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계 재해

Search Result 38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oil Moisture Retrieval of Mountainous Area on Korean Peninsula using Sentinel-1 Data (Sentinel-1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산지에서의 토양수분 복원 연구)

  • Cho, Seongkeu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2-102
    • /
    • 2019
  • 토양수분은 수문 및 기상 현상의 주요 요인으로 가뭄, 홍수 및 범람과 같은 자연 재해와 관련이 깊은 인자이다. 이러한 토양수분의 관측 기술 중 위성 데이터를 활용한 원격탐사 기술은 광범위한 지역의 관측이 용이하고 지점이 아닌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토양수분의 관측에 유리하다. 특히 높은 해상도의 위성기반 토양수분 데이터는 토양수분의 변동성이 큰 지역의 수문, 기상학적 현상을 보다 자세히 분석할 수 있게 해주며 가뭄 및 범람과 같은 수자원 관련 재해를 정확하게 분석하는데 요구된다. 이로 인해 최근 Sentinel-1 위성에서 운용중인 Synthetic Aperture Radar(SAR) 데이터를 이용한 매우 높은 공간해상도(10m~1km)를 지니고 있는 토양수분데이터 생산에 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Sentinel-1 위성을 이용한 토양수분 데이터 복원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주 감악산 설마천 유역에서의 Sentinel-1 위성의 SAR 데이터를 이용한 고해상도 토양수분 데이터를 복원하고자 한다. 파주 설마천 유역은 감악산 일대로 경사가 심하고 식생이 두터운 산악지형이다. SAR를 이용하여 산지에서 신뢰성 있는 토양수분 자료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가장 큰 오차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사와 식생을 고려하여야 한다. 먼저 표면 경사의 영향의 경우 SAR 센서의 레이더 입사각과 수치 표고 모델을 이용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다음 과정으로 표면 경사가 고려된 Sentinel-1 데이터의 후방산란계수와 Landsat-8 데이터 및 지점 토양수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생에 따른 후방산란계수의 거동을 Water Clou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Water Cloud Model은 토양위의 식생의 수분이 후방산란계수에 혼동을 주는 구름과 같이 작용한다고 가정하고 식생수분을 후방산란계수와 레이더 입사각 및 식생지수를 통해 계산하는 모델이며 이를 이용하여 토양수분 복원에 있어 식생의 영향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식생과 표면 경사를 고려하여 복원된 토양수분 데이터를 설마천 유역의 지점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고 다른 위성기반 토양수분 데이터 및 강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반도 산지에서의 SAR 데이터를 이용한 토양수분 복원 기술의 기초가 마련될 것이며 이를 통해 산지가 대부분인 한반도의 토양수분 거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이후에는 연구결과분석을 통한 산지에서의 고해상도 토양수분 복원 알고리즘을 분석, 보완하고 한반도에서의 SAR 기반 토양수분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Mapping and Evaluation of Flood Vulnerable Area by Logistic Approach (Logistic 접근법에 의한 홍수취약지구의 매핑 및 평가)

  • Lee, Jae Yeong;Keum, Ho Jun;Kim, Beom Jin;Kim, Hyu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5-215
    • /
    • 2019
  •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 도시지역 확장으로 인한 불투수지역의 확대, 배수시설의 용량부족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 토양도, 토지이용도 등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우선 강우가 지표면에 도달하게 되면 지표면의 경사, 토양의 특성, 토지이용 등에 영향을 받아 침투되지 못하고 표면에 고이게 되는데 이를 유출생성지도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표면유출수가 지표면의 경사, 지표면의 요철(凹凸), 도로나 철도 등의 인공선형축 등에 영향을 받아 흐르기 쉬우며 이를 유출이동지도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동된 유출수가 고이기 쉬운 저지대, 지표면의 요철 등으로 인해 누적되는 유출누적지도로 표현하였다. 유출생성지도는 이동, 누적지도의 입력자료가 되어 상류의 유출생성의 정도가 하류지역에 영향을 주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유출이 동지도와 누적지도가 실제 침수흔적도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서울시 침수흔적도와 비교하였다. 기존의 재해 지도를 얻기 위해서는 강우량을 조사하여 수치모형에 입력함으로써 1차원 또는 2차원의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지형 정보만을 가지고 취약지구를 선정하기 때문에 유역전체 또는 시, 도 단위로 광범위한 연구 영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Spatial MCDM 등을 통해 여러 Raster 자료를 하나의 지표로 나타내기보다 유출수가 생성(또는 이동, 누적)되기 쉬운 지역을 1, 그렇지 않은 지역은 0으로 표현하는 이분법적 분석을 통해 가중치설정과 모호한 경계의 처리 때문에 사용자 및 자료에 따라 취약한 지역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표면 유출수로 인해 침수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을 홍수취약지구로 선정하여 침수재해 중점관리 우선순위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velopment Plan of Compact Satellite for Water Resources and Water-related Disaster Management (수자원·수재해 중형위성 개발 방안)

