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역할 수용도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강간 통념 수용도, 성 역할 태도 및 음란물 접촉 간의 관계 (The Relations among Rape Myth, Types of Sex Role, and Exposure to Sexually Obscene Material)

  • 이건호;강혜자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3호
    • /
    • pp.23-4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 태도 및 음란물 접촉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강간통념 수용도에서 성차와 학년차가 있는지, 성역할 유형에 따라서 강간통념 수용도의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강간통념 수용도와 음란물 접촉은 상관이 있는지 등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남녀 중, 고, 대학생 723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 태도 및 음란물 접촉 경향을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성별과 학년별로 강간통념 수용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강간통념을 더 많이 수용하였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강간통념의 수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 유형별로는 강간통념 수용도에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남성성 남학생들의 강간통념수용도가 다른 유형에 비해 비교적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음란물 접촉의 양은 남자 고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높았지만, 강간통념과 음란물 접촉의 상관은 남자 중학생의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상황에서는 학년이 높아지면서 성교육 기회의 확대로 점차 잘못된 강간통념이 수정되는 효과가 있다고 추정했으며, 남성성이 강한 남자들과 특히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성교육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기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다문화 가정 (The Influence of Husbands' Sex Role Stereotyp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Acceptance of Their Wives' Culture on Their Wives' Acculturation and Marital and Lif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Daegu and Gyeongbuk Area)

  • 성현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2호
    • /
    • pp.219-239
    • /
    • 2011
  • 본 연구에서 다문화 가정에 있어서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그리고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지역의 다문화가정의 부부 100쌍이었으며 남편 평균 연령은 41.6세, 아내 평균 연령은 29.6세이었다.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은 주로 베트남과 중국이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아내문화수용의 세 변인은 아내의 문화적응의 네 하위 요인(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 중 주변화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남편의 이들 세 변인 중 아내문화수용만 아내의 결혼만족과 삶의 만족을 각각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아내 문화적응의 네 하위유형 중 주변화는 아내의 결혼 및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통합은 삶의 만족만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남편의 성역할고정관념은 아내문화수용 및 다문화감수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아내의 문화적응 중 동화는 통합과 약한 정적 상관, 주변화와는 중간정도의 부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 만족 및 삶의 만족은 남편의 이문화 이해를 비롯한 남편관련 변인에 의한 문화적응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개인의 문제가 아닌 다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임을 인식시켜주었다는 점이다.

  • PDF

성역할고정관념과 개방결혼에 대한 인식이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혼외관계 수용성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Individuals' Perceptions of Sex-role and Open Marriage on Individuals' Intention of Extra-marital Sex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the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Moderation Effect of Gender)

  • 신성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99-211
    • /
    • 2017
  • 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결혼인식, 성역할고정관념, 혼외관계 수용성, 성적외도 실행의도 등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여 성별차이를 재확인하였다. 둘째, 남성의 경우, 성역할고정관념, 개방결혼인식, 혼외관계수용성은 성적외도실행의도에 각각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고, 혼외관계수용성은 결혼개방성인식이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성역할고정관념은 혼외관계 수용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셋째, 여성의 경우 성역할고정관념, 개방결혼에 대한 인식, 혼외관계수용성은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각각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고, 혼외관계 수용성은 결혼개방성인식이 성적 외도실행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성역할고정관념이 혼외관계 수용성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성역할 고정관념이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에 의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적 외도실행의도 및 관련요인에 대한 성별차이를 실증적으로 입증하면서, 함의를 논의하였다.

남.녀 대학생의 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among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 오숙희;강희순;김윤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9-257
    • /
    • 201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of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 First-year students at two three-year colleges in Jeonnam and two three-year colleges in Jeonbuk (n=406)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Of these, responses from 386 (95.8%) were analyzed. Result: Rape myths acceptance in 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5.400, p=.00). In terms of gender role stereotype,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3.869, p<.001). The relationship between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was in the middle range of correlation: male student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r=.520 (=p<.001), and female students' was r=.524 (p=<.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sex have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yet. Moreover, they highlight that in our society there still exists a male dominated social structure and inequality of sexes. To prevent sexual violation from occurring at the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hat programs to establish proper attitudes of students toward these two factor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results monitored frequently. In addition, cross sectional studies aimed at understanding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s are needed.

한국 대학생의 성역할태도 및 자아존중감이 동성애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 and Self-esteem on Attitude Toward Homosexuality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 장인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60-569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성역할태도와 자아존중감이 동성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성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울산광역시 시내 일개 종합대학교에서 재학중인 대학생 201명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linear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동성애태도는 성별, 졸업한 중 고등학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성애 태도는 성역할태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동성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은 성별과 성역할태도였으며, 동성애 태도의 영향 요인으로서 31.0%를 설명하였다. 여성보다는 남성일수록,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취할수록 동성애 태도는 부정적이었다. 그러므로 동성애의 긍정적 인식을 위해,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건강한 정체성 개발 및 수용을 위해 학교 차원의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서비스 프로그램 구축 접근이 필요하다.

여성의 성역할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Do Gender Role Attitudes Affect on Depression?)

