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역할가치관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9초

미혼 여교사의 배우자 선택에서의 동질혼 추구 경향 (Female Teachers' Mate Selection Preferences in Social, physical, psychological and family role characteristic)

  • 조병은;이종희;이현정;곽선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8
    • /
    • 2012
  • 본 연구는 배우자 선택권이 늘어난 직업여성 중 미혼 여교사를 대상으로 본인과 배우자감의 사회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특성 그리고 역할가치관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배우자 선택의 동질혼 추구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6개의 광역시 및 시 군 단위에서 편의표집 한 결혼 적령기의 미혼 여교사 295명이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연구 내용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미혼 여교사가 추구하는 본인과 배우자감의 사회경제적 특성의 측면에서 수입 이외의 특성에서는 동질혼 경향을 추구하였으나, 수입에 있어서는 자신보다 높은 수입의 배우자감을 선호하는 이질혼의 경향을 보였다. 신체적 특성에서는 자신과 비슷한 신체적 특성과 매력수준을 지닌 배우자감을 선호하는 동질혼의 경향을 보였고, 심리적 특성 중 개방성, 외향성, 신경성의 성격 특성에서는 자신과 비슷한 동질혼 경향을 추구하였으며, 성취적, 양육적, 지배적 성격과 같은 상호보완적 성격을 선호하는 측면에서 동질적인 성격 특성을 지닌 배우자감을 선호하였다. 또 다른 심리적 특성인 성역할 특성에서는 본인의 성역할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성역할 특성을 지닌 배우자감을 선호하는 이질혼의 경향이 나타났다. 역할가치관의 동질성 추구 경향에서는 경제적 역할, 정서적지지 역할, 자녀양육 역할, 친족유지 역할, 가사노동 역할, 자기개발 역할, 여가생활 역할 등 모든 역할 기대감에서 동질혼 경향을 보였다. 각각의 역할에서 본인 스스로에 대한 역할 기대가 높은 집단은 배우자감에게 요구하는 역할 기대도 높게 나타났고, 본인에 대한 역할 기대가 낮은 집단에서는 배우자감에 대한 역할 기대도 낮게 나타나 본인과 배우자감 모두 가족역할에 공평하게 참여하기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역할 가치관에서 근대적 성역할 가치관을 가진 집단 간의 동질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 평등적인 성역할 가치관을 추구하였다. 결과적으로, 직업을 가진 미혼 여교사는 자신과 비슷한 사회적 배경, 신체적 매력 정도, 심리적 특성을 지닌 배우자감을 선호하는 동질혼의 경향이 높게 나타났고, 민주적이고 양성평등한 성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배우자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생의 결혼, 성역할, 자녀 가치관에 관한 연구 (University Students' Values on Marriage, Gender Role, and Children)

  • 김미예;송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03-311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ues of marriage, gender-role and having children, and to explore the factors impacting the values of having children by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data col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September through November, 2011.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based on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s and scales on values of marriage, gender role and children developed by Young-Mi Park.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to data analysis. Results: A total of 366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emales and nursing students had negative values toward having children and marriage and positive thoughts about the value of gender role. The value of having childre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rriage (r=.61, p<.001) and negatively with gender role (r=-.11, p<.032).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nd marriage was negative (r=-.28, p<.001).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found that the value of children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the value of marriage.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mily Values on Intentions of Marriage and Expected Age at First Marriage)

  • 진미정;정혜은
    • 한국인구학
    • /
    • 제33권3호
    • /
    • pp.31-51
    • /
    • 2010
  • 본 연구는 미혼남녀의 결혼지연 현상을 가치관 접근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2005, 2009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중 미혼남녀 5,984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결혼, 출산, 성역할 규범 등 가족 가치관의 변화를 살펴보고, 가족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지난 5년 사이 남성의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은 낮아지고, 전통적 성역할분업과 남성생계부양모델에 대한 동조성은 높아졌다. 여성의 결혼의 필요성과 혼전 동거에 대한 동조성은 높아지고,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은 낮아진 반면, 성역할태도는 보수적으로 변화하였다.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이 높고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부양모델에 동조하는 사람일수록 결혼의향이 더 높았다. 남녀 모두 결혼 필요성에 대해 동조할수록 결혼희망연령이 빨랐으며, 여성은 혼전동거에 대해 수용적일수록 결혼희망연령이 높았다. 결혼 및 자녀의 필요성과 같은 당위적 규범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약화된 반면, 자녀의 정서적 가치가 미치는 영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강화되었다. 가족 가치관이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계획연령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성별, 가치관 영역,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르게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베트남 여성의 가족 인식, 성역할가치관, 노부모 부양가치관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Family Perception, Gender-Role Values, Elderly Parent Support Values of Vietnamese Women)

