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인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형 소아기 집중력 문제척도: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Childhood Attention Problem(CAP) Scale: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 서완석;이종범;박형배;서혜수;이광헌;사공정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23-136
    • /
    • 1997
  • 주의력결핍과잉활동장애는 부주의성, 충동성, 과잉운동증과 이차적인 학습부진을 주요증상으로 하는 질환으로 전학령기 아동의 3-5%정도가 이런 문제를 보이고 있다. 또한 ADHD는 행위장애, 정동장애, 불안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 등 다른 질환과 공존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전통적인 진단방법은 시간과 경비가 많이 들고, 아동의 증상이 일관성있게 나타나지 않아 진찰실과 같은 상황에서는 과소평가되기 쉬운 단점이 있어, 객관적인 행동평가 방법과 시간과 경비가 적게 소요되면서 장애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저자는 1987년 Edelbrock에 의해 개발되어 미국내에서 이미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소아기 집중력 문제척도(CAP scale)의 한국형을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한국실정에서 ADHD를 선별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 적합한지 여부와 ADHD연구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은 환자군 98명과 정상대조군 98명으로 하였으며, 진단은 DSM-IV의 기준에 근거하였다. 문항번역은 2인의 신경정신과 전문의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혼동이 있는 용어는 피하여 완성하였다. 정상 대조군에서 과잉운동점수이외에 남녀간의 점수차이는 없었으며, 환자군에서도 남녀간의 점수차이는 없었다. 감별타당도에서는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각 소척도 및 전체점수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본교실에서 한국형을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한 ADDES­HV척도와의 공존타당도 검사에서는 환자군에서 0.85, 대조군에서 0.73의 상관계수를 얻었다. 소척도에서 문항간의 내적일치도는 모두 0.4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주의산만 소척도와 과잉운동 소척도의 Cronbach의 ${\alpha}$는 각각 0.91, 0.89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주의산만 계수는 0.83, 과잉운동 계수는 0.70, 전체점수의 계수는 0.80으로 모두 만족할 만한 신뢰도 계수를 나타내 안정성이 입증되었다. 판별력 검증에서 정상대조군은 88.9%에서 정상으로, 환자군은 97.9%에서 환자군으로 판별되어 전체판별력이 93.4%로 나타났으며, Cmax 공식을 적용했을 때 86.8%의 판별력의 개선율을 보였다. Eigenvalue 1 이상을 요인추출의 기준으로 삼아 Varimax회전시켜본 결과 4개의 요인이 나왔으며, 각각 산만성요인, 과잉활동요인, 충동성요인, 학습장애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본 것처럼 ADHD의 독립된 평가도구인 CAP척도의 한국형이 한국인의 ADHD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향후 ADHD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기대된다.

  • PDF

청소년 ADHD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CASS(S)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CALE FOR ADHD IN ADOLESCENTS:RELIABILITY AND VALIDITY FOR CASS(S))

  • 신민섭;조수철;홍강의;반건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2호
    • /
    • pp.218-224
    • /
    • 2001
  •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는 소아질환으로 생각되었으나, 청소년과 성인에서도 문제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환의 유병율이 2.0~14.3%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질병 정의 기준의 차이, 평가방법의 차이 외에 연구대상자의 연령 차이 때문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소아,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각각 적용가능한 ADHD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에게 사용가능한 ADHD 유병율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하여 Conners-Wells' Adolescent Self-Report Scale(Short Form)[CASS(S)]을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CASS(S)는 세 명의 정신과 전문의와 임상심리전문가 한 명이 번안, 수정하였다. 공존타당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기 위하여 K-YSR 중 주의력 관련 9문항과 번안된 CASS(S)를 서울 시내 중학교에서 학년당 한 학급씩 선택하여 삼 개 학년에게 2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총인원 115명:남학생 58명, 여학생 57명). 신뢰도 평가를 위하여 내적일관성을 나타내는 Cronbach's alpha를 구하였다.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한 검사대상은 전국의 중고교생 4,354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공존타당도를 알아보는 상관계수는 .65(p<.01),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는 Pearson 상관계수는 .83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내적 일관성은 Cronbach's alpha .88로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요인분석 결과 품행문제, 과잉행동문제, 인지문제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LSTM/RNN을 사용한 감정인식을 위한 스택 오토 인코더로 EEG 차원 감소 (EEG Dimensional Reduction with Stack AutoEncoder for Emotional Recognition using LSTM/RNN)

