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역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9초

어머니와 아동의 성역할 태도와 성역할 사회화에 대한 지각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in Gender-role Attitudes and their Perceptions on Gender-role Socialization)

  • 이주연;한세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1-261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in their gender-role attitudes and their perceptions on gender-role socializ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67 6th graders and their mothers in Seoul. Boy's gender-role attitude wa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mothers while girl's gender-role attitude was more consistent with that of mothers than boys. In their perceptions on gender-role socialization, mothers reported that they emphasized both feminine and masculine behavior for their children. However, children reported that their mother emphasized feminine behavior for girls and masculine behavior for boys.

  • PDF

사회적 상황의 제시 유무에 따른 아동의 성역할 개념의 유연성 (Children's Gender-Role Flexibility in Social Situations)

  • 김정민
    • 아동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9-205
    • /
    • 2006
  • Gender role flexibility in social and non-social situations across 4 areas of gender-role concepts(appearance, activities, occupations, and personality traits) were studied in 74 1st, 3rd, and 5th grade children. They were interviewed with 16 pictures depicting cross-gender characteristics. Children showed higher flexibility in social than in non-social situations. In social situations, children justified cross-gender characteristics in all 4 areas of gender-role concept. In non-social situations, children showed (a) highest flexibility in occupations and lowest in appearance, (b) lower flexibility toward male than female target children, (c) peak flexibility at age 8, then remaining the same except for appearance, and (d) higher flexibility in girls than in boys. In social and non-social situations children gave variable justifications for flexibility.

  • PDF

1991년도와 2002년도 남녀 대학생의 가정내 역할에 대한 성역할 태도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amily-related Gender Role Attitudes : Changes from 1991 to 2002)

  • 황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1호
    • /
    • pp.77-89
    • /
    • 2004
  • The study examined the shift in the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familial gender roles between 1991 to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here were changes toward the egalitarian direction in familial-related gender role attitudes between 1991 and 2002, in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b)Yet, despite of these changes toward egalitarianism, Female colleges students exhibited the more egalitarian familial gender role attitude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both in 1991 and 2002. (c)The shift toward more egalitarian attitudies was most pronounced in couples' equal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the sharing of housework, and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force. however, the shift toward egalitarian attitudies was less pronounced in the issues concerning outside home activities of the mothers with infant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for the future family and family education programs were discussed.

성역할 고정관념과 일-가정 양립 갈등: 한중일 국제비교

  • 이정은;유홍준
    • 사회연구
    • /
    • 제18권1호
    • /
    • pp.9-32
    • /
    • 2017
  • 이 연구는 동아시아 한중일 3개국을 대상으로, 낮은 출산율을 공통의 특징으로 하면서도 서구 선진사회들에 비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이 미비한 이유를 3개국에서 각기 다른 형태를 보이는 젠더레짐(gender regime) 개념을 통해 탐구하려고 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대상 자료는 2012년 국제 사회조사(ISSP)의 '가족과 변화하는 젠더 역할 모듈(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이다. 연구결과,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과 노동시간은 3개국 모두에서 일-가정 양립 갈등과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전통적 성역할 고정 관념과 노동시간, 연령대를 제외한 모든 영향요인은 한국에서만 차이를 보인 것도 특징이다. 한편 임금과 교육수준이 일-가정 갈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은 일-가정 갈등이 전체 사회 구성원들에게 보편적인 문제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연구의 결론에 따라 세 가지 정책 제안을 하였다. 일-가정 양립의 문제가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과 중요하게 연관된다는 점을 확인한 점은 이 연구의 중요한 의의이다. 연구의 역사가 긴 서구사회에 비해 관심의 주변부에 있던 동아시아 국가들 역시 젠더 레짐의 정책적 성격에 따라 분류될 수 있음을 밝힌 것도 의미가 있다.

유아가 인식하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과 유아의 성역할 개념 (Children's Understanding on the Roles of Male Childcare Teachers and Children's Gender Role Concepts)

  • 임정수;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3-61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가 인식한 남성보육교사의 역할과 남성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른 유아의 성역할 개념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교사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 유아 3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그림 그리기를 실시하고, ${\chi}2$ 검증 및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 3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성역할 개념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가 인식한 남성보육교사의 역할은 가르치는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상을 돌보는 역할, 놀이자의 역할이 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환경을 조직하는 역할, 업무를 지원하는 역할, 컴퓨터로 일하는 역할은 낮게 나타났다. 성역활 개념에서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 따라 남성보육교사의 유아가 여성보육교사의 유아보다 성역할 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권리협약에 명시된 유아의 참여권을 보장하기 위해 유아와의 인터뷰뿐만 아니라 유아의 그림 자료도 분석에 활용하여 유아가 인식하는 남성보육교사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다중역할 경험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ual-Earner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and Work-family Experience on Marrital Satisfaction)

