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장 인자

검색결과 1,164건 처리시간 0.046초

편백(扁栢)의 수간성장(樹幹成長)에 관(關)한 해석적(解析的) 연구(硏究) (An Analytical Study on Stem Growth of Chamaecyparis obtusa)

  • 안종만;이광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429-444
    • /
    • 1988
  • 편백(扁栢) (Chamaecyparis obtusa)은 1924년(年) 일본(日本)에서 도입(導入)된 후(後) 한국(韓國) 남부지방(南部地方)의 주요조림종(主要造林種)으로 식재(植栽)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現存)하는 편백림(扁栢林)의 대부분(大部分) 유령림(幼令林)에 속(屬)하고 있으며 임목(林木)의 다각적(多角的) 용도(用途) 개발(開發)이라는 최근(最近)의 추세(趨勢) 고려(考慮)할 때, 합리적(合理的)인 경영관리(經營管理)에 필요(必要)한 종합적(綜合的)인 정보구명(情報究明)이 시급(時急)한 과제(課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觀點)에서 전남(全南) 장성군(長成郡) 삼서면(三西面) 식재(植栽)된 23년생(年生) 편백림(扁栢林)을 대상(對象)으로 83본(本) 표본목(標本木)을 선정대목(選定代木)하여 각종(各種) 수간장성인자(樹幹長成因子)들을 측정(測定)한 후(後) 정준상관분석법(正準相關分析法), 주성분분석법(主成分分析法) 및 인자분석법(因子分析法)을 적용(適用)하여 성장(成長) 특성(特性), 성장인자간(成長因子間)의 관계(關係), 잠재적(潛在的) 및 종합적(綜合的) 정보구명(情報究明)을 위하여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간재적(幹材積)과 질적성장인자(質的成長因子)의 정준상관분석(正準相關分析)에서 정준상관계수(正準相關係數) $0.988^{**}$이며, 정준변량(定準變量) 계수(系數)에서 비대성장인자(肥大成長因子)에서는 흉고직경(胸高直徑), 상장성인자(上長成因子)에서는 수고(樹高)가 유력(有力)한 인자(因子)로 밝혀 졌으며,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수고(樹高)를 1조(組)로 선형(線形) 종합(綜合)한 정준변량(正準變量)과 간재적간(幹材積間)의 상관(相關)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간재적((幹材積)에 대한 영향력(影響力)은 흉고직경(胸高直徑)이 수고(樹高)에 비(比)하여 높았다. 12개(個)의 수간(樹幹) 제성장인자(諸成長因子)들에 대(對)한 주성분(主成分) 분석결과(分析結果)에서 설정(設定)된 유효목표(有效目標) 85.00%에 합당(合當)하도록 채택(採擇)된 제(第)1~(第)2 주성분(主成分)까지의 누적기여율(累積奇與率)은 88.16%이며, 제(第)1, 제(第)2 주성분(主成分)은 각각(各各) "크기인자(因子)", "형상인자(形狀因子)"로 해석(解釋)되었다. 유효주성분(有效主成分) 각변량(各變量)에 대한 기여율(奇與率)은 수관직경(樹冠直徑), 지하고(枝下高) 및 망고(望高)를 제외(除外)한 모든 변량(變量) 정보(情報)가 87.00% 이상(以上)을 설명(說明)해 주었다. 상관행렬(相觀行列) 대각선요소(對角線要素)를 SMC로 하여 얻어진 고유치(固有値) 의(衣)해서 공통인자(共通因子)를 2개(個)로 정하였으며 $f^*_1$은 수간(樹幹) 비대성장계(肥大成長系)의 $f^*_1$은 상장성장수(上長成長系)의 형질인자(形質因子)의 잠재적인자(潛在的因子)로 해석(解析)되었다. 각종성장인자(各種成長因子)의 내재현상(內在現像)은 지하고(枝下高), 수관직경(樹冠直徑)을 제외(除外)한 공통성(共通性)이 78.62~98.30%의 높은 설명력(說明力)을 가진다. 공시목(供試木) 83본(本)은 인자득점(因子得點)의 표준편차(標準偏差)(1)를 반경(半徑)으로 한 원내(員內)의 표준목(標準木)은 중간형(中間型)으로 그리고 제(第) 1, 2, 3, 4 상한별(象限別)의 수간형질분류(樹幹形質分類)는 각각(各各) 비대(肥大), 수고성장(樹高成長)의 총합형(總合型), 세장형(細長型) 왜소형(矮小型) 및 단비형(短肥型) 등(等)의 5개유형(個類型) 분류(分類)할 수 있다.

