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s of and willingness for marriage amo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20-30대 남녀의 결혼제도 인식과 결혼의향

  • Hong, Sung-Hee (Dept. of Consumer Information Studies, Keimyung University)
  •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 Received : 2019.12.16
  • Accepted : 2020.01.29
  • Published : 2020.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and willingness for marriage amo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The data came from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of the Survey Research Center at Sungkyunkwan University. The sample data set included 292 men and women aged 20 to 39.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satisfaction with one's household economic conditions, and significantly affect the individuals' perceptions of marriage. The results show that the men's education level, value of family succession, value of gender roles, and value of parents' role ar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their perceptions of marriage. In the case of the women's perceptions of marriage, the significant factors are their household economic conditions, value of family succession, value of gender roles, and value of childbirth. Second, the willingness for marriage among unmarried people is decided by age, education level, whether one has an income or not, satisfaction with one's household economic conditions, and value of one's childbirth. Overall, gender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the perceptions of marriage among all the other variables. However, men's and women's values of gender roles and family succession, respectively, both significantly affect their perceptions of marriage but show opposite coefficient directions. Another finding shows that unmarried people who are willing to marry tend not to have children. This implies that they do not perceive the decision on having a child as a necessary factor behind marriage decisions.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어성연(2013). 30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63-79.
  2. 김경신(2010). 가족학 실천영역 연구의 발전과정과 그 방향 탐색. 생활과학연구, 20, 114-127.
  3. 김경옥(2004). 유아의 성역할 사회화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K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영미(2012). 복지국가의 가족정책이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분석. 사회보장연구, 28(2), 211-241.
  5. 김예리(2009). 가족생태이론에 기초한 미혼 남녀의 결혼관과 관련변인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은정(2018). 미혼 여성의 일반적 특성, 결혼 가치관과 성역할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9(4), 1291-1306.
  7. 김정석(2006).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29(1), 57-70.
  8. 김중백(2013). 미혼 남녀의 결혼의향 차이에 미치는 조절변수의 연구. 사회과학연구, 39(1), 1-24.
  9. 김혜영.선보영(2011).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12(2), 3-25. https://doi.org/10.22862/KJSR.2011.12.2.001
  10. 김혜영.김상돈.박선애(2012). 가족관련 가치 및 의식의 변화와 가족의 미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1. 김희자(2008). 서구의 가족법.가족정책의 변화와 포스트모던 가족 모형. 경제와 사회, 78, 194-222.
  12. 박경숙.김영혜.김현숙(2005).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 원인: 계층혼, 성역할분리규범,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 한국인구학, 28, 33-62.
  13. 박주희(2017). 취업미혼남녀의 결혼지원정책 만족도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및 수도권 결혼적령기 취업 미혼남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4), 1-15.
  14. 박지수.이재림(2016). 부모의 경제적 지원이 청년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62-263.
  15. 변수정.박종서.오신휘.김혜영(2017). 다양한 가족의 제도적 수용성 제고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16. 백경숙.김효숙(2013).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성역할태도와 가족기능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3), 205-233. https://doi.org/10.13049/jofw.2013.18.3.205
  17. 서수경(2002). 서구의 ʻ포스트모던 가족ʼ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1), 19-37.
  18. 서지희(2009). 미혼취업여성의 성역할 태도와 생활양식이 결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 동거 여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오지혜.임정재(2016). 한국 미혼 남녀의 결혼시기와 결혼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50(5), 203-245.
  20. 유홍준.현성민(2010). 경제적 자원이 미혼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1), 75-101.
  21. 윤자영(2012). 성장 중심 경제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과 지속 가능한 발전. 여성학논집, 29(1), 217-246.
  22. 이삼식(2005). 저출산시대 인구정책의 기본방향. 보건복지포럼, 102, 7-15.
  23. 이삼식(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38.
  24. 이소영(2011). 세대 간 자산이전 측면에서 연령대에 따른 결혼시 주거자금 마련 변화추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4), 205-216.
  25. 이수진(2005). 젠더관점에서 본 결혼선택의 규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5(1), 131-156.
  26. 이윤주(2017). 연령, 시기, 코호트로 본 1998-2014년까지의 결혼에 대한 태도의 변화: 만혼화 및 저출산에의 함의. 한국가정관리학회 2017 공동춘계학술대회 자료집, 57-62.
  27. 임선영.박주희(2014). 미혼자의 가족가치관, 부모의 자원 제공 요소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177-193.
  28. 장경섭(2009). 가족, 생애, 정치경제: 압축적 근대성의 미시적 기초. 서울: 창비.
  29. 정선아(2016). 성인 미혼남녀의 성역할태도와 부모의 부부관계 지각에 따른 결혼가치관과 결혼의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조지영(2011). 저출산 사회 미혼자의 결혼관.자녀관 경향과 결혼-출산정책 선호도 분석.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32. 진미정.한준.노신애(2019). 20-30대 청년세대의 결혼, 출산 가치관의 잠재유형과 한국사회인식 및 개인적 미래 전망의 관련성. 가족과 문화, 31(1), 166-188.
  33. 채민진(2019). 한국 2,30대 남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인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최새은(2003). 30대 남녀의 초혼연령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최소영.장진경(2016). 성인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성역할인식의 매개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4(2), 181-195. https://doi.org/10.6115/fer.2016.015
  36. 최효미(2017). 청년 미혼층의 결혼 및 출산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17 공동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9-55.
  37. 하보란(2012). 미혼여성의 결혼에 대한 태도 변화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한겨레신문(2019. 07. 11) ''결혼해야'' 여성의 43.5% 불과...미혼 여성 가구주 2000년보다 2.6배$\uparrow$,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99984.html#csidxb507b217f3deb04ae0d70bc4801c6f4
  39. 한영선(2015). 미혼 취업여성의 일자리 특성과 부모의 경제적 자원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가정관리학회 2015년 공동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96-215.
  40. 홍은영(2011). 미혼성인의 결혼의향 및 태도와 부모의존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Becker, G.(1991).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2. Oppenheimer, V.(1997). Women's employment and the gains to marriage: the specialization and trading model. Annual Review of sociology, 23, 431-453. https://doi.org/10.1146/annurev.soc.23.1.431
  43. Sassler, S. and Schoen, R. (1999) ''The Effects of Attitudes and Economic Activity on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 147-159. https://doi.org/10.2307/353890
  44. Shostak A. (1987), ''Singlehood'' in M. Sussman & S. Steinmetz (eds.)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pp. 355-368) New York: Plenum.