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형 립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4초

휠 베어링용 밀봉 시일 설계를 위한 시일 립의 밀착력 예측 (Prediction of the Reaction Force for Seal Lip Design with Wheel Bearing Unit)

  • 김기훈;유영면;임종순;이상훈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165-172
    • /
    • 2001
  • Wheel bearing units were almost exclusively used for car front wheel, where the two ball rows are directly side by side with integrated rubber seal. The seal is of important for wheel bearing units due to the ad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 mud and splash water. The seal of wheel bearing units was designed to have geometry with multi lips, which elastic lip contacts and deforms with bearing. The equation of reaction force for deformed lip as cantilever beam was previously used for seal lip design. But it's result was not useful because deflection of the beam differs from lip's. In this study, deformed shape of the lip was assumed to and order function which is more similar to lip deformation and made the equation for reaction force prediction. The Reaction forces from each other equations were compared with results by FEA to prove usefulness of new equation.

  • PDF

초미립 숫돌에 의한 경면연삭 (Mirror Surface Grinding Using Ultrafine Grit Wheel)

  • 정해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45-51
    • /
    • 1996
  • Silicon wafers are required to be finished under the roughness of nanometer order for the subsequent chip fabrication processes. Recently, the finish grinding techniques have been researched for the improvement of accuracy and surface roughness simultaneously. Among them, the grinding technique using fine abrasive has been known as an easily accessible method. However, the manufacture of the fine grit grinding wheel has been very difficult because of the coherence of the grits.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the ultrafine grit silica($SiO_2$) grinding wheel by the combination of the binder coating and the vacuum forming techniques is reported. And, the mechanochemical removal effects of the grinding conditions are discussed. Finally, a successful result of Ra O.4nm. Rmax 4nm in the ground surface roughness of a 6 inch silicon wafer was achieved.

  • PDF

기계적 합금화한 ODS NiAI의 이차 재결정화 거동 (Secondary Recrystallization Behavior in Mechanically Alloyed ODS NiAI)

  • 어순철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6권12호
    • /
    • pp.1248-1256
    • /
    • 1996
  • Ni 및 AI단원소 분말을 혼합하여 attrition mill을 사용하여 분위기 속에서 기계적 합금화 NiAI 기 산화물 분산강화 금속간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말은 여러 가지 다른 미세조직을 얻기 위하여 각기 다른 공정으로 열간성형을 하였으며, 연이어 이차 재결정 조직을 얻기 위한 가공열처리(thermomechanical treatment)를 실시하였다. 이차 재결정이 일어날 수 있는 선수조건으로서의초기 미세조직과 가공열처리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정상 결정립 성장의억제와 접합조직의 존재가 이차 재결정을 일으키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판명되었다. 이 재료에 있어서, 잔류 변형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결정립을 미세화 할 수 있는 특정 공정하에서 항온 열처리 후 이차 재결정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모의 사용후핵연료의 특성에 미치는 제조변수의 영향 (The Effects of Fabrication Variable on the Characteristics of Simulated Spent Fuel)

  • 강권호;류호진;배정현;송기찬;양명승
    • 에너지공학
    • /
    • 제10권3호
    • /
    • pp.278-28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경수로 사용후핵연료를 모사하는 모의 핵연료 제조 공정 중 소결체 특성에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주로 성형압, 소결 온도 및 시간이 소결체의 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성형압은 1 ton/$\textrm{cm}^2$에서 4ton/$\textrm{cm}^2$, 소결 온도는 167$0^{\circ}C$, 173$0^{\circ}C$, 178$0^{\circ}C$, 소결 시간은 4시간, 8시간, 24시간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성형밀도는 성형압의 1/3승에 비례하며, 이론 밀도의 약 90.5%에서 99.6%까지의 소결 밀도를 갖는 모의 핵연료를 제조하였다. 결정립 성장지수와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2.5와 287.97kJ/mo1 이었다.

  • PDF

세라믹 분말 성형체의 크리프 치밀화 및 결정립 성장의 해석 (Analysis for Creep Densification and Grain Growth of Ceramic Powder Compacts)

  • 권영삼;김기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51-258
    • /
    • 1993
  • A constitutive model is proposed to analyze creep densification and grain growth of ceramic powder compacts. The creep strain rates for powder compacts are obtained from constitutive equations proposed by Rahaman et al. and Helle et al. The grain-growth rate is obtained by assuming time, grain size, and strain rate as its internal state variables. the proposed constitutive model is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for alumina compacts obtained by Venkatachari and Raj for sinter forging and by Son et al. for hot pressing.

  • PDF

결정립 제어 레오로지 소재의 성형공정과 기계적 성질 (Forming Proc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rain Controlled Rheology Material)

  • 서판기;강충길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3-466
    • /
    • 2005
  •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heocast A356 aluminum alloy by electromagnetic stirring are studied. In the electromagnetic stirring, main parameters are stirring current and stirring time. Stirring current is ranged from 0 A to 60 A, and stirring time is 20, 40, and 60 sec. In the rheocasting, injection velocity and applied pressure are changed. In this paper, the effect of stirring current and stirring time on the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 PDF

마그네슘 합금의 온간 동적재결정 구성방정식 최적화 (Material model optimization for dynamic recrystallization of Mg alloy under elevated forming temperature)

  • 조윤희;윤종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63-268
    • /
    • 2017
  • 상용 마그네슘 합금의 경우, 상온에서 낮은 성형성을 갖기 때문에, 온간 성형 조건 하에서 성형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그네슘 합금은 온간 성형 과정 중에 동적 재결정(dynamic recrystallization, DRX)이 발생하여, 초기 결정립 사이즈가 급격하게 작아지며, 내부 전위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유동 응력 곡선은 세 단계의 복잡한 변형 경화 및 연화 현상을 보이게 된다. 첫 번째 구간에서는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가공 경화에 의해 응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두 번째 구간에서는 동적 재결정 현상에 의한 가공 연화로 응력이 갑작스럽게 감소한다. 세 번째 구간에서는 가공 경화와 가공 연화 사이의 평형에 의해, 응력이 일정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성형 온도 $300^{\circ}C$, 변형률 속도는 0.001, 0.1, 1, 10/sec에서 AZ80 합금의 구성 방정식의 18개 변수들을 체계적으로 최적화하며, 유동 곡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식에 대해 제안하려고 한다. 또한 AZ80외에 AZ61도 추가적으로 최적화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최적화 방식의 성능을 증명하였다.

자기펄스압축성형법 및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의 연속공정을 이용한 $95%Bi_2Te_3-5%Bi_2Se_3$ 소결체제조 및 열전특성평가

  • 이철희;김효섭;김택수;구자명;홍순직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2-48.2
    • /
    • 2011
  • 열전재료는 열과 전기에너지의 상호 변환이 가능한 재료로 이를 이용한 응용제품의 개발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Bi_2Te_3$계 합금의 경우 상온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지수를 가지는 재료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Bi_2Te_3$계 합금은 일방향응고법으로 제조되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고, 특히 C축의 Van der Waals 결합으로 인해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 분말야금법을 이용하여 기계적강도를 높이고, 격자산란에 의한 열전도도의 감소로 성능지수를 높일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속응고공정인 가스분무법을 이용하여 n-type의 $95%Bi_2Te_3-5%Bi_2Se_3$분말을 제조하였고, 이 재료의 경우 성형조건에 따라 조직이 쉽게 변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해 단시간동안 고압으로 성형가능한 자기펄스압축성형법(Magnetic Pulsed Compaction)을 이용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성형체는 밀도를 증가시키고 결정립성장을 억제시킬수 있는 방전플라즈마소결법(Spark Plasma Sintering)을 이용하여 소결체로 제조되었으며, 각각의 공정이 열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OM (Optical Microscope) 및 SEM (Scaning Electric Microscope)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였고 XRD (X-Ray Diffraction)를 이용하여 상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상온에서 경도를 측정함으로서 공정조건에 따른 기계적강도를 비교하였다. Seebeck계수는 시편의 양단에 온도차를 주어 발생하는 기전압을 측정하여 계산하였고, 전기비저항은 4point probe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전하이동도 및 전하농도는 Hall측정으로부터 구하였고 열전도도를 측정하여 종합적인 열전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단조용 자동차 부품 T/P Housing과 Valve의 열처리에 따른 조직 및 변형 속도에 관하여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Transformation Rate of Heat Treatment of Forged TAP Housing and Valve for Automotive Parts)

  • 유형종;이호진;이건영;최진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155-158
    • /
    • 2003
  • 자동차 부품 T/P housing과 valve에 사용되는 S20C 계열의 강에 Mn과 V 첨가에 따른 냉각속도의 영향과 조직의 거동, 단조 시 변형속도와 경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냉각속도를 증가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에 의한 변태 지연에 의해 변태개시 온도가 저하되었다 미소한 Mn 함량의 증가는 냉각속도를 민감하게 하여 변태개시 온도를 감소 시켜 결정립 미세화를 일으킨다. 또한, 성형압이 클수록 내부보다 표면이 큰 경도값이 나타났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전곡립의 압출성형공정 분석 (Analysis of Whole Grains Extrus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신해헌;박보선;이혜림;최문정;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86-692
    • /
    • 2001
  • 전곡립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하여 현미, 현미찹쌀, 보리, 현미율무를 온도 $110{\sim}130^{\circ}C$, 수분함량 $15{\sim}25%$, 스크류속도 $200{\sim}300rpm$의 조건에서 압출성형하고, 반응표면분석법(RSM)을 이용하여 최적조건을 분석하였다. 압출공정에 의한 전곡립의 수용화 효과는 수분용해지수(WSI), 농도(수율), 고유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수율과 고유점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새로운 무차원군의 최적인자인 $([\eta])$를 적용하여 최적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각 조건별 실험결과를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 종속변수들에 대한 결정계수$(R^2)$$0.936{\sim}0.984$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의 경우에는 수용화 수율, 현미찹쌀은 고유점도, 보리와 현미율무는 수용화 수율과 고유점도에 대해서 모델식이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독립변수 중에서는 수분함량이 가장 큰 영향을 보였다. 최적인자인 $([\eta])$에는 고유점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현미의 경우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현미의 경우를 제외하고 최적화 인자로 설정한 $([\eta])$의 최적값을 찾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임계점은 스크류 속도는 약 300rpm, 수분함량은 20%, 온도는 $120^{\circ}C$인 지점에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