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대간 차이

Search Result 33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한국의 가족가치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 Eun, Gi-Su;Lee, Yun-Seo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107-132
    • /
    • 2005
  • 이 연구는 2003년에 실시된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가족모듈과 국제사회조사기구(ISSP)의 2002년 가족모듈을 이용해 한국의 가족가치를 국제적인 수준에서 비교 분석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최근 여러 가치와 태도가 급변하고 있다고 믿어지고 있다. 그 결과 세대간의 가치 및 태도의 차이가 크고, 이는 사회내 세대간 갈등의 뿌리라고도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은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이런 시점에서 한국의 여러 가지 중 가족가치의 영역에서 세대간 가치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지, 국제적인 수준에서 보면 우리나라의 세대간 가족가치 차이가 크다고 볼 수 있는지를 kurtosis라는 지표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결혼, 동거, 이혼 및 부부의 성역할에 관한 가치 및 태도를 분석해 본 결과 한국인의 가족가치는 가톨릭이 지배적인 필리핀의 가족가치와 비슷할 정도로 매우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가치관의 변화는 경제발전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한국은 한국보다 경제발전 정도가 크게 뒤져 있으면서 보수적인 가족가치관이 지배적인 필리핀과 가족가치의 수준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세대간 갈등의 원인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가족가치의 세대간 차이가 큰지 kurtosis를 이용해 분석해 본 결과, 한국보다 오히려 일본의 세대간 가치관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세대간 가치관의 차이가 있지만, 외국과 비교해보면 한국의 세대간 가치관 차이가 더 두드러진다고는 보기 힘들다.

FOCUS - 복지와 성장에 대한 세대간 인식 차이 조사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199
    • /
    • pp.28-34
    • /
    • 2013
  •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에 따른 복지 재정 고갈 문제가 청년 실업 확대와 맞물리며 세대간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대간 복지 관련 인식이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간극을 정확하게 분석해야만 향후 복지 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다. 이에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4월 10일부터 16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복지 관련 세대간 인식차이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여기서는 현대경제연구원 장후석 연구위원의 '복지에 대한 세대간 인식 차이 조사' 보고서를 통해 복지에 대한 세대별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시사점에 대해 살펴본다.

  • PDF

Effects of the Intergenerational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Emotion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Young Children (세대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과 유아의 정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Lee, Eun-Sook;Pak, Hyun-Goo;Kim, Mi-Ok;Pak, Chun-Ho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3
    • /
    • pp.484-491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intergenerational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 and self-esteem for the elderly and young children. When the pre- and post-treatments of the elderly was compared, both the control and treatment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 In self-esteem of the elderly the control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contrary, treatment showed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When a comparison was made on the pre- and post-treatment of young children, the control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contrary, treatment showed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In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both the control and the treatment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generational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can improv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lderly's self-esteem.

세대간 장단 차이에 따른 운율 변화 연구

  • 김선주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2000.03a
    • /
    • pp.198-204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의미를 분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해오던 장/단의 상실로 인해 운율자질들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길이의 대립적 기능의 소실로 인해 젊은 세대에서 액센트를 구성하는 길이의 기능이 상실되고 있지는 않는지 알아보았다. 이와 더블어 길이, 세기, 고저의 운율행동 양상이 세대간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실험은 장/단의 변별력을 지니는 60대 화자와 변별력을 상실한 20대 화자를 비교하여, 운율자질들의 수치를 측정하고 높은 수치의 음절 위치를 기술하였다. 실험결과 두 세대 모두에서 길이는 상대적 돋들림을 보여 액센트를 결정하는 자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율자질들의 성격에 있어서는 세대간에 차이를 보였는데, 길이에 있어서는 60대에 비해서 20대의 돋들리는 정도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세기와 고저는 60대 화자들에게서는 이렇다할 경향성을 발견할 수 없었지만 20대화자들에서는 2번째 음절의 수치가 고정적으로 높아지는 일정할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The differences of dietary behaviors, dietary life consumer education related current situations·competencies and dietary lifestyles between baby-boom and echo generations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식행동, 식생활관련 소비자교육 현황·역량,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차이)

  • Park, Jong O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1 no.2
    • /
    • pp.153-16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dietary behaviors, dietary life consumer education related situation competencies, and dietary lifestyles between baby-boom and echo generations by gender.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16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and 2,474 subjects (baby-boom generation 1,304; echo generation 1,170) were selected. Results: The baby-boom generation more frequently ate meals at home with family than the echo generation, whereas the echo generation had meals more frequently at cafeterias, cafes, bakeries, convenience stores and with friends or colleagues than the baby-boom gener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etary life related consumer education were observed between generations, and experience with food related consumer education and food related promotional/events was very low in general. Baby-boomers received their primary dietary information from surrounding people, whereas the echo generation received it from broadcasting. The information use competence was lower for the baby-boom generation (3.29) than echo generation (3.35), although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ealthy dietary life compete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hereas the baby-boom genera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practice competence than the echo generation. Additionally, the baby-boom generation was more likely to pursuit health and less likely to be concerned with convenience and taste quality than the echo generation. Conclusion: The frequencies of meal eating places, drinking, and eating-out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enerations, while the participation ratios of food related consumer education/events, attitudes toward education, and information use competence did not. Additionally, knowledge regarding healthy dietary life competencies did not differ, whereas practice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mong dietary lifestyles, the baby-boom generation showed higher pursuit of health and lower pursuit of convenience and taste quality than the echo generation.