  • PDF

동물성사료산업이 주는 의미 - 동물성 단백질 사료의 영양적 가치

  • 홍종욱
    • 월간피드저널
    • /
    • 제2권5호통권9호
    • /
    • pp.66-73
    • /
    • 2004
  • 동물성 단백질 사료는 일반적으로 식물성 단백질 사료원료와 비교하여 단백질 함량이 높고 메치오닌과 같은 아미노산 함량이 높다. 또한 미지성장인자(UGF)를 함유하고 있어 자돈의 성장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터너증후군 환자에서 최종 성인키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Final Adult Height in Patients with Turner Syndrome)

  • 김재현;이성수;홍수영;정혜림;신충호;양세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191-196
    • /
    • 2005
  • 목 적 : 터너증후군 환자들에게서 성장지연 및 저신장은 흔한 문제로 이의 치료로 성장호르몬이 투여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 결과들은 일치되지 않은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저자들은 터너증후군 환자에서 성장 호르몬 투여 및 기타 인자들이 최종 성인 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85년부터 1998년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서 터너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 중에서 성인에 도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최종 성인키와 최종 성인키의 SD score 및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과의 연관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는 모두 60명으로 이 가운데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48명,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는 모두 12명이었다. 성장호르몬 치료군의 치료 시작시 평균 역연령은 $12.2{\pm}2.7$세, 평균 골연령은 $10.3{\pm}2.5$세, 평균 키는 $127.5{\pm}10.1cm$, 평균 키의 SD score는 $-3.1{\pm}1.1$였으며, 비치료군과 비교하여 평균 역연령과, 평균 키의 SD score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성장호르몬 치료군에서 성장 호르몬의 평균 투여 기간은 35.8개월(범위 : 4-120개월)이었으며, 평균 용량은 $0.8{\pm}0.2IU/kg/wk$이었고, 평균 최종 성인키는 $146.9{\pm}5.8cm$이었고, 비치료군의 평균 최종 성인키는 $141.1{\pm}4.8cm$였고, 치료군과 비치료군 사이에 최종 성인키의 평균 SD score를 비교한 결과는 각각 $-2.7{\pm}1.2$$-3.8{\pm}1.0$로서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성장호르몬 치료군에서 치료 기간 중의 평균 성장 속도는 $5.6{\pm}2.0cm/yr$으로서 이는 치료 시작 전의 성장 속도인 $3.4{\pm}1.3cm/yr$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성장호르몬 치료군에서 최종 성인키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인자에 대하여 분석하였을 때 출생시의 체중, 부모의 키, 중간부모키, 진단시(혹은 성장호르몬 치료 시작시) 역연령과 골연령, 골연령의 지연, 성장호르몬의 용랑, 치료 기간 등은 모두 최종 성인키와 연관이 없었고, 치료 시작시 키의 SD score가 클수록 최종 성인키의 SD score가 컸다(P<0.05, r=0.55). 결 론 : 터너증후군 환자에서 성장호르몬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평균 성장 속도가 치료 전보다 증가하였고, 최종 성인키도 비치료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터너증후군의 최종 성인키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는 성장호르몬 치료 시작시의 키의 SD score가 있다.