  • ;임창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17-724
    • /
    • 2020
  • 감성 컴퓨팅은 인간의 상호 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을 인식하는 인공 지능을 통해 감정을 이해하고 식별한다. 우울증, 자폐증,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및 게임 중독과 같은 정신 질환을 잘 이해함으로써 감정과 관련된 문제들을 잘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감정 인식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기계학습을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알고리즘의 복잡성을 줄이고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노력중의 하나로 Stack AutoEncoder (SAE)를 이용하여 차원을 감소하는 방법과 Long-Short-Term-Memory/Recurrent Neural Networks (LSTM / RNN) 분류를 이용한 감성 분류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모델의 복잡성을 줄이고 분류기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 결과를 가져왔다.

뚜렛씨병과 만성틱장애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관한 연구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IN TOURETTE'S AND CHRONIC MOTOR TIC DISORDER)

  • 조수철;이명철;김자성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68-78
    • /
    • 1993
  •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는 7세 전후한 연령에서 가장 흔히 시작되는 소아 또는 청소년기의 행동장애로서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유전적인 경향이 아주 강한 질환들로 알려져 있다. 원인으로서도 여러가지 가설이 있으나 뇌의 기능 또는 기질적인 장애로 인하여 발병될 가능성도 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 질환들의 생물학적인 원인들 중 일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단일광자방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시행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1.0%(13/42)에서 대뇌피질의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전두엽이 가장 흔한 혈류 이상 소견을 보인 부위였다.2) 4.8%(2/42)애서 대뇌기저핵의 혈류에 감소를 나타내었다. 3) 4.8%(2/42)에서 시상부의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4) 16.7%(7/42)에서 소뇌의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5)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간에 혈류장애의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6)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에 있어서, 혈류장애가 동반된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걸과로 미루어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의 생물학적인 원인중의 하나로 뇌혈류장애와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뇌혈류의 정도를 정량화시키거나, 또는 자기공명영상과 같은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본 연구의 타당성을 높여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과 사회적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Program on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Skills Children with ADHD)

  • 신지혜;윤덕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7-15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ADHD 아동에게 음악치료를 통해 문제행동을 개선시켜 사회기술향상 효과를 알아보았다. J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중대상으로 K-CBCL로 부모의 동의를 얻은 아동 총 15명을 실험집단 7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임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음악치료 실시 전과 후에 ADHD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기술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용 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Child Behavior Checklist-Korean)와 사회기술평가 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교사용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를 실시하였다. 음악치료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ADHD 아동은 문제행동의 공격성, 주의집중력과 사회적 기술의 협동성, 자기주장, 자기통제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고 사회적 기술의 책임감과 자기 수용도는 유의한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회적 기술의 책임감과 자기 수용도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장기간의 실험을 실시하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것이라 본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유전자와 오로스 메칠페니데이트 부작용의 연관성 (Association of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and Side Effects of Osmotic-Release Oral System Methylphenidate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송정은;홍현주;이병욱;육기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2호
    • /
    • pp.82-88
    • /
    • 2014
  • Objectives :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 of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SLC6A2) polymorphism and side effects of osmotic-release oral system methylphenidate (OROS MPH)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 We recruited drug naive children with ADHD (N=97). We administered OROS MPH by tolerable dosage. At week 8 of treatment, parents completed the Barkley's side effect rating scale. We analyzed two SLC6A2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rs192303 and rs3785143, with blood of subjects. We compared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each side effect among SLC6A2 genotypes of 2 SNPs. Results : In the analysis of frequency of each side effect, irritability differed according to rs192303 and rs3785143 genotype. In comparisons of severity, talking less and disinterest differed according to rs192303 genotype. In the case of rs3785143, severities of disinterest and irritability were involved with genotype. Conclusion : Side effects of OROS MPH showed an association with SLC6A2 genotype.