  • HWANG, Eui-Ho;CHAE, Hyo-Sok;YU, Wan-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4
    • /
    • pp.218-23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id - range low - orbit water disaster monitoring satellite development plan to revolutionize water disaster management infrastructure through securing an independent and leading observation infrastructure and to secure safety against disaster prepared for climate change. Water and water disaster satellites should be able to detect changes in the surface of the ground and observe hydrological factors during daytime, nighttime, and bad weather. In addition, independent technology development should be possible. To do this, we selected C-band image radar payload considering domestic technology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suggested detailed development plan. In this way, it is reflected in the national next-generation mid-satellite 2-phase project plan to secure the basis for building a disaster monitoring system related to wide-area water.

Regional drough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natural drought index (자연가뭄지수의 지역별 가뭄특성분석)

  • Kim, Seon-Ho;So, Jae-Mi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9-149
    • /
    • 2016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가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뭄은 홍수와 더불어 그 피해가 가장 큰 자연재해 중 하나이며, 장주기적이고 광역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구체적인 발생시기, 장소,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가뭄극복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가뭄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례로 2014~2015 가뭄으로 소양강 댐은 역대 최저수위를 기록하였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제한급수, 농업용수 부족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처럼 가뭄으로 인한 피해는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더욱 빈번할 것이라는 보고가 있어 가뭄해석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가뭄해석에는 일반적으로 가뭄의 시작, 끝, 지속기간, 발생간격, 누적심도 등을 사용하며, 이를 가뭄특성인자라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시설물의 영향을 배제한 자연가뭄지수(Natural Drought Index, NDI)를 이용하여 국내 5개 행정구역의 지역별 가뭄특성을 분석하였다. 자연가뭄지수의 산정을 위해 입력자료는 3개월 누적강수량, 누적유출량, 평균토양수분량을 사용하였으며, 강수량은 국내 ASOS 59개 지점 자료, 유출량 및 토양수분량은 지표수문해석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였다. 가뭄특성 분석기간은 1977~2012년이며, 가뭄특성인자는 가뭄의 시작, 끝, 지속기간, 발생간격을 활용하였다. 과거 가뭄피해사례와, SPI, SRI, SSI 및 NDI의 가뭄특성인자를 비교하였으며, 정량적 비교를 위해 평균오차, 평균절대오차를 사용하였다. 가뭄특성인자 분석 결과 NDI는 가뭄의 시작과 끝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가뭄의 지속기간은 NDI, 발생간격은 NDI와 SPI가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가뭄지수는 단일변량 가뭄지수에 비해 지역적 가뭄특성을 정확하게 재현한다는 점에서 추후 가뭄감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Method for Preventing Workers' unsafe Behavior in Chemical Plant (화학공장의 근로자 불안전상태 예방을 위한 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 Baek, Ju Hong;Lim, Dong-Hui;Kim, Min-Seop;Seol, Ji Woo;Yoo, Byung Tae;Ko, Jae W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6 no.3
    • /
    • pp.1-9
    • /
    • 2022
  • The causes of accidents occurring in chemical plants vary, but 96% of industrial accidents occurring worldwide are caused by workers' unsafe behavior.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has announced 20 elements of workers' anxiety-warning behaviors that occur on multiple occasions at industrial sites in order to warn them of the risk of accidents caused by workers' anxiety-driven behavior, and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workers' anxiety-driven behavior should be controlled under stress In this study, major types of unsafe behavior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n the accident investigation history of domestic workspaces in order to find out how workers can manage their unsaf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ajor anxiety war behavior, the root cause of causing anxiety war behavior was analyzed using the Swiss Cheese Model, and each root cause management method was proposed.

