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적계수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7초

사이클 해석을 통한 GHP 성능 예측 (Prediction of GHP Performance Using Cycle Analysis)

  • 차우호;최송;정백영;김병순;전시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1호
    • /
    • pp.15-21
    • /
    • 2015
  • 가스 엔진 히트 펌프는 가스 엔진의 축동력으로 압축기를 구동하는 시스템으로 전력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엔진 폐열을 활용하기 때문에 하절기와 동절기에 전력 Peak 를 억제하는 공조기로 주목을 받고 있는 제품이다. 제품 개발 시 시스템 성능 예측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초기 설정한 운전점에서 열교환기 및 압축기의 특성을 반영하여 반복 계산을 수행하면 최종적인 운전점을 도출할 수 있고, 가스 엔진의 성능 데이터를 활용하면 가스 엔진 히트 펌프의 정확한 효율을 예측할 수 있다. 난방 성능을 예측할 때에는 엔진 폐열이 시스템에 공급되기 때문에 외부 열을 흡입하는 구간과 엔진 폐열을 흡입하는 구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25 마력 가스 엔진 히트 펌프의 성능을 예측한 값은 실제 측정한 값과 비교하였을 경우 5%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며 향후 성능 예측 모델을 구성되는 부품 특성을 반영하면 오차의 폭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언더필/칩 계면의 응력 해석 (Analysis of Stresses Along the Underfill/chip Interface)

  • Park, Ji-Eun;Iwona Jasiuk;Lee, Ho-Young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45
    • /
    • 2002
  • 열하중에 의한 언더필/칩 계면의 응력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먼저 실리카 입자의 부피 분율이 언더필 재료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가지 재료 세트에 대하여 실리카 입자의 부피 분율에 따른 영계수, 포아슨비, 영팽창 계수를 Mori-Tanaka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언더필과 칩이 형성하는 edge및 wedge에 대한 singularity를 계산하였다. 그 다음에는 앞에서 계산한 재료물성치를 가지고 실리카 입자의 부피 분율에 따른 언더필/칩 계면의 응력을 몇 가지 플립칩 형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언더필이 균일한 재료라는 가정과 플립칩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는 재료들이 선형탄 성적거동을 하고 등방성을 보이며 그들의 성질이 온도에 무관하다는 가정 하에 다섯 가지의 플립칩 어셈블리 모델이 고려되었다.

  • PDF

간호학과 신입생의 심리자본이 학습만족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freshmen)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55-64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학습만족에 대한 심리자본의 융합적 영향을 확인하여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164명의 자료를 SPSS 21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계수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심리자본과 학습만족은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고, 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희망' 점수가 가장 높았다. 심리자본과 학습만족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r=.665, p<.001),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 학교성적(${\beta}=.311$), 학교생활만족도(${\beta}=.191$) 및 심리자본(${\beta}=.522$)이 학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F=37.651, p=.004). 학습만족에 대한 변수들의 설명력은 57.4%이었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학습만족 향상 프로그램 개발 시 이들 영향요인을 반영함이 필요하지만, 일개 대학 간호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영향요인 (Convergent Influenc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윤주희;윤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279-285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간호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IRB승인일로부터 2019년 11월 30일까지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SPSS 23 version). 연구 결과, 공감능력은 성별과 양의 상관관계(r=.179, p=.029),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적과 음의 상관관계(r=-.231, p=.005), 진로준비 행동은 실습병원 수와 양의 상관관계(r=.178, p=.030)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이 좋을수록(β=.19, p=.020) 진로준비 행동이 증가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및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관련성을 확인했으며, 진로준비행동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임상현장에 취업을 앞둔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할 것을 제언한다.

지리적환경조건에 따른 수도 보통기 재배시기 추정에 관한 연구 (Geographic Factors and the Modeling of Rice Culture under Normal Season in Korea)