초등학교 고학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식습관 및 카페인 섭취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ietary habit and caffeine intake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장꽃빈;김혜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6호
    • /
    • pp.522-530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dietary habit and caffeine intake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total number of the study subjects was 237 students (111 boys and 126 girls), where 30 students (12.7%) were diagnosed as ADHD. The dietary habit score of the ADH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In particular, the ADHD group had lower dietary scores in consuming daily breakfast, diverse foods, fruit and milk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Meanwhile, the daily intake frequency of instant noodle (ramye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DHD group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 The mean caffeine intake of the students was 42.95 mg and the proportion of students consuming more than the ADI (acceptable daily intake) was 11.8%. The caffeine intake of ADHD group (63.63 mg)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39.95 mg);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ADHD score of the students wa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dietary habit score (r = -0.279, p < 0.01) but positively related with caffeine intake (r = 0.164, p < 0.05). The dietary habit scor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ffeine intake (r = -0.180, p < 0.01)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eight (r = 0.195, p < 0.01). Caffeine intak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height of the students (r = -0.171, p < 0.05). In conclusion, ADHD in children was related to poor dietary habit and high caffeine intake.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아 평가시 지능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of the Usefulness of Intelligence Test in Assess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민정원;이원혜;홍민하;반건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4호
    • /
    • pp.196-203
    • /
    • 2012
  • Objectives:We analyzed the usefulness of intelligence test in assessing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The medical records of 312 patients with ADHD who visited the child psychiatry department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 were reviewed. Demographic data and scores on the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 (K-WISC-III) and Korean-Conners' Parent Rating Scale (K-CPRS) were analyz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with comorbidities, AD-HD subjects were classified as; externalizing disorders, internalizing disorders, tic disorders, and no comorbidities. Results:Verbal intelligence quotient (VIQ)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IQ (PIQ)($102.6{\pm}14.44$, $99.2{\pm}14.48$, p<.001). Using mean scatter method, subtest scores such as 'information, similarities, digit span and codin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mean scores of sum of subtests of VIQ or PIQ (p<.05). Regarding comorbidities, children with externalizing disorders exhibited. Lower scores on 'information and vocabulary' than other groups (p=.008). Children with no comorbidities exhibited higher scores on 'similarities and object assembly' than children with externalizing/internalizing disorders (p=.001) and also on 'comprehension' than children with externalizing disorders (p=.006). For subtypes of ADHD, children with hyperactive-impulsive type had higher scores on 'comprehension' than children with inattentive and combined type (p=.004).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telligence test might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assessing ADHD.

국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약물요법 패턴 및 지속성 (Patterns and Persistence of Pharmaco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South Korea)

  • 이경은;제남경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6-223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reatment persistenc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adherence to ADHD pharmacotherapy. Methods: The study included patients between 6 and 18 years of age with ADHD who were taking various formulations of methylphenidate and atomoxetine on June 1, 2014. Patients were dichotomized as "persistent" or "non-persistent", depending on whether they continued ADHD therapy for 6 months (therapy persistence). We also investigated if the patients were taking the same medication(s) as before and also classified the patients as "medication persistent" or "non-persistent". Patient' characteristics were correlated with therapy persistence and medication persistenc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potential risk factors for treatment persistence. Results: Overall, 3,317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 majority of patients were taking stimulants (82.0%), 16.2% were taking non-stimulants and 1.8% were taking a combination therapy of stimulants and non-stimulants. After 6 months, 2,290 patients (69.0%) continued to take medication for ADHD with 1,953 patients taking the same medication(s) as 6 months previously. Common positive factors for therapy persistence and medication persistence were identified as younger age,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elay, and long-acting formulations of methylphenidate as either monotherapy or in a combination therapy may be used. Conclusion: ADHD medications were proven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Collaboration between patients, parents, school staffs, and prescribers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sistent use of ADHD medications.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유전자 다형성의 연관성 (Case-Control Association Study of the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Polymorphism in Children with ADHD)

  • 송정은;육기환;이성희;김소원;이민구;홍현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1권1호
    • /
    • pp.23-30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SLC6A2) polymorphisms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otypes and allele variants of SLC6A2 and result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 ADHD rating scale (K-ARS). Methods :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ADHD and norepinephrine transporter gene polymorphism using DNA from 137 Korean children with ADHD and 120 normal controls. We compared the genotype distributions and allele frequencies of SLC6A2 polymorphism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ADHD group. Then, we correlated the children's K-ARS mean totals, inattention scores, and hyperactivity/impulsivity scores with the genotypes and alleles for each SLC6A2 polymorphism.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otype and allele distribution for each SLC6A2 polymorphism, as shown by the Chi-square test (p>.01). There was a trend toward a difference in allele frequency in rs 5568,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multiple comparisons (p=.048).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K-ARS scores according to the genotypes and alleles for the SLC6A2 polymorphisms. Conclusion : Our study found no significant evidence of an association between SLC6A2 polymorphisms and AD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