  • 이은주;전미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3호
    • /
    • pp.129-145
    • /
    • 2016
  •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family values, which is a cause of family dissolution and conflict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41 women in Vietnam. It was done to explore their family values. Specifically, the following were examined: the overall family values and martial status of Vietnamese women; differences in their family values by region (northern, central, southern).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following content: 'family perception'; 'gender-role values'; 'elderly parent support value'.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values of Vietnamese women are as follows. First, the scope of family perceived by them was relatively narrow. In particular, most of them didn't perceive the parents of a spouse as a familymember. Second, in terms of gender-roles, they perceived men and women as equal and didn't have strong perception of traditional gender roles. Third, they felt strongly about supporting elderly parents. The perception of supporting elderly parents is based on equal gender roles, instead of the paternalistic approach. They preferred financial support to living with parent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family values by region. Also, their values seemed to be the opposite of the ones well-known by region. In addition, their values were changing amid economic growth and modernization. Residents in Can Tho in the south - known to have open-minded Southeast Asian values - had the most patrilineal, traditional values with strong perception towards supporting elderly parents. Residents in Hanoi in the north - known to have heavy influence of Confucian culture - had non-traditional values with positive attitude towards liberal sex culture, divorce, and remarriage. Residents in Da Nang, a central region, had a mixture of northern and souther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amily values.

남한사회에서의 생활경험이 탈북자에게 미치는 영향: 남한과 자신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Effects of North Korea Defectors' Living Experiences in South Korea on Their Self-perceptions and Perceptions of South Korea)

  • 정태연;김영만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3호
    • /
    • pp.61-81
    • /
    • 2004
  • 본 연구는 남한사회에서의 생활경험이 탈북자 자신 및 남한에 대한 그들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남한사회에서의 생활경험이 전혀 없는 탈북자(혹은 무경험자) 66명과 평균 2.7년의 생활경험이 있는 탈북자(혹은 유경험자) 9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가치관, 성격특성, 부정적 성행동에 대한 태도 그리고 성역할 고정관념 차원에서 남한사람과 자기 자신을 평가하였으며, 남한사회에 대한 현실인식 및 정치적 통제감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남한사회 유경험자는 무경험자에 비해 남한사람 및 자신의 가치관과 성격특성을 더 부정적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성적 일탈행위에 대하여 더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성역할 고정관념도 덜 강했다. 또한, 유경험자들은 무경험자에 비해 현실인식차원에서 남한사회를 더 부정적으로 보았으며, 남한사회의 정치적 통제감도 더 낮게 평가했다. 이러한 결과를 문화 및 생활경험의 변동에 대한 자신과 사회에 대한 인식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PDF

중국 가족에서의 여성의 지위: 6개 도시와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 송유진
    • 한국인구학
    • /
    • 제28권1호
    • /
    • pp.203-233
    • /
    • 2005
  • 기존 연구에 의하면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실증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중국 여성의 가족 내 지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 연구는 중국 여성의 지위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얻기 위하여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아버지의 자녀 양육과 자녀교육 관련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여를 중심으로 성역할 분담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6개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와 상해 산동 지역에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통합적으로 이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에 관계없이 중국 사회에서 자녀 양육의 주책임은 어머니에게 있다. 둘째, 아버지들은 자녀 양육 활동보다 의사결정 과정에 더 높은 참여율을 보인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율은 농촌에 비해 도시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다. 반면, 의사결정의 경우는 도시에 비해 농촌 지역 아버지들의 참여율이 더 높다. 넷째, 전통적인 성역할 구분에 대한 가치관도 도시와 농촌 지역간에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 가족 내 여성의 지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중국 가족에서 자녀 양육 책임이 동등하게 분담되지 않아서 여성의 이중부담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의 가족가치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 은기수;이윤석
    • 한국인구학
    • /
    • 제28권1호
    • /
    • pp.107-132
    • /
    • 2005
  • 이 연구는 2003년에 실시된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가족모듈과 국제사회조사기구(ISSP)의 2002년 가족모듈을 이용해 한국의 가족가치를 국제적인 수준에서 비교 분석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최근 여러 가치와 태도가 급변하고 있다고 믿어지고 있다. 그 결과 세대간의 가치 및 태도의 차이가 크고, 이는 사회내 세대간 갈등의 뿌리라고도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은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이런 시점에서 한국의 여러 가지 중 가족가치의 영역에서 세대간 가치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지, 국제적인 수준에서 보면 우리나라의 세대간 가족가치 차이가 크다고 볼 수 있는지를 kurtosis라는 지표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결혼, 동거, 이혼 및 부부의 성역할에 관한 가치 및 태도를 분석해 본 결과 한국인의 가족가치는 가톨릭이 지배적인 필리핀의 가족가치와 비슷할 정도로 매우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가치관의 변화는 경제발전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한국은 한국보다 경제발전 정도가 크게 뒤져 있으면서 보수적인 가족가치관이 지배적인 필리핀과 가족가치의 수준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세대간 갈등의 원인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가족가치의 세대간 차이가 큰지 kurtosis를 이용해 분석해 본 결과, 한국보다 오히려 일본의 세대간 가치관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세대간 가치관의 차이가 있지만, 외국과 비교해보면 한국의 세대간 가치관 차이가 더 두드러진다고는 보기 힘들다.

