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인자녀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8초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신체 건강 및 여가 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Health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f a Grandchild Caregiving Grandmother)

  • 조윤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1-83
    • /
    • 2019
  • 본 연구는 돌봄 관련 변수가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신체 건강 만족도와 여가 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 14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중다회귀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신체 건강 만족도에는 조모의 교육 수준과 월 가계 총 소득, 돌보는 손자녀 수, 성인 자녀와의 돌봄 갈등여부가 영향 변수였다. 즉,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월 가계 총 소득이 높을수록, 돌보는 손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성인 자녀와 돌봄 갈등이 없는 경우, 조모의 신체 건강 만족도가 높았다. 여가 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조모의 교육 수준과 성인 자녀와의 돌봄 갈등 여부가 포함되어, 조모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와의 돌봄 갈등이 없을 때, 이들의 여가 활동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함의를 논하였고 정책적, 실천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식물인간이 된 성인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체험 (Lived Experience of the Mother's Caring of Adult Children with Persistent Vegetative State)

  • 양영미;김증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7-29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e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care experience by the mothers with adult children in persistent vegetative state. Methods: Participants were 7 mothers caring for their adult children in persistent vegetative state. Data were collected individual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 their lived experiences. Also texts were included as data from literary works, novels, movies, essays, and arts containing on patients with persistent vegetative state and their mothers. Data were analyzed by van Manen'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sults: The essential themes of caring experiences of the mothers were as follows. The theme in relation to lived time has shown as back to the past and caring experience related lived body has emerged as locked the body in children. The theme related lived space was getting into the swamp and the theme in lived others was derived as lonely struggle into. Conclusion: The nature of mothers' caring experiences for adult children in persistent vegetative state is summarized as 'Do not off hand of hope in a locked state'. This study suggests long-term supports are necessary for mothers to care persistent vegetative state children.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의 극복력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조작적 정의와 조정변수 중심으로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Resilience in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Focusing on Operational Definitions and Moderators)

  • 김희경;고윤우
    • 정신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0-63
    • /
    • 2019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operational definitions and moderators of the resilience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COA) and its associated variables. Methods: This integrative review was conduc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method suggested by Whittemore and Knafl. Databases including PubMed, CINAHL, PsycINFO, and RISS were searched using the combinations of search terms such as;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parental alcoholism,' 'resilience,' and 'children of alcoholics.' Results: Seventeen studies were selected for this review. Findings of integrative reviews reported operational definitions for the resilience of ACOA and moderators.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ACOA's resilience is: (1) having no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 (2) meeting social and developmental expectancies, (3) having the ability to cope with adversity, (4) having high self-concept, and (5) having a meaningful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varying environmental moderators include family communication, qualities of caring environment, parental communication, parentification, and social support. Several moderators were identified as positive effect, self-esteem, alcohol-specific coping style, locus of control, spirituality, the image of God, and dyadic cohesion in marital communication. Conclusion: Our study findings emphasiz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iverse definition of resilience and moderators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resilience in ACOA.

가계 내 경제적 자원이 자녀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Economic Resources and Child Health: An Assessment of Certain Mechanisms)

  • 정완교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2권1호
    • /
    • pp.51-68
    • /
    • 2010
  • 본 연구는 가계 내 경제적 자원이 자녀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경제적 자원과 건강 간의 관계는 두 변수 상호 간의 영향으로 인해 분석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성인의 건강이 노동공급 등을 통해 경제적 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달리, 자녀의 건강은 경제적 자원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므로 가계의 경제적 자원이 자녀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분석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인도네시아 자료(Indonesian Family Life Survey)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계의 경제적 자원이 자녀의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자원이 자녀의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경로는 영양상태, 의료서비스의 이용, 가계의 위생상태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소득 가구 자녀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의료서비스의 이용 증대뿐만 아니라 가구의 위생상태 등을 개선하는 정책 또한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어머니의 개인·사회적 대처자원이 성인발달장애인 자녀의 돌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 and Social Coping Resources of Mothers on the Stress of Caring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심석순;남정휘
    • 재활복지
    • /
    • 제20권1호
    • /
    • pp.43-64
    • /
    • 2016
  • 본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대처자원과 돌봄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실천적 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만18세 이상에 속한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고 있는 주돌봄자인 어머니 1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돌봄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연령이 높은 50세 ~ 54세 집단이 연령이 낮은 49세 이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가구 소득은 200만원 이하 집단이 550만원 이상집단보다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취업 중인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돌봄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대처자원 중 사회적 대처자원인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돌봄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어머니의 돌봄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주 돌봄자의 돌봄을 완화를 위해 정부정책 중 장애인활동지원제도와의 연계를 통한 돌봄부담의 경감과 어머니의 연령, 경제수준, 취업여부 등 개별적인 특성에 입각한 돌봄지원계획의 수립을 지원하고 가족 내 외의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한 어머니를 직 간접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지망 구축 및 동일한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과의 자조모임 등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미혼 성인자녀의 부모-자녀 간 유대감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심 지각이 결혼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Perception on Marriage Attitudes of Single Males and Females)