  • 손보영;김수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26-333
    • /
    • 2020
  •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대한 이해를 위해 부부 각각의 성역할 태도, 다중역할 수행에서의 갈등과 향상의 경험이 자신과 배우자에게 미치는 상호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맞벌이 부부 95쌍, 총 190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 다중역할 경험 및 결혼만족도에 있어 부부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태도 및 다중역할 경험에 있어 부부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결혼만족도에 있어 남편이 아내보다 유의하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상호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부 간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편의 경우 자신의 성역할태도, 자신의 다중역할 향상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반면, 아내의 경우는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결혼생활 만족에 있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아내 자신의 다중역할 갈등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교육 및 프로그램에 있어 남편과 아내 각각의 영향과 상호간의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국 대학생의 성역할태도 및 자아존중감이 동성애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 and Self-esteem on Attitude Toward Homosexuality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 장인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60-569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성역할태도와 자아존중감이 동성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성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울산광역시 시내 일개 종합대학교에서 재학중인 대학생 201명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linear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동성애태도는 성별, 졸업한 중 고등학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성애 태도는 성역할태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동성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은 성별과 성역할태도였으며, 동성애 태도의 영향 요인으로서 31.0%를 설명하였다. 여성보다는 남성일수록,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취할수록 동성애 태도는 부정적이었다. 그러므로 동성애의 긍정적 인식을 위해,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건강한 정체성 개발 및 수용을 위해 학교 차원의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서비스 프로그램 구축 접근이 필요하다.

남성 노인의 성역할태도와 우울, 가족갈등대처방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 Role Attitudes, Depression, and Coping with Family Conflict in Older Males)

  • 이은진;채주석;남석인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923-943
    • /
    • 2018
  • 본 연구는 남성 노인의 성역할태도와 우울의 관계를 확인하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가족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복지패널(KoWePS) 9차년도 자료의 65세 이상 남성 노인 1,955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족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노인의 전통적인 가부장적 성역할태도는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갈등 대처방식은 성역할태도와 우울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남성 노인의 우울을 경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성역할태도의 재구조화와 가족갈등대처방식의 개선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청소년 창직교육을 통한 창업의지 변화에 대한 연구: 자기주도 학습력과 창의성역량의 매개효과 확인

  • 황교진;이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1-165
    • /
    • 2019
  • 4차 산업혁명으로 기존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으며, 보다 창의적인 진로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진로전략이 구직(求職), 즉 '직업을 찾는다.'는 개념이었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요한 진로전략인 창직은 구직의 틀에서 벗어나 개인이 직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즉, 개인이 직업을 '발굴하고', '선택한다.'는 점이 중요하며, 구직이 '남이 나를 고용한다.'는데 의미가 있다면, 창직은 '내가 나를 고용한다.'는 점에서 구직자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의지를 더욱 필요로 하고 있다. 창직교육을 통해 청소년이 자신의 진로를 직접 발굴하고 선택할 수 있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자기고용을 이루기 위한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의지를 반영하는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직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총 293명으로 검증 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대인관계기술, 자기주도 학습력, 기업가정신, 기회발견, 기회활용, 사회적 문제해결력, 창의성역량, 창업의지 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평균값의 상승을 보였다. 창직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총 85명으로 사전/사후의 평균값이 미미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주도 학습력과 창의성역량이 매우 두드러지게 향상되었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가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비교하여 자기주도 학습력과 창의성역량이 미약하게 향상되었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미약하게 향상되었으나 오히려 창업의지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로 창직교육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력과 창의성역량의 향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매개변수가 되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를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 PDF

성역할고정관념과 개방결혼에 대한 인식이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혼외관계 수용성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Individuals' Perceptions of Sex-role and Open Marriage on Individuals' Intention of Extra-marital Sex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the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Moderation Effect of Gender)

  • 신성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99-211
    • /
    • 2017
  • 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결혼인식, 성역할고정관념, 혼외관계 수용성, 성적외도 실행의도 등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여 성별차이를 재확인하였다. 둘째, 남성의 경우, 성역할고정관념, 개방결혼인식, 혼외관계수용성은 성적외도실행의도에 각각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고, 혼외관계수용성은 결혼개방성인식이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성역할고정관념은 혼외관계 수용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셋째, 여성의 경우 성역할고정관념, 개방결혼에 대한 인식, 혼외관계수용성은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각각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고, 혼외관계 수용성은 결혼개방성인식이 성적 외도실행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성역할고정관념이 혼외관계 수용성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성역할 고정관념이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에 의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적 외도실행의도 및 관련요인에 대한 성별차이를 실증적으로 입증하면서,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