  • 한인영;홍선희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6권4호
    • /
    • pp.477-498
    • /
    • 2011
  • 본 연구는 여성의 성역할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여성의 성역할인식과 우울의 매개효과로서 자아존중감과 가족생활만족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한국복지패널 2009년 4차년도 자료로서, 20-50대 여성 3,791명과 남성 3,46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여성과 남성의 우울과 성역할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성역할인식과 우울의 관계 및 매개효과는 여성만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성역할을 인식하는데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과 성역할인식에 있어서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성역할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도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여성의 전통적인 성역할인식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아존중감, 가족생활만족도는 성역할인식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의 성역할인식이 높을수록 가족관계만족도 중에서 가족생활만족도는 낮아지나 배우자관계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의 고정화되고 이분화된 성역할 인식이 우울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되며, 낮은 자아존중감과 가족생활만족을 통하여 우울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여성의 성역할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여성 우울에 대해 여성 친화적이고 수용적인 개입과 상담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한국 성인의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에 따른 군집 유형별 강간통념수용도 (The Cluster of Adults' Gender Role Conflict, Ambivalent Sexism and Aggression and Their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Rape Myths)

  • 조은혜;장진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1호
    • /
    • pp.1-22
    • /
    • 2022
  • 이 연구는 성인의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에 따른 군집 유형을 탐색하고, 군집 유형별로 강간통념수용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 및 경상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성인남녀 372명을 대상으로 성역할갈등, 양가적 성차별주의, 공격성, 강간통념수용도를 설문조사하였고,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3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군집 1인 '비공격적 성고정관념 갈등형', 군집 2인 '적응적 성관념 수용형', 군집 3인 '공격적 성고정관념 순응형' 등 총 3개의 하위군집 유형이 형성되었다. 하위군집 유형별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각 하위군집별로 강간통념수용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검증한 결과, 군집 3인 '공격적 성고정관념 순응형' 의 강간통념수용도가 가장 높았고, 군집 1인 '비공격적 성고정관념 갈등형', 군집 2인 '적응적 성관념 수용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대상자가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 하위 유형인지를 평가하고, 각 유형별 특성에 초점화하여 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성역할 관련 태도가 강간통념 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ender-Role Related Attitudes to the Acceptance of the Rape Myth)

  • 김애리;박정열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8-106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cceptance of the rape myth and variables in gender-role attitude, which have been known to forecast the acceptance of the rape myth. Method: This study was a surve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2006 to February 31, 2007 with 240 undergraduate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12.0 program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Men were more acceptable to the rape myth than women. Men were very likely to see the occurrence of rape incidents as the rapist being provoked by women, and this attitude made them misunderstand and perceive women as responsible for the occurrence of the incident. Women on the other deny their id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attitudes related to gender-role, male students were shown to have a much more traditional and patriarchal attitude than female students.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 hostile attitude toward women and the justification of violence to others act as the main factors in forecasting the acceptance of the rape myth.

  • PDF

한국과 미국 여대생의 월경전후기 불편감, 월경에 대한 태도, 성역할 수용도의 횡문화적 차이에 관한 연구 (Transcultural Differences on Perimenstrual Discomforts, Menstrual Attitudes and Sex Role Acceptanc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 홍경자;박영숙;김정은;김혜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3-243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ranscultural differences on perimenstrual discomforts, menstrual attitudes and sex role acceptanc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2557 nursing students were selected from 13 universities all around Korea, and 4 universities in the eastern, western, and middle areas of the United Stat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MDQ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by Moos), the MAQ(Menstrual Attitude Questionnaire), and the Sex Role Acceptance Scale, the subjects answered the MDQ for three points (premenstrual, menstrual, intermenstrual based on their recollections) between July, 1996 and April, 1997.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of menarche, duration of menstruation, and menstrual cycle between the Koreans and the Americans. 2. As for sex role acceptance, Americans more frequently denied the traditional female role than did Korean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five categories of menstrual attitude (menstruation is a phenomena that weakens women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menstruation is a bothersome phenomena, menstruation is a natural phenomena, menstruation onset is a predictable phenomena, and menstruation is a phenomena that does not influence womens' behaviors non is expected to). 4. For the menstrual discomfort sco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all six categories of the MDQ(pain, attention deficit, behavioral changes, AMS response, water retention, and negative emotion) for the three points (premenstrual, menstrual, intermenstrual period). 5. The most common complaints for the Korean women were pain during the perimenstrual period and fatigue during the intermenstrual period. In contrast, for the Americans the most common complaint was negative emotions during the perimenstrual period, but less pain than the Koreans, and a similarity to Koreans during the intermenstrual period. 6. Regularity of the menstrual cyc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of menarche, menstrual cycle, and duration of menstruation. 7 Fo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of Perimenstrual discomforts, menstrual attitudes, and sex role acceptanc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for both group as follows : First, the MA category "menstruation is a bothering phenomen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x role acceptance, second, the MA category "menstruation is a phenomena that weakens the women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A category "menstruation onset is a predictable phenomena." For the further research, it is recommended that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perimenstrual discomforts, be developed and qualitative research to demonstrate the cultural differences as the feminism view point be done.

  • PDF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mily Values on Intentions of Marriage and Expected Age at First Marriage)

  • 진미정;정혜은
    • 한국인구학
    • /
    • 제33권3호
    • /
    • pp.31-51
    • /
    • 2010
  • 본 연구는 미혼남녀의 결혼지연 현상을 가치관 접근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2005, 2009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중 미혼남녀 5,984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결혼, 출산, 성역할 규범 등 가족 가치관의 변화를 살펴보고, 가족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지난 5년 사이 남성의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은 낮아지고, 전통적 성역할분업과 남성생계부양모델에 대한 동조성은 높아졌다. 여성의 결혼의 필요성과 혼전 동거에 대한 동조성은 높아지고,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은 낮아진 반면, 성역할태도는 보수적으로 변화하였다.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이 높고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부양모델에 동조하는 사람일수록 결혼의향이 더 높았다. 남녀 모두 결혼 필요성에 대해 동조할수록 결혼희망연령이 빨랐으며, 여성은 혼전동거에 대해 수용적일수록 결혼희망연령이 높았다. 결혼 및 자녀의 필요성과 같은 당위적 규범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약화된 반면, 자녀의 정서적 가치가 미치는 영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강화되었다. 가족 가치관이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계획연령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성별, 가치관 영역,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르게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