌 연구를 통해 소규표도 조선전기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명종실록>에는 동지와 보름에 대규표와 소규표를 이용하여 해와 달의 그림자길이를 관측한 기록이 있다. 이 연구에는 이러한 소규표 관련 문헌들의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명종실록>의 기록과 현대 천체역학적 계산을 통해 소규표의 표의 길이는 전통적인 규표의 크기인 8척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소규표는 경복궁 간의대 주변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향후 규표 복원 연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Korean Ginseng in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세종실록』을 통해 본 고려인삼)

  • Joo, Seungjae
    • Journal of Ginseng Culture
    • /
    • v.3
    • /
    • pp.11-37
    • /
    • 2021
  • Korean ginseng is the one of the most famous medicinal herbs globally and has long been a representative item of East Asian trade, including across China and Japan. Since Joseon (1392-1910) ginseng trade was entirely controlled by the state,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re a valuable resource that can shed light on the history of the ginseng industry at that time. By studying the subsection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世宗實錄), when ginseng was used even more widely, we assess the purpose and scale of its trade in the 15th century, identify its original listing in the geographical appendix, develop a distribution map, and explore similarities to current ginseng cultivation area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1418-1450), ginseng was sent to China as a tribute 101 times, with a combined weight of 7,060 kilograms, with less than one-third of that amount given to Japan and Okinawa. It was used to cover the travel expenses of foreign envoys and servants, but this can be seen to gradually decrease after the regnal mid-term, primarily due to a decrease in the amount of ginseng being collected. At the time, there were 113 areas of naturally growing ginseng as listed in the records' geographical appendix, including 12 recorded in the 'tributes' category: Yeongdeok-gun, Yeongju, and Cheongsong-gun in Gyeongsangbuk-do; Ulju-gun and Ulsan in Gyeongsangnam-do; Jeongeup, Wanju-gun, and Jangsu-gun in Jeollabuk-do; Hwasun-gun in Jeollanam-do; Goksan-gun and Sinpyeong-gun in Hwanghaebuk-do; Jeongju and Taecheon-gun in Pyeonganbuk-do; and Jaseong-gun and Junggang-gun in Jagang-do. A total of 101 places are recorded in the 'medicinal herbs' category, located throughout the mountains of the eight Joseon provinces, except the islands. In comparison with current ginseng cultivation sites, many of these historical areas are either consistent with or adjacent to contemporary locations. The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was compiled in the early days of the king's reign (1432) when there was a lot of wild ginseng. The appendix is a valuable resource that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growing ginseng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The apparently natural habitats in the south, where ginseng is not currently cultivated, could be candidates for the future. Moreover, areas in the north where ginseng has not been grown, except Kaesǒng, could be a good alternative under sustainable inter-Korean exchange should cultivation sites move north due to climate warming.

A Study on the Explanation of the Title of 'Siyongjeongdaeeopbo' in Daeakhubo Volume 2 (『대악후보』 권2 시용정대업보(時用定大業譜) 편명(篇名) 해설 고찰)

  • Lee, Jong-Sook;Nam, Sang-Soo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9 no.4
    • /
    • pp.80-95
    • /
    • 2016
  • This study sought to disclose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erroneous explanation of the title of the musical script 'Jeongdaeeop,' which is Jongmyojeryeak(Jongmyo Shrine ritual music), shown in Daeakhubo, Korea's treasure No.1291. Daehakhubo imitated and adopted expressions like 1 Byeon(change) and 1 Pyeon(edition), shown in the music written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the foundation of Jongmyojeryeakbo music. Originally, 'Jeongdaeeop' record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consisted of 6-Byeon and 13-Pyeon compositions, except Inlet and Outlet tunes. King Sejo, however, while rearranging this music into Jongmyo Shrine Mumuak music, reduced it to 9 tunes. And, when registering such arrangements in the musical scripts in the Annuals of King Sejo, he did not list the explanation of the titles as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He just listed the nine tunes. In contrast to the musical scripts in the Annals of King Sejo, in Daeakhubo the details of Byeon and Pyeon under the nine tune titles are listed as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This study revealed that Byeon and Pyeon expressed in Daeakhubo were the results of arbitrarily transcribing the different Byeon and Pyeon of 'Jeongdaeeop' and 'Balsang'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into the revised 'Jeongdaeeop'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Thus, under the titles of each score in 'Jeongdaeeop' of Daeakhubo are written the explanations of the muscial scores shown in both 'Jeongdaeeop'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and 'Balsang'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Thus, the story of the son Ikjo is described even ahead of the story of the father Mokjo, and stories total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ovements are described, creating overall errors. Such errors were presumably caused by powers that created the false musical script 'Sokakwonb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and disguised it as a traditional musical script.

A Study on the Il-seong-jeong-si-ui (日星定時儀) in King Sejong Era

  • Kim, Sang Hyuk;Mihn, Byeong-Hee;Lee, Yong Sa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63.1-63.1
    • /
    • 2016
  • 일성정시의는 표준시보장치인 보루각루의 시각을 교정하는 천문시계로 알려져 있다. "세종실록"에 기록된 김돈(金墩,1385~1440)의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의 서(序)와 명(銘)에는 기기의 상세한 구조와 치수, 그리고 사용법을 소개하고 있다. 우리는 실록의 기록을 분석하여 세 종류의 일성정시의로 구분하였다. 또한 Needham et al. (1986)의 연구와 비교하여 일구백각환, 성구백각환, 주천도분환, 계형 등의 사용법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해시계와 별시계로써의 일성정시의의 시간 측정 정밀도를 제시하였다.

  • PDF

탐방 - 한글종합문화공간 '한글틔움'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8 no.10
    • /
    • pp.98-101
    • /
    • 2009
  • 오는 10월 9일은 564주년 한글날이다. 한글날은 세종대왕의 한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연구 보급을 장려하기 위하여 정한 날이다. 1926년 11월 4일(음력 9월 29일), 세종실록에 이 날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날로 기록되어 있어, 조선어학회에서 이 날을 제 1회 가갸날로 정했다. 이듬해인 1927년 명칭을 '한글날'로 고치고 계속 음력으로 기념하다가, 1940년 7월 양력으로 바꿔 10월 9일을 한글날로 확정하였다. 한글날을 맞아 산돌커뮤니케이션(대표 석금호)에서 지난 2009년 6월 개관한 한글틔움을 방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