30년전 우리는(1) - 1974년 1월

  • Lee Yong-Hun
    • KLA journal
    • /
    • v.45 no.1 s.344
    • /
    • pp.54-56
    • /
    • 2004
  • 키케로는 ‘역사는 지나간 시간을 입증하는 목격자다. 즉 역사를 통해 현실을 밝아지고 추억은 생명력을 얻고 일상사의 지침을 제공받으며 태고의 소식들을 전해 받는다’고 했다. 또한 ‘역사는 현재와의 끝임 없는 대화’라고 한 역사가도 있고, ‘역사는 끊임없는 도전과 응전’의 과정이라고 말한 역사가도 있다. 그리고 크로체는 ‘모든 역사는 현대사일 뿐’이라고 했다. 어찌되었든 역사를 모르는 사람이나 민족은 오늘이라고 하는 현실이나 미래를 열어 가는데 있어 바른 방향이나 방법을 제대로 찾기 어렵다는 생각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뿌리가 얼마나 중요한가. 자기의 역사를 제대로 아는 것, 그것이 오늘날을 잘 살아가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일 지도 모르겠다. 우리도서관계는 어떨까? 요즘과 같이 세대간의 단절이 점점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 도서관 내에서도 직원들 간에 세대 차이를 느끼지 않을 수 없을 것이고, 그러한 세대 차이는 결국 도서관 운영의 합리성이나 직원들간 연대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세대간 대화의 촉진은 이제 조직의 구성과 운용에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 ‘도서관문화’는 이번 월간으로 전환하는 시점에 지난 한 세대 전 우리 도서관계는 어떠했는지를 되짚어보는 지면을 마련했다. 30년 전후의 도서관 사정을 되짚어보는 것은 그 때의 사정과 정신을 오늘에 되살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삶의 지침이 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새로운 미래를 열어 가는데 필요한 정신적 근거를 찾아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articipation Motiv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Identity Negotiation between Generations of Overseas Koreans in the Korean National Sports Festival (전국체육대회에 참가하는 재외동포의 세대 간 참가동기, 참가경험 및 정체성교섭에 관한 연구)

  • Lee, Young-I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5
    • /
    • pp.513-520
    • /
    • 2020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motiv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identity negotiation between generations of overseas Koreans in the National Sports Festival(NSF).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60 overseas Koreans who took part in the 100th NSF held in Seoul in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first generation participated in the NSF because of visiting family and maintaining Korean identity, the second generation took part in the event for self-realization. Second, the second generation had more negative experiences than the second generation during the NSF. Third, while the first generation negotiated more identity with origin, the second generation had more identity with settlement.

A study on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oy Breeds between Young and Older Generations (청년 세대와 중장년 세대 간 토이 견종 인지도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

  • Shin, Yeun-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2
    • /
    • pp.8853-8860
    • /
    • 2015
  • This study is to identify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oy breeds between young and older generations by investigating their understating on pet dogs, difference in pet preference and reasons behind their choice of dog breeds, recognition and preference by toy bree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37 youths and 60 elderlies in medium/large cities and rural areas.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with ${\chi}^2$-test to se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ce of p<0.01 in recognition of pet/companion animals and toy breeds, and in pet dog preference and reasons of dog choice, along with p<0.05 in recognition and preference by toy breeds. Thus, this research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requires to widely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oy breeds throughout generations due to widespread preference for such breeds and to continue research on change factors in their level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the right choice when he/she decides to raise a toy dog.

The Polarization of Public Opinion and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Polarization between Pusan and Gwangju (지역과 세대 간 여론양극화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과 광주 지역을 대상으로)

  • Park, Sun-Hee;Han, Hye-Kyoung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39
    • /
    • pp.178-223
    • /
    • 2007
  • The polarization of public opinion by regionalism is one of biggest problems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olarization of public opinion between two typical cities representing regionalism and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polar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olarization of public opinion is based on the perceived public opinion rather than the real public opinion. The polarization of public opinion is greater with regional issue than national issue. In general, citizens of Pusan have a conservative bias in estimating other Pusan citizens' opinion and a liberal bias in estimating Gwangju citizens' opinion, whereas citizens of Gwangju have a looking-glass perception in estimating other Gwangju citizens' opinion and a conservative bias in estimating Pusan citizens' opinion.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real public opinion and the perceived opinion across three generations. But within each generation, the tendency of public opinion polarization is found between regions and is not shown to change over generations.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individual's opinion and region are highly predictable variables that explain the perceived public opinion and the perception bias such as false consensus and pluralistic ignor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