Data Quality Assessment and Improvement for Water Level Prediction of the Han River (한강 수위 예측을 위한 데이터 품질 진단 및 개선)

  • Ji-Hyun Choi;Jin-Yeop Kang;Hyun Ah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7 no.1
    • /
    • pp.133-138
    • /
    • 2023
  • As a side effect of recent rapid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the frequency and scale of flood disasters are increasing worldwide. In Korea, the water level of the Han River is a major management target for preventing flood disasters in Seoul, the capital of Korea.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water level prediction of the Han River based on machine learning, we perform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related dataset and propose data preprocessing methods to improve it. Specifically, we improve the dataset in terms of completeness, validity, and accuracy through missing value processing and cross-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we conduct a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random forest and LightGBM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posed data improvement method on the water level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Han River.

Analysis of carbon reduction effect of efficient water distribution through intelligent water management (지능형 물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물분배의 탄소저감 효과 분석)

  • Ha Yo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6-436
    • /
    • 2023
  •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높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와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하는 도시의 집중 현상으로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홍수, 태풍, 폭염 및 폭설 등의 자연재해 발생 빈도 및 규모를 증가시켜 피해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인구 및 시설들이 집중해 있어 도시의 집중 현상은 이러한 재해에 더욱 취약한 구조가 됨에 따라 피해의 규모를 가중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신국에 의무를 부여하는 교토의정서(1997년) 채택에 이어,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파리협정(2015년)을 채택하였고 2016년 협정이 발효되었다. 파리협정의 목표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2℃보다 아래로 유지하고, 나아가 1.5℃로 억제하기 노력하는 것을 강제하는 것으로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탄소중립사회로의 전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물부족 및 수실오염과 같은 도시의 수자원 문제 해결을 위해 IoT 기반 센서 및 네트워크 기반 수자원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도시 수자원 시설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체 수자원 확보 및 수요 중심의 물 관리를 통해 효율적인 물 배분이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스마트 물 관리에 따른 대체 수자원 확보 및 효율적 물 배분이 탄소 저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은 세종 6-4구역으로 LID 특화지구로 조성되었으며 1,000 세대의 주민이 생활하는 공동주택이다. 물 순환(LID) 시설에서 확보된 물을 물 공급 시설과 연계하여 공동주택에서 활용함으로써 감소된 상수 사용량을 온실가스 배출량으로 환산하여 탄소 저감량을 계산하였다. 실제 주민들(1,000세대)이 사용하고 있는 상수량 데이터와 전력거래소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활용하였으며 물순환(LID) 시설로 확보하여 대체할 수 있는 상수량은 10%로 가정하였다. 연구대상 지역(1,000세대)의 연간 상수공급량은 331,603m3이며, 연간 전력사용량은69,637kWh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31.963tCO2eq이며, 온실가스 저감량은 3.2tCO2eq로 산정되었다. 추후 LID 시설에 대한 상수 대체량과 온실가스 저감효과 정량화가 필요하다.