  • 박정윤;김예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3-24
    • /
    • 2010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relation the effects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n marriage attitude among unmarried persons and to utilize the findings as source material in assessing changes to marriage and family value. In total 654 unmarried persons above the age of 20 in this study. A survey format was used to asked questions, and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PSS(Version 15.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mong socioeconomic variables, religion was significantly relate to marriage attitude(p < .001).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rriage value(p < .05). Specifically, high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relationship with father was related to more positive marriage attitudes. Finally, effective socioeconomic variables in marriage attitude were religion, job,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father.

남편의 수감 생활 및 출소 과정에서 경험하는 출소자 아내의 자녀양육: 자녀의 발달수준을 중심으로 (Child-rearing Experience of Ex-offenders' Wives: Focus on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 전지열;이동훈;양하나;김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6
    • /
    • 2018
  • 본 연구는 출소자 아내들이 자녀 양육 시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으로부터 주거지원을 받는 17명의 출소자 아내들을 대상으로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기/학령 전 아동기 자녀(생후 1개월~6세)를 둔 수감자의 아내들은 어린 자녀를 홀로 감당해야 하는 부담감이 매우 컸기 때문에, 이러한 심리적 부담감을 덜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자녀와 건강한 애착 형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기 아동/초 중기 청소년 자녀(7~17세)를 둔 출소자 아내는 남편의 수감이라는 충격에 더하여 학부모의 역할을 새롭게 수행해야 하는 부담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기 때문에 자녀의 학업 및 학교 적응을 위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후기 청소년/성인기 자녀(18~20세)들은 꿈을 한창 펼쳐가야 할 시기에 아버지의 수감으로 인해 경제적 정서적 희생이 요구되었다. 이들을 위해서는 자녀가 올바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여 출소자 자녀라는 낙인과 편견으로 인해 소진되거나 위축되지 않고 독립적 인격체로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성학집요"에 나타난 자녀교육관 (Hildrearing Philosophy in "The Anthology of the Essentials Sagely Learning")

  • 홍달아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1호
    • /
    • pp.200-208
    • /
    • 1994
  • 본 연구는 한국전통사회의 자녀교육관을 율곡이 저술한 $\ulcorner$성학집요$\lrcorner$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ulcorner$성학집요$\lrcorner$ 정가편 교자음에서는 인간의 본성은 선한 것이라고 믿고 누구 든지 노력하면 성인에 도달할수 있다고 보아 특히 교육시킬수 것을 강조했다 즉 애태시켜야 하며 일상생활을 통한 반복학습에 의한 습득형성을 강조했다 또한 유모를 정할때도 인성형 성의 막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신중히 고를 것을 말 했다 셋째 교육하는 순서와 학문하는 자 세를 강조하였다 넷째 생활교육을 강조했다 가족에서의 자녀교육이란 일상생활을 통한 교육 이 중요함을 말했다 다섯째 학문을 할 때는 몸가짐과 마음가짐이 성패를 좌우한다고 했다. 이와 같은 자녀교육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사상은 성실함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생애학습 이나 자아실현이란 것도 입지를 돈독히 하여 꾸준히 성실한 자세를 갖는 것이 인간의 계속 적인 성장을 가능케 하는 동인이 된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