가족가치관과 성역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변인 : 국제비교 분석 (The Impa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Family Value Orientations and Gender Role Attitudes :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 백주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3호
    • /
    • pp.239-251
    • /
    • 200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much Korean's family value orientations and gender role attitud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U.S.A., Sweden, and Japan, and how demographic variables influence family value orientations and gender role attitudes across the countries. By using 2004 Korea General Social Survey data and 2002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family modul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Korean's family value orientations and gender role attitudes were much more traditional than those of U.S.A., Sweden, and Japan, even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Furthermore, each country showed a distinct pattern in the impa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family value orientations and gender role attitudes.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age and marital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ors of family value orientations for all the countries. However, gender, the year of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effected on family value orientations only in some count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Korea was still traditional in terms of family value orientations and gender role attitudes, compared with U.S.A, Sweden, and Japan. Although family value orientations were more traditional in Korea than in the other countries, all the countries showed similar patterns of explaining mechanism in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family value orientations. People who were men and married were likely to be more traditional than those who were women and unmarried. However, gender role attitudes showed interesting results. All the demographic variabl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gender role attitudes for Korea, whereas only some of demographic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ors of gender role attitudes for other countries. That is, Korean society showed strong attitudinal differences on the basis of demographic variables. The implication of these differences was discussed.

20-30대 남녀의 결혼제도 인식과 결혼의향 (Perceptions of and willingness for marriage amo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 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1호
    • /
    • pp.1-1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and willingness for marriage amo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The data came from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of the Survey Research Center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e sample data set included 292 men and women aged 20 to 39.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satisfaction with one's household economic conditions, and significantly affect the individuals' perceptions of marriage. The results show that the men's education level, value of family succession, value of gender roles, and value of parents' role ar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their perceptions of marriage. In the case of the women's perceptions of marriage, the significant factors are their household economic conditions, value of family succession, value of gender roles, and value of childbirth. Second, the willingness for marriage among unmarried people is decided by age, education level, whether one has an income or not, satisfaction with one's household economic conditions, and value of one's childbirth. Overall, gender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the perceptions of marriage among all the other variables. However, men's and women's values of gender roles and family succession, respectively, both significantly affect their perceptions of marriage but show opposite coefficient directions. Another finding shows that unmarried people who are willing to marry tend not to have children. This implies that they do not perceive the decision on having a child as a necessary factor behind marriage decisions.

기혼 취업여성의 우울 경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h of depression of Married Working Women)

  • 이진숙;최원석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389-41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취업여성의 우울에 관한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분석자료로는 제1차 서울시복지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서울시복지패널자료의 조사대상자 중 20~50대 기혼 취업여성 507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혼 취업여성의 성역할태도로부터 복리후생만족도와 결혼행복감을 거쳐서 우울에 완전매개효과 경로가 형성되었고, 복리후생만족도는 우울과 결혼행복감 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혼 취업여성의 우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보면 우선, 기혼 취업여성의 우울은 우리 사회가 가사노동은 아직까지 여성의 역할로 간주하는 데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므로 취업여성들이 일과 가족생활을 양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그러한 맥락에서 남성의 가사 및 육아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 조치가 요구된다. 둘째, 기혼 취업여성이 전통주의 성역할 태도를 견지할수록 결혼행복감 및 복리후생만족도는 낮은 결과가 나타났음을 고려해 볼 때 우리 사회에 잔존하고 있는 전통주의적 성역할 가치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복리후생제도 및 가족친화제도의 활성화 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기혼 취업여성의 우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결혼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부 및 부모 교육을 포함한 가족서비스를 더욱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