성장인자/키토산이 담지된 온도감응성 하이드로젤의 유착방지제로서의 응용 (Thermosensitive Chitosan-based Hydrogel with Growth Factor as Adhesion Barrier)

  • 박준규;나재운;최창용
    • 폴리머
    • /
    • 제39권3호
    • /
    • pp.480-486
    • /
    • 2015
  • 조직과 장기 유착은 외과적 수술 후 부작용으로 자주 발생된다. 이러한 조직 유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착부위에 장벽을 형성하여 장기 유착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도감응성 하이드로젤 유착방지제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폴록사머, 키토산과 표피성장인자를 가지고 온도감응성 키토산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키토산 하이드로젤은 인체 내 온도와 유사한 $35^{\circ}C$에서 졸-젤 전이현상을 보였고, 1분 이내에 빠르게 젤화되었다. 키토산 하이드로젤은 표피성장인자를 7일 동안 천천히 방출하였고, 마우스모델에서 평가한 결과 조직 유착 방지를 효과적으로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온도 감응성과 항균성을 갖는 키토산 하이드로젤이 장기 부착의 증가와 표피성장인자를 천천히 방출하는 유착방지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느릅나무 근피드레싱이 쥐에 유발된 욕창의 섬유아세포성장인자와 혈관내피성장인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lmus Root-bark Dressing in Fibroblast Growth Factor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of Induced Pressure Ulcer in Rats)

  • 나연경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257-26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lmus root-bark dressing in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of induced pressure ulcers in rats. Methods: 54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and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The rats were anesthetized and pressure ulcers were induced at 140 mmHg for three hours, using a personally-designed pressing apparatus. Ulmus dressing was appl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n=27) and saline gauze dressing in the control group (n=27). Each of the dressings was changed every other day, and after a month, the wounds were examined by microscopy biweekly for 20 weeks. Results: After 4 weeks, the epidermis of the wounds was recovered, but inflammatory infiltration of the dermis was remained. After 6 weeks, inflammatory cells were diminished and the number of capillaries was decreased. Examined b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the FGF positive ce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changed negatively after 18 weeks, but the control group still existed even after 20 weeks. VEGF positive ce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changed negatively after 20 weeks, but the control group still existed.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Ulmus dressing is effective in minimizing scar formation and inflammatory reaction by decreasing FGF and VEGF in the terminal phase of wound healing.

베타시트 구조가 도입된 폴리아미노산 유도체의 피부활성에 관한 연구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oly(amino acid)'s derivatives with β-sheet structure on the skin)

  • 신성규;한사라;정나슬;지윤숙;정재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597-160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발린분자가 접목된 고차구조 폴리아미노산 자기조립체를 활용하여 피부성장인자의 피부활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친수성 폴리아미노산 유도체에 베타-시트를 형성할 수 있는 발린 분자를 접목하여, 접목도(degree of substitution)와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가 조절된 양친성 폴리아미노산을 합성하였다. 고차구조 폴리아미노산과 함께 자기조립 되었을 때 상피세포성장인자는 프로콜라겐 생합성이 20% 향상되었고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은 6.5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고차구조 폴리아미노산 자기조립체를 활용하면 다양한 단백질 성장인자의 구조 안정성을 확보하여 효과적인 피부개선이 가능한 기능성 화장품 물질뿐만 아니라 나아가 의약품으로도 사용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신체 조성, 골밀도 및 성장 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Growth Factors in the Children)