  • 임무상;정근식;조재연;박래경;배성호;함영수;이은웅;최현옥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8-127
    • /
    • 1984
  • 한국 수도작의 재배시기 추정식을 유도하기 위하여1962∼1980년의 지역적응시험성적을 이용하여 몇가지 분석을 한 결과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상, 지리조건 및 재배시기 상호간에는 고도의 상관이 있었고 기상요인 중에서는 최저평균기온이 재배시기에 가장 크게 작용하나 기타요인들도 관여함을알 수 있었다. 지리적 요인 중에서는 위도, 고도 및 경도의 순으로 기상과 경종시기에 관여하였다. 2. 반종부터 적정출수까지의 전생육일수는 Japonica 품종군의 경우가 115일, I/J품종군은 111일 이었고 육묘기간은 각각 44일과 42일 이었다. 3. 위치결정요소인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이용하여 파종기, 이앙기, 적정출수기 및 안전출수. 한계기 추정식을 유도한 결과 편회귀계수와 중상관계수가 모두 유의성을 보여 재배시기추정식은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 그러나 본 연구분석에 Topology 효과는 고려되지 않아서 특수지역에의 적용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특수생태형을 가진 품종이나 특이한 재배법에의 적용은 좀더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erformance Comparison of Neural Network and Gradient Boosting Machine for Dropout Pre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Hyeon Gyu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49-58
    • /
    • 2023
  • 학생들의 중도 탈락은 대학의 재정적 손실 뿐 아니라, 학생 개개인 및 사회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 학습을 이용하여 대학생들의 중도 탈락 여부를 예측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의 중도 탈락 여부를 예측하기 위해 DNN(Deep Neural Network)과 LGBM(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을 이용한 모델을 구현하고 성능을 비교하였다. 학습 데이터로는 서울 소재 중소규모 4년제 대학인 A 대학의 20,0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학적 및 성적 데이터를 학습에 이용하였다. 원본 데이터의 140여개의 속성 중 중도 탈락 여부를 나타내는 속성과의 상관계수가 0.1 이상인 속성들만 추출하여 학습하였다. 두 모델의 성능 실험 결과, DNN과 LGBM의 F1-스코어는 0.798과 0.826이었으며, LGBM이 DNN에 비해 2.5% 나은 예측 성능을 보였다.

구기자 품종의 실용형질 및 지골피수량 (Yearly Vari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Main Characters of Tea Tree(Lycium chinense Miller) Varieties)

  • 이상래;권병선;이종일;이유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2-448
    • /
    • 1985
  • 구기자 육종의 지골피수량에 대한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전력, 표현상관, 환경상관 및 경노계수에 대한 연차간변동을 알고자 1979년, 1980년, 1981년, 3개년간 생산력검정 시험성적을 이용하여 연차간 유전통계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구기자의 실용형질중 경장, 1차분지장의 유전분산이 가장크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으며 기타의 형질도 유전분산이 환경분산보다는 컸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다. 2. 3개년간 전품종들을 Pool로 한 분석에서 연차와 품종 및 이들의 교호작용은 경장, 1차분지장, 주경과실수의 형질들이 연차간과 품종간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으며 연차와 품종간의 교호작용에서도 경장의 형질에서 만이 높은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 광의의 유전력에서는 모든 형질들이 유전력이 매우 높았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다. 4. 유전상관에서는 지골피의 수량과 경장, 1차분지장, 주경과실수간에는 정의 상관이며 연차간변동도 적었고 지골피와 근중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높았다. 5. 경노계수의 연차간변동은 대체로 적었으나 3개년간 모두 지골피수량에 직접효과가 크게 미치는 형질은 경장, 1차분지장 및 근중이었다.

  • PDF

다양한 조사료 급여조건에서 한우 암소 경산우의 에너지분배 및 메탄배출량 (Energy Balance and Methane Production of Hanwoo Cows Fed Various Kind of Roughage)

  • 오영균;김도형;문상호;박재현;남인식;;김경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3-287
    • /
    • 2014
  • 본 연구는 다양한 사료들을 유지수준에서 섭취한 한우 암소 경산우의 에너지 대사 시험의 결과로 부터 섭취에너지 균형과 메탄배출계수를 구하였다.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위주의 혼합목건초 섭취 7두, 혼합목건초의 30~50% 를 볏짚으로 대체한 12두, 혼합목건초와 볏짚에 밀기울 (wheat bran) 1 kg 추가급여한 6두, 총 25 개체의 대사실험 성적을 분석하였다. 실험축은 10일간 대사틀에서 개체별로 각각의 실험사료 적응 및 7일간 분 뇨 시료채취 후, indirect respiratory chamber 1대에 교대로 수용되어 1일간 호흡대사 실험이 이루어졌다. 혼합목건초 단독 급여구와 비교하여 나머지 두 처리구의 평균 건물섭취량은 약 11%, 15%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gross energy (GE) 섭취량도 차이가 없었다. 총 섭취에너지 중 메탄으로 손실된 에너지 비율인 메탄전변율(methane conversion rate, Ym)과 메탄배출계수(emission factor, kg/head/year)도 각각 0.055~0.062 (평균 0.058)와 33.6~38.6(평균 35.2) 범위로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다. 본 실험에서는 혼합목건초를 볏짚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밀기울 추가급여에 의한 메탄발생량 차이가 없었으나, 메탄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양질 조사료 급여효과 연구는 축산현장의 온실가스 감축 사업 참여가 가능한 분야이기 때문에 추가 연구들을 통해 시급히 증명되어져야 된다고 판단된다.