  • PDF

Flood Damage Risk Assessment Using Rainfall-Damage Regression Models (강우-피해 회귀모형을 이용한 홍수피해위험도 평가)

  • Lee, Jong Seok;Park, Geun A;Kim, Jae Deok;Choi, Hyun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58-358
    • /
    • 2021
  • 자연재해 중 홍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인적 및 물적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지구온난화로 가속화되고 있는 기후변화는 더욱 극심한 호우와 태풍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2020년 장마는 역대 가장 긴 장마로 기록되는 등 변화된 기상현상으로 인해 홍수피해의 빈도와 강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상기후로 인한 홍수피해에 대한 대비와 적응을 위해 위험도 평가, 예·경보시스템, 대피체계 등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그 중 홍수피해에 대한 위험도 평가는 과거 홍수피해자료를 바탕으로 지역별 피해양상이나 상대적인 피해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홍수피해 저감대책 수립에 중요한 비구조적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행정구역별 과거 강우특성 및 홍수피해자료를 분석하여 강우조건에 따라 예상되는 홍수피해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제공하는 재해연보에서 행정구역별 최근 20년 동안의 호우 및 태풍으로 인한 피해자료를 수집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특성 자료를 구축하고, 홍수피해가 발생한 기간에 대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시강우량 자료를 수집하여 홍수피해 사상별 다양한 강우특성자료를 구축한다. 구축된 자료를 이용하여 행정구역별 강우-피해 상관분석을 수행하고, 회귀분석 과정에서 이상치가 존재할 경우 회귀모형의 적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상치를 제거하고 분석하여, 회귀식의 결정계수 및 유의성 검정결과를 바탕으로 3가지 원인별(호우, 태풍, 종합), 2가지 홍수피해별(인적, 물적) 강우-피해 최적 회귀함수를 선정한다. 최종적으로 강우조건에 따른 홍수피해 규모를 예측하고, 이를 통하여 행정구역별 상대적인 홍수피해위험도를 평가한다. 본 연구를 통해 행정구역별 강우조건에 따른 예상 홍수피해위험도를 분석하여 홍수피해에 대한 저감대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on of Snow Damage and Proposal of Snow Damage Threshold based on Historical Disaster Data (재난통계를 활용한 대설피해 예측 및 대설 피해 적설심 기준 결정 방안)

  • Oh, YeoungRok;Chung, Gunhu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2
    • /
    • pp.325-331
    • /
    • 2017
  • Due to the climate change, natural disaster has been occurred more frequently and the number of snow disasters has been also increased. Therefore,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predict the amount of snow damages and to reduce snow damages. In this study, snow damages over last 21 years on the Natural Disaster Report were analyzed. As a result, Chungcheong-do, Jeolla-do, and Gangwon-do have the highest number of snow disasters.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developed using the snow damage data of these three provinces. Daily fresh snow depth, daily maximum, minimum, and average temperatures, and relative humidity were considered as possible inputs for climate factors. Inputs for socio-economic factors were regional area, greenhouse area, farming population, and farming population over 60. Different regression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aily maximum snow depth. As results, the model efficiency considering all damage (including low snow depth) data was very low, however, the model only using the high snow depth (more than 25 cm) has more than 70% of fitness. It is because that, when the snow depth is high, the snow damage is mostly caused by the snow load itself. It is suggested that the 25 cm of snow depth could be used as the snow damage threshold based on this analysis.

Evaluation on Geological Structures to Secure Long-term Safety of Nuclear Facility Sites (원자력시설물 부지의 장기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지질구조 평가)

  • Jin, Kwangmin;Kim, Young-Seo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1 no.2
    • /
    • pp.149-166
    • /
    • 2018
  • Many large earthquakes have continuously been reported and resulted in significant human casualties and extensive damages to properties globally. The accident of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in Japan was caused by a mega-tsunami, which is a secondary effect associated with the Tohoku large earthquake (M=9.0, 2011. 3. 11.). Most earthquakes occur by reactivation of pre-existing active fault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aleoseismological study have greatly been increased. The Korean peninsula has generally been considered to be a tectonically stable region compared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Taiwan, because it is located on the margin of the Eurasian intra-continental region. However, the recent earthquakes in Gyeongju and Pohang have brought considerable insecurity on earthquake hazard. In particular, this region should be secure against earthquake, because many nuclear facilties and large industrial facilities are located in this area. However, some large earthquakes have been reported in historic documents and also several active faults have been reported in southeast Korea. This study explains the evaluation methods of geological structures on active fault, fault damage zo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thquake and active fault, and respect distanc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election of safe locations for nuclear facilities and to earthquake hazards and disaster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