  • 김형돈;김덕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30-1238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12주간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신체 조성, 골밀도 및 성장 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여 비교 분석하고 태권도 수련이 성장기 아동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2$\sim$13세 남자 5$\sim$6학년으로서 태권도 수련을 실시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로, 실험 집단 12명과 통제 집단 12명, 총 24명으로 하였다. 12주간의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은 박상갑 등[46]의 태권도 운동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운동 빈도는 주 5회, 운동시간은 총 70분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신체 조성에 있어서 체중과 체지방, BMI 요인은 양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그러나 체수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골밀도에 있어서 요추 2번, 3번 요인은 양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그러나 요추 4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퇴 경부, 대퇴 전자부 그리고 대퇴 삼각부 요인은 양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성장 인자에 있어서 성장 호르몬, IGF-I, 그리고 IGFBP-III 요인은 양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12주간의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신체 조성, 골밀도, 성장 인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기의 체중 저항 부하 운동인 태권도 수련과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이 성장기에 있는 아동들의 효과적인 체지방과 골밀도, 성장 인자를 개선시켜 체력관리와 건강증진에 유용하게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단백질합성인자 eIF5B의 저 발현 효모벡터의 제조 및 특성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ector Expressing Low Level of Translation Factor eIF5B)

  • 최상기;송진희;이준행;이병욱;성치남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1
    • /
    • 2004
  • eIF5B는 단백질합성의 개시 인자로서 Met-$tRNA^{Met}$을 AUG 개시코돈에 전달하고, 리보솜의 두 소단위체 결합을 유도한다. 이 인자의 기능을 연구할 목적으로 eIF5B를 코딩하는 FUN12 유전자의 5'말단 부위를 삭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로모터의 대부분을 삭제한 FUN12를 함유한 pRS효모벡터를 FUN12가 삭제되어 천천히 자라는 돌연변이주 ($fun12{\Delta}g$)에 전달하였을 때 그 표현형을 부분적으로 상보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된 벡터에서 N-말단이 상실된 eIF5B 단백질이 발현되었고, 그 양이 정상 균주에서 발현되는 eIF5B 양의 약 5%에 불과하였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성장을 상보한 균주에서 발현된 적은 양의 단백질합성개시 인자 eIF5B는 직접적으로 그 성장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균주에서 성장의 제한인자인 eIF5B는 in vitro 에서도 역시 전체 단백질 합성의 활성을 조절하였다.

Silicon metal alkoxide 용액의 sol-gel 전이에서 중요인자 (Critical factors in sol-gel transition of silicon metal alkoxide solutions)

  • 김세훈;오근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32-342
    • /
    • 1995
  • 실리콘 알콕사이드 용액의 졸-겔 전이에 있어서 반응조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Raman 분광분석을 기초로 해서 고찰해 보았다. 촉매의 종류, 용매, 건조제어용 화학첨가제 및 물의 양과 같은 여러 가지 인자가 졸-겔 과정에 있어 전이메카니즘에 영향을 주었다.

  • PDF

연속 성장법으로 성장된 Mn-Zn Ferrite 단결정 특성 및 결함 (Properties and defects of Mn-Zn Ferrite single crystals grown by the modified process)

  • 정재우;오근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3-33
    • /
    • 1991
  • Mn-Zn Ferrite는 단결정을 성장하기 위하여 용융하는 동안 불균질 용융과 ZnO휘발의 고유특성을 갖는 재료이다. 그 결과로, 결정성장축을 따라 양이온의 분포가 불균일 하게 된고 또한 기존의 Bridgman법에서는 도가니내에서 용융대가 장시간 유지됨으로써 백금입자가 결정안으로 침입하게된다. 이들은 훼라이트의 자기적 성질을 저하시키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성장법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고 양질의 단결정을 얻기 위하여 결정성장 인자들의 관계를 고찰하였으며 그 인자들은 다음과 같다 : 도가니내의 melt 높이, melt의 표면장력과 밀도, 계면에서의 melt거동, 도가니와 고액계면의 형상, 원료공급속도, 결정성장속도. 아울러, 성장된 결정의 조성을 분석하였을 때 초기조성과 비교하여 $\textrm{Fe}_2\textrm{O}_3$ 1.5 mol%, MnO, Zn 2.0 mol% 이내로 조성 변동은 각각 억제되었고 성장결정면 (110)에서 화확적인 etching 법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을 통해 결정내부등을 관찰하였으며, 자기적 특성등을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