초음파 진단장치를 이용한 한우 암소의 산차 및 지역별 산육특성 구명 (Studies on Live-carcass Trait of Parity and Region in Hanwoo Cows Measured by Real-time Ultrasound)

  • 하재정;김종복;이창우;송영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255-262
    • /
    • 2009
  • 본 시험은 초음파 진단장치를 이용한 한우 번식우의 산차 및 지역별 산육특성에 관한 연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강원도 6개시 군 한우 번식우 1,386두를 공시하여 초음파 진단장치(HS-2000, Japan)를 이용하여 배최장근단면적(LMAU; Longissimus Muscle Area Ultrasound), 등지방두께(BFTU; Back Fat Thickness Ultrasound), 근내지방도(MSU; Marbling Score Ultrasound), 둔근지방두께(P8 FTU; P8 Fat Thickness Ultrasound)를 측정하였다. 성적 조사 및 자료의 조정 후 각 한우의 출생년도-계절, 지역 및 산차별 산육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차별 산육특성을 비교했을 때 산차가 증가할수록 산육 형질은 6산까지 증가하다가 7산차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지역별 산육특성을 비교하면 모든 지역에서 고도의 유의적(p<0.01)인 차이를 보였으며 화천지역의 암소에서 배최장근단면적과 근내지방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양구지역의 경우 등지방두께, 둔근지방두께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출생년도와 계절에 따른 산육형질에서는 2000년 가을철 태생의 개체의 배최장근단면적과 근내지방도, 2005년과 2006년 가을철 태생에서 각각 등지방두께 및 둔근지방두께가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육특성관련 형질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상호간 상관이 어느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등지방두께와 둔근지방두께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고, 반대로 배최장근단면적과 둔근지방두께의 상관계수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6산차까지의 산육형질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역 차이에 따른 산육형질의 특징이 나타났으며, 등지방두께와 둔근지방두께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본 시험결과는 앞으로 한우 번식우 개량 및 사양관리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기상인자(主要氣象因子)가 벼의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Major Climatic Factors on Optimum Level of N-Fertilizer in Paddy Rice Soil)

  • 이춘수;곽한강;황기성;박준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22
    • /
    • 1987
  • 1971~'79년(年) 사이 7개년간(個年間) 다수계(多收系)와 일반계(一般系) 벼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실시(實施)한 질소(窒素) 시비량성적(施肥量成績)과 벼생육기간(生育期間)의 주요기상요인(主要氣象要因)인 일조시간(日照時間), 강수량(降水量), 평균기온(平均氣溫) 및 상대(相對) 습도(濕度)와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이를 요약(要約) 하면 다음과 같다. 1. 년차간(年次間)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는 다수계(多收系) 품종(品種) 19.1%,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 21.9% 이었으며 질소적량구(窒素適量區) 수량(收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는 다수계품종(多收系品種) 7.0%,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 9.9% 이었다. 2. 질소(窒素)는 기상호적년도(氣象好適年度)의 경우 평균시비량(平均施肥量)(다수계품종(多收系品種)) 18.8kg/10a,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 15.6kg/10a)에 비(比)하여 17~23% 증비(增肥)하고, 기상불량(氣象不良)인 년도(年度)는 14~17% 감량시용(減量施用)이 합리적(合理的) 이었다. 3.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과 주요기상요인(主要氣象要因)과의 관계(關係)에서 일조시간(日照時間)(7~9월(月))과는 유의(有意)한 정상관(正相關), 강수량(降水量)(7~9(月)) 및 상대습도(相對濕度)(8~9월(月))와는 유의(有意)한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평균온도(平均溫度)와는 뚜렷한 관계(關係)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