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취자본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족배경,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의 영향

  • Kim, Hyeon-Ju;Lee, Byeong-H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1
    • /
    • pp.125-14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를 통해 재생산되도록 만드는 변수들의 영향을 밝히려고 하였다. 가족의 사회경제적 변수, 극히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이 독립적으로 또는 가족배경을 맥락으로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중고등학생 총 2771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변수의 영향력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력은 증가하였다.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변수와 가족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력이 동시에 존재하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이 거의 없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변수 중에서 아버지의 직업과 자산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력은 상당부분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에 흡수되는 경향이 있으나 가족의 자녀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학업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임을 발견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자녀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어려우며 사회자본이나 문화자본과 함께 결합된 사회경제적 지원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기여함을 발견하였다.

A Study on the Effect of Accomplished Capital of the Elderly on Digital Capital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Digital Device Use Attitudes (노년층의 성취자본이 디지털자본 획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Kim, Bong-Seob;Ko, Jeong-Hyeu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9 no.2
    • /
    • pp.106-126
    • /
    • 2022
  • The digital divide issue is re-emerging in step with the rapid progr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Recently, the discussion of the digital divide is expanding to the point that the difference in digital access and use competency deepens economic and social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Notably, the phenomenon of the exclusion and alienation of the elderly from society is a serious matter to be addressed. Accordingl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practical help in minimizing the digital divide through its understanding among the elderly. To this end, both the accomplished capital accumulated and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life and their attitudes toward technology in relation to digital competence capital by the elderly were examined in three dimensions. Thi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esults of the '2020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The target group of the analysis comprised 653 seniors aged 65 and abo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gital competence capital among the elderly was affected by both various types of accomplished capital such as educational, income, social, and emotional capital and digital device use attitude.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among the elderly.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 on Grit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도가 그릿(Grit)에 미치는 영향)

  • Jeong, Eun;Jung, Mi-R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9
    • /
    • pp.309-31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ces on grit in the nursing stud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46 nursing students in the H university located Y city and April 16 2018 to April 20 2018.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Grit was found to be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edict 21.1% of gr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nursing students.

The Impacts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가정외보호아동의 사회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Kang, Hyun-Ah;Woo, Seok-Jin;Kang, Hyun-Ju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50 no.5
    • /
    • pp.25-38
    • /
    • 2012
  • Drawing on social and cultural capital theory, the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We collected data from 494 children living in out-of-home services, including institutional care facilities, foster care homes, and group home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In addition, the IV (instrumental-variables) estimation was utilized to rule out the possibility of reverse causality. The level of children's social capital was measured through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friends, parental monitoring, etc. The level of children's cultural capital was measured by their cultural activities, such as going to museums,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hildren'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lacement history in out-of-home service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We found that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and delinquency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hildren. Cultural capital, but not social capital, positively affecte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hildre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practice were discussed.

The Differentiation of: Reproduction of Educational Capital and Gated City (서울의 거주지 분리 심화와 교육환경의 차별화 - 학력자본 재생산의 차별화와 빗장도시 -)

  • 최은영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88-8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부모세대의 사회ㆍ경제적 지위에 따라 결정된 거주지에 따라 자녀세대의 학력자본이 차별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고학력으로 대표되는 사회ㆍ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의 거주 비율이 높은 분리된 거주지에서 재생산되는 학력자본은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모두 매우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과거에 비해 대학진학률이 많이 높아졌지만 4년제 대학 진학으로 제한해 지역별 학업 성취를 비교해 보면 지역별 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중략)

  • PDF

Introduction To A New Created Scientific Discipline: Management Of allSelves' Enlightenment and Empowerment(MOSEE) and Spirit Resource and Asset (새로운 과학적 학문분야를 창시 소개함: 깨달음경영학과 인간의식의 자원 및 자산화)

  • Rhee, Jae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63-264
    • /
    • 2017
  •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은 이윤의 극대화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인간을 하나의 자원으로 간주하여 도구화 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인간소외(alienation) 및 부의 양극화 현상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오늘날 경제성장에 따른 물질적 풍요와 번영이 인류사회에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통념은 '물질적 풍요 속의 정신적 빈곤'이라는 문제제기에 의해 그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자본주의가 인류사회의 행복과 공동번영에 기여하는 경제체제로서 역할을 다하려면, 자본주의 역시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진화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 시대에 걸 맞는 자본주의의 대안을 논의하고자, 저자 이재윤이 창시한 깨달음경영학(MOSEE;Management Of allSelves' Enlightenment and Empowerment)의 새로운 과학적 학문연구를 통해 새로운 실현성 영역을 추구하는 동시에, 깨달음경영의 새로운 5차원 요소인 영적 자원 및 자산(SRA:Spirit Resource and Asset)과 본질적으로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창조경영(MOC:Management Of Creation)에 대한 연구 및 인간의식 성장 방법론에 대하여 발표 하고자 한다. 이로써 4차 산업을 넘어서 21세기 신 문명 5차 산업 경영혁명을 성취 한다. 따라서 깨달음경영학(MOSEE)에 관한 고유한 철학, 고유한 탐구 영역, 이론, 방법, 기법, 도구, 운영 원리 및 활용 분야 등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 PDF

Knowledge-based Economy and the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Focusing on Korea.US.Japan.China (지식기반경제와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 한.미.일.중을 중심으로)

  • Kim, Seon-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10
    • /
    • pp.158-171
    • /
    • 2008
  • Measuring intellectual capital efficiency is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for all who are involved in knowledge-based economy, at macro as well as at micro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and analyze the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and value added intellectual coefficient for Korea, US, Japan, and China during the period 2000-2005.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US shows both the highest value creation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1.480 and the highest value added intellectual coefficient, 6.585. It holds rank one according to GDP per capita, $41,541 in 2005. In Korea, the coefficient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efficiency is 1.321 while that of value added intellectual capital is 4.733. However, the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efficiency of Japan, 1.271 is in opposition to the created high of vale added, 5.695. Finally, China shows that the coefficient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efficiency is 1.438 while that of value added intellectual capital is 3.815.

SPECIAL REPORT 3. 1970년대 시멘트산업 - 건설한국의 역군으로 자리매김하다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198
    • /
    • pp.45-65
    • /
    • 2013
  • 1970년대 중후반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시작과 함께 시멘트산업은 다시 도약기를 맞게 된다. 정부의 지속적인 공업화 정책에 따라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을 위한 도로, 항만, 댐 건설 등에 주력하면서 시멘트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 특히 1968년 경부 고속도로의 착공 이후 공장신설과 신규 주택건설 등 각 부분에서 수요가 급속도로 늘어나 시멘트 생산시설의 확충도 급진전됐다. 이렇듯 1970년대에는 우리나라가 여러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도전을 통해 시련을 극복하고 마침내 획기적인 국력신장을 성취한 도약의 시기였다. 특히 1970년대를 거치며 이룩한 우리나라의 괄목할만한 성장은 세계를 놀라게 하는 것이었다.

  • PDF

한국의 소득분포 부균등도 추정에 관한 연구

  • 윤기중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v.6 no.1
    • /
    • pp.31-46
    • /
    • 1977
  • 소득분포의 불균등도에 관한 측정문제는 오래 전부터 논의되어 왔었다. 그 논의의 배경은 자본주의경제가 성취해 감에 따라 19세기 말부터 필연적으로 소득이나 부의 분포상태가 왜곡되어가는 데 있었다. 즉 경제가 발전해감에 따라 사람과 사람사이에 소득이나 부의 차가 생기게 되어 이에 대한 원인과 성질을 구명하려 하는데서 비롯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관해서 먼저 전제되어야 할 것은 소득이나 부의 분포상태를 파악하는 것이고 그 다음으로 그 차에 대한 원인과 성질을 해명해야 함에 제기된다. 그리고 그러한 해명의 토대 위에서 재분배정책이 제기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Baby Boomer's Self-Efficacy, Social Capital, and Economic Prepar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베이비부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본, 경제적 준비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Jong-Ryul;Heo, Chul-M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0
    • /
    • pp.41-50
    • /
    • 2020
  • This study is about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baby boomers who started retirement, starting with the second phase of life.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focusing on factors that will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baby boomers. In order to test the study model, a questionnaire was surveyed on baby boomers, and among them, 204 people, which was valid, was used for analysis. The hypothesis test wa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AMOS 23 statistical package.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self-efficacy and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 Economic prepar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 Social capital was found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baby boomers'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the other hand, achievement experience and role model learning experience were the antecedent variables affecting self-efficacy. As a result of testing their relationship, achievement